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539. mstest 실행 시 "The directory name is invalid." 오류 발생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86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오류 유형: 534. mstest.exe 실행 시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
; https://www.sysnet.pe.kr/2/0/11886

개발 환경 구성: 438. mstest, QTAgent의 로그 파일 설정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889

개발 환경 구성: 439.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메시지와 관련된 코드 기록
; https://www.sysnet.pe.kr/2/0/11890

오류 유형: 539. mstest 실행 시 "The directory name is invalid." 오류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1902

오류 유형: 575. mstest.exe - System.Resources.MissingSatelliteAssemblyException: The satellite assembly named "Microsoft.VisualStudio.ProductKeyDialog.resources.dll, ..."
; https://www.sysnet.pe.kr/2/0/12044

오류 유형: 576. mstest.exe 실행 시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045




mstest 실행 시 "The directory name is invalid." 오류 발생

잘 되던 mstest가 어느 순간부터 다음과 같은 식으로 오류가 발생합니다.

D:\temp> mstest  /testcontainer:d:\temp\TestProject1\TestProject1\loadfulltest.loadtest

Microsoft (R) Test Execution Command Line Tool Version 15.0.27729.1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Loading d:\temp\TestProject1\TestProject1\loadfulltest.loadtest...
d:\temp\TestProject1\TestProject1\loadfulltest.loadtest
The directory name is invalid.

이와 함께 이벤트 로그에도 "Failed to load tests from storage(s)!"라는 식의 오류 메시지를 볼 수 있습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VSTTExecution
Date:          2019-05-21 오후 3:31:51
Event ID:      0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estpc.testad.com
Description:
The description for Event ID 0 from source VSTTExecution cannot be found. Either the component that raises this event is not installed on your local computer or the installation is corrupted. You can install or repair the component on the local computer.

If the event originated on another computer, the display information had to be saved with the event.

The following information was included with the event: 

(mstest, PID 4832, Thread 1) Failed to load tests from storage(s)!

the message resource is present but the message is not found in the string/message table




지난 글의 로그 파일 설정을 이용해,

mstest.exe 실행 시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
; https://www.sysnet.pe.kr/2/0/11886

mstest.exe의 수행 로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항목이 있습니다.

V, 5540, 1, 2019/05/21, 19:00:40.545, TESTPC\mstest, Tmi.LoadLinkStorage: D:\temp\testproject1\testproject1\bin\debug\testproject1.dll
E, 5540, 1, 2019/05/21, 19:00:40.545, TESTPC\mstest, Failed to load tests from storage(s)!
W, 5540, 1, 2019/05/21, 19:00:40.545, TESTPC\mstest, EqtException: The directory name is invalid.

의미상으로 보면, testproject1.dll 파일을 로드할 수 없어 오류가 발생한 듯 보이는데요, 실제로는 지난 글의 문제와 동일한 원인이었습니다.

msbuild 오류 - Could not find a part of the path '%LOCALAPPDATA%\Temp\2\.NETFramework,Version=v4.0.AssemblyAttributes.cs'
; https://www.sysnet.pe.kr/2/0/11901

즉, "%LOCALAPPDATA%\Temp\" 디렉터리에 현재 로그인한 RDP 사용자의 세션 ID에 해당하는 폴더가 없어서 그런 것입니다. 따라서, 작업 관리자를 이용하거나 또는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이용해 현재 로그인 세션의 ID를 알아낸 다음,

D:\> query session
 SESSIONNAME       USERNAME                 ID  STATE   TYPE        DEVICE
 services                                    0  Disc
 console                                     1  Conn
>rdp-tcp#1         TestUser                  2  Active  rdpwd
 31c5ce94259d4...                        65536  Listen
 rdp-tcp                                 65537  Listen

해당 ID(위의 경우 '2')에 따라 "%LOCALAPPDATA%\Temp\" 폴더 하위에 "2" 디렉터리를 만들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1/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731정성태8/11/201427089개발 환경 구성: 235. 점(.)으로 시작하는 파일명을 탐색기에서 만드는 방법
1730정성태8/11/201422173개발 환경 구성: 234. Royal TS의 터미널(Terminal) 연결에서 한글이 깨지는 현상 해결 방법
1729정성태8/11/201418235오류 유형: 236. SqlConnection - The requested Performance Counter is not a custom counter, it has to be initialized as ReadOnly.
1728정성태8/8/201430321.NET Framework: 453. C# - 오피스 파워포인트(Powerpoint) 파일을 WinForm에서 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27정성태8/6/201420540오류 유형: 235. SignalR 오류 메시지 - Counter 'Messages Bus Messages Published Total' does not exist in the specified Category. [2]
1726정성태8/6/201419409오류 유형: 234. IIS Express에서 COM+ 사용 시 SecurityException -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발생
1725정성태8/6/201421392오류 유형: 233. Visual Studio 2013 Update3 적용 후 Microsoft.VisualStudio.Web.PageInspector.Runtime 모듈에 대한 FileNotFoundException 예외 발생
1724정성태8/5/201426114.NET Framework: 452.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1723정성태7/29/201458396개발 환경 구성: 233. DirectX 9 예제 프로젝트 빌드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722정성태7/25/201421087오류 유형: 232.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NTFS 암호화된 폴더에 웹 애플리케이션이 위치한 경우
1721정성태7/24/201424112.NET Framework: 451. 함수형 프로그래밍 개념 - 리스트 해석(List Comprehension)과 순수 함수 [2]
1720정성태7/23/201422100개발 환경 구성: 232. C:\WINDOWS\system32\LogFiles\HTTPERR 폴더에 로그 파일을 남기지 않는 설정
1719정성태7/22/201426068Math: 13. 동전을 여러 더미로 나누는 경우의 수 세기(Partition Number)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718정성태7/19/201435320Math: 12. HTML에서 수학 관련 기호/수식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 - MathJax.js [4]
1716정성태7/17/201435036개발 환경 구성: 231. PC 용 무료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 genymotion
1715정성태7/13/201430615기타: 47. 운영체제 종료 후에도 USB 외장 하드의 전원이 꺼지지 않는 경우 [3]
1714정성태7/11/201420891VS.NET IDE: 92. Visual Studio 2013을 지원하는 IL Support 확장 도구
1713정성태7/11/201444622Windows: 98. 윈도우 시스템 디스크 용량 확보를 위한 "Package Cache" 폴더 이동 [1]
1712정성태7/10/201432881.NET Framework: 450. 영문 윈도우에서 C# 콘솔 프로그램의 유니코드 출력 방법 [3]
1711정성태7/10/201438080Windows: 97. cmd.exe 창에서 사용할 폰트를 추가하는 방법 [1]
1710정성태7/8/201430588개발 환경 구성: 230. 유니코드의 Surrogate Pair, Supplementary Characters가 뭘까요?파일 다운로드2
1709정성태7/8/201427424VS.NET IDE: 91. Visual Studio에서 32/64비트 IIS Express 실행하는 방법
1708정성태7/7/201424779VS.NET IDE: 90. Visual Studio - 사용자 정의 정적 분석 규칙 만드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707정성태7/4/201423052.NET Framework: 449. C#에서 C++로 VARIANT 넘겨주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06정성태7/3/201421440.NET Framework: 448. .NET SmartClient 컨트롤을 윈도우 8/2012에서 활성화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05정성태7/2/201435108VC++: 78. 보이어-무어(Boyer-Moore) 알고리즘이 정말 빠를까? [6]파일 다운로드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