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C++: 130. C++ string의 c_str과 data 함수의 차이점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134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 string의 c_str과 data 함수의 차이점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에 잘 정리가 되어 있습니다.

string c_str() vs. data()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94634/string-c-str-vs-data

어쨌든 공식적으로는 C++03 이전에는 구현체마다 다를 수 있었지만 C++11부터는 단일하게 null 종료 문자를 가진 유형으로 반환한다고 합니다.

In C++11 onwards, both functions are required to be the same. i.e. data is now required to be null-terminated. According to cppreference: "The returned array is null-terminated, that is, data() and c_str() perform the same function."


그러던 것이 C++17 표준부터는 data()는 "const"를 떼는 것으로 바뀝니다. 그래서 C++11 이전에는 다음의 코드가 문제없이 컴파일되었지만,와 함께,

const char* p1 = txt.data();
const char* p2 = txt.c_str();

"ISO C++17 Standard (/std:c++17)"부터는 data가 const 유형으로 반환하지 않으므로 다음과 같이 바꿔야 합니다.같은 표현도 가능합니다.

// 컴파일 에러 발생 - Error C2440 'initializing': cannot convert from 'const _Elem *' to 'char *'
// const char* p1 = txt.data();

char* p1 = txt.data(); // char* 변수로도 반환 가능
const char* p2 = txt.c_str();




참고로, C++03 이전에는 달랐다고 하는데 구현체마다 그럴 가능성은 있겠지만 대부분은 string이 문자열에 주로 사용되었으므로 동일하게 바뀐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Linux g++에서 "C++03 (-std=c++03)" 옵션으로 data(), c_str()의 코드를 보면,

const _CharT*
data() const _GLIBCXX_NOEXCEPT
{ return _M_data(); }

const _CharT*
c_str() const _GLIBCXX_NOEXCEPT
{ return _M_data(); }

동일한 _M_data() 함수를 호출하기 때문에 다른 동작을 할 여지가 없습니다. 혹시나 싶어 Visual Studio 2015의 C++ 프로젝트에서 "Platform target" 설정을 "Visual Studio 2015 - Windows XP (v140_xp)"로 한 경우의 std::string 소스 코드도 살펴봤는데요, 다만 이번에는 다음과 같이 차이점을 설명하는 (오래된) 주석은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const _Elem *data() const _NOEXCEPT
    {   // return pointer to nonmutable array
    return (this->_Myptr());
    }

const _Elem *c_str() const _NOEXCEPT
    {   // return pointer to null-terminated nonmutable array
    return (this->_Myptr());
    }

그래도 코드 자체는 _Myptr() 함수를 부르는 것으로 동일하게 처리하지만.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0/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05-20 04시37분
[kernel] // 컴파일 에러 발생 - Error C2440 'initializing': cannot convert from 'const _Elem *' to 'char *'
를 발생시킨 소스를 공유해주실 수 있나요? 저 에러메시지는 const* 인 data를 char*에 대입할 때 발생하는 메시지 같은데요...
[guest]
2019-05-20 04시40분
[kernel] 주석처리한 라인이 https://onlinegdb.com/rk9cY0yaE 와 vs2019 /std:c++17 에서 컴파일 에러를 만들지 않았습니다.
[guest]
2019-05-20 11시39분
아... 제가 헷갈렸습니다. 맞습니다. C++17과 그 하위의 버전을 번갈아가면서 테스트하다가 그렇게 꼬였습니다. ^^; 말씀하신 것처럼 C++14 이하 버전에서 const*로 반환하는데 그걸 char* 변수로 받다가 발생한 문제였습니다.
정성태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822정성태7/7/201527288오류 유형: 299. The 'Visual C++ Project System Package'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10821정성태7/7/201519537오류 유형: 298. Unable to start debugging on the web server. IIS does not list a web site that matches the launched URL.
10820정성태7/7/201525502오류 유형: 297. HTTP Error 503. The service is unavailable. - 두 번째
10819정성태7/2/201528948오류 유형: 296. SQL Server Express 시작 오류 - error code 3417
10818정성태7/1/201527757오류 유형: 295. HTTP Error 503. The service is unavailable. [1]
10817정성태6/29/201531464.NET Framework: 523. C# 람다(Lambda)에서 변수 캡처 방식 [3]
10816정성태6/25/201527806.NET Framework: 522. 닷넷의 어셈블리 서명 데이터 확인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815정성태6/23/201525653Graphics: 1. 자네 나와 함께... UNITY 하지 않겠는가! [4]
10814정성태6/22/201523459.NET Framework: 521. Roslyn을 이용해 C# 문법 변형하기 (2) [5]
10813정성태6/21/201525230.NET Framework: 520. Roslyn을 이용해 C# 문법 변형하기 (1)
10812정성태6/20/201526342.NET Framework: 519. C# 6.0 오픈 소스 컴파일러 Roslyn - 빌드 및 테스트 방법 [1]
10811정성태6/20/201523173오류 유형: 294. OpenAuth 사용 시 System.Data.SqlClient.SqlException 예외가 Output 창에 출력되는 문제
10810정성태6/18/201522162개발 환경 구성: 270. Visual Studio에서 github 오픈 소스를 fork해서 테스트하는 방법 [1]
10809정성태6/18/201520141.NET Framework: 518. AllowPartiallyTrustedCallers 특성이 적용된 GAC 어셈블리에서 DynamicMethod의 calli 명령어 사용파일 다운로드1
10808정성태6/17/201522493.NET Framework: 517. calli IL 호출이 DllImport 호출보다 빠를까요? [1]파일 다운로드1
10807정성태6/16/201523569.NET Framework: 516. Microsoft.AspNet.Membership.OpenAuth 사용 시 "Local Database Runtime error occurred" 오류
10806정성태6/16/201541425.NET Framework: 515. OpenAuth.VerifyAuthentication 호출 시 The remote server returned an error: (400) Bad Request
10805정성태6/15/201522759Java: 17. 자바의 재미있는 상수 처리 방식
10804정성태6/10/201522421.NET Framework: 514. .NET CLR2 보안 모델에서의 APTCA 역할 (2)파일 다운로드1
10803정성태6/2/201524374.NET Framework: 513. UWP(Universal Windows Platform) 응용 프로그램의 새로운 라이브러리 버전 관리 해법 [2]
10802정성태6/2/201524426개발 환경 구성: 269. 마이크로소프트 온라인 강좌 소개 - Azure VPN 구성 방법 [1]
10801정성태5/31/201528941.NET Framework: 512. async/await 사용 시 hang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 두 번째 이야기 [3]
10800정성태5/29/201524402개발 환경 구성: 268. 소개 - 프로세싱(https://processing.org/)
10799정성태5/29/201522168사물인터넷: 3. 책 소개 - 라즈베리 파이로 구현하는 사물 인터넷 프로젝트 [1]
10798정성태5/26/201521942기타: 53. 2015년 6월 10일 밤 10시 온라인 세미나 - 새로운 Windows 10 App을 개발하는 방법
10797정성태5/23/201521599VC++: 91. 자식 스레드에 자동 상속되는 TEB의 SubProcessTag 필드파일 다운로드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