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NET Core - System.PlatformNotSupportedException: The named version of this synchronization primitive is not supported on this platform.

간단한 EventWaitHandle 사용 코드를,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ventWaitHandle ewh = new EventWaitHandle(false, EventResetMode.ManualReset, "test");

        Console.ReadLine();

        ewh.Close();
    }
}

.NET Core 콘솔 프로젝트지만 윈도우에서 실행하는 경우에는 잘 동작합니다. 반면, linux에서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식의 예외가 발생합니다.

$ dotnet ConsoleApp1.dll

Unhandled Exception: System.PlatformNotSupportedException: The named version of this synchronization primitive is not supported on this platform.
   at System.Threading.EventWaitHandle..ctor(Boolean initialState, EventResetMode mode, String name)
   at ConsoleApp1.Program.Main(String[] args) in F:\ConsoleApp1\ConsoleApp1\Program.cs:line 10
Aborted (core dumped)

이해가 됩니다. 리눅스 경우 커널 이벤트 자원에 대해 "이름"을 붙여주는 기능은 없을 수 있습니다. 혹시나 싶어 회사 동료에게 물어보니, Semaphore 자원의 경우 "named"가 있다고 합니다. 오호~~~ 그렇다면 어쩌면 Semaphore의 경우에는 .NET Core도 "named semaphore"를 그대로 지원해 주지 않을까요? 그래서 소스 코드를 다음과 같이 변경했는데,

Semaphore ewh = new Semaphore(1, 2, "test");

역시나 PlatformNotSupportedException 예외가 발생합니다. 음... 그렇다면 Pinvoke를 해서라도 "named semaphore"를 어떻게든 이용해보리라... 결심하고 있는데 회사 동료가 찬물을 끼얹습니다. ^^

POSIX name semaphore does not release after process exits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4756406/posix-name-semaphore-does-not-release-after-process-exits/42416684

이식성이 좋은 POSIX 표준의 세마포어는 프로세스가 비정상 종료하거나 signal에 의해 종료하는 경우, 해제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No. POSIX semaphores are not released if the owning process crashes or is killed by signals. The waiting process will have to wait forever. You can't work around this as long as you stick with semaphores.


.NET Core 측의 이슈에도 이와 유사한 덧글이 있습니다.

Implement named synchronization primitives to be system wide
; https://github.com/dotnet/coreclr/issues/1237

POSIX named semaphores have kernel persistence: if not removed by sem_unlink, a semaphore will exist until the system is shut down.





가까운 이웃 동네인 자바를 보면 프로세스 간의 이러한 lock을 유지하기 위해 주로 "파일 lock"을 쓰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그 이유를 몰랐는데 이제야 왜 그랬는지를 알게 되는군요. ^^;

따라서, 가령 2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실행되지 못하도록 하고 싶은 경우 윈도우 운영체제에서는 "named" 커널 자원을 사용해 해결할 수 있지만 리눅스의 경우에는 파일 시스템 상에 그런 목적을 위한 플래그 용도의 파일을 생성해 해결해야 합니다. 대충 다음과 같은 식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if ISNETCORE
    if (RuntimeInformation.IsOSPlatform(OSPlatform.Windows) == true)
    {
        ewh = new EventWaitHandle(false, EventResetMode.AutoReset, key, out createdNew);
    }
    else
    {
        string instTempFilePath = Path.Combine(Path.GetTempPath(), "test");

        try
        {
            fwh = new FileStream(instTempFilePath, FileMode.OpenOrCreate, FileAccess.Read, FileShare.None);
            if (fwh != null)
            {
                createdNew = true;
            }
        } 
        catch (Exception e)
        {
        }
    }
#else
    ewh = new EventWaitHandle(false, EventResetMode.AutoReset, "test", out createdNew);
#endif


    if (createdNew == true)
    {
        // 첫 번째 프로세스
    }
    else
    {
        // 두 번째 프로세스
    }

그런데, 위와 같이 해도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Path.GetTempPath()"가 반환하는 경로가 "/tmp"인데 리눅스에서는 /tmp 폴더를 주기적으로 삭제하는 daemon 프로세스가 떠 있는 경우가 있어 우리가 생성한 "test" 파일이 임의 시점에 삭제될 수가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var/tmp를 사용하든가, 아니면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경로를 기준으로 임시 파일을 생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1/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99정성태2/28/201146595개발 환경 구성: 108. RemoteFX - Windows 7 가상 머신에서 DirectX 9c 환경을 제공 [5]
998정성태2/27/201120294Team Foundation Server: 42. TFS Application-Tier만 재설치
996정성태2/12/201137740디버깅 기술: 35. windbg - 분석 예: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 - NullReferenceException
995정성태2/11/201156260.NET Framework: 205. 코드(C#)를 통한 풀 덤프 만드는 방법 [4]
994정성태2/10/201136221디버깅 기술: 34. Windbg - ERROR: Unable to load DLL mscordacwks_x86_x86_2.0.50727.4200.dll, Win32 error 0n2 [1]
993정성태2/10/201128527개발 환경 구성: 107. 하나의 WPF 프로젝트를 WinExe / Library로 빌드하는 방법
992정성태10/15/201129383개발 환경 구성: 106. VSS(Volume Shadow Service)를 이용한 Hyper-V VM 백업/복원 [2]
991정성태2/6/201148866개발 환경 구성: 105. 풀 덤프 파일을 남기는 방법 [4]
990정성태2/2/201134004개발 환경 구성: 104. Visual C++ Custom Build Tool 사용예 [1]파일 다운로드1
989정성태2/1/201130519개발 환경 구성: 103. DOS batch - 동기 방식으로 원격 서비스 제어
988정성태1/30/201126714개발 환경 구성: 102. MSBuild - DefineConstants에 다중 전처리 값 설정
987정성태1/29/201139868디버깅 기술: 33. PDB Symbol 로드 오류 - Cannot find or open the PDB file. [2]
986정성태1/26/201131324.NET Framework: 204. 분리된 ThreadPool 사용 - Smart Thread Pool
985정성태1/25/201127958디버깅 기술: 32. 인증서로 서명된 닷넷 어셈블리의 실행 지연 현상
984정성태1/25/201122668개발 환경 구성: 101. SharePoint 2010 - Form Design
983정성태1/23/201127736제니퍼 .NET: 15. 눈으로 확인하는 maxWorkerThreads, minFreeThreads 설정값 [1]
982정성태1/22/201125028개발 환경 구성: 100. SharePoint 2010 - iPad 친화적인 게시판 만들기 (사용자 지정 목록) [1]
981정성태1/19/201120896개발 환경 구성: 99. SharePoint 2010 -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 시 고려해야 할 점. [1]
980정성태1/19/201132415개발 환경 구성: 98. SharePoint 2010 - Office Web Apps 설치
979정성태1/18/201125007개발 환경 구성: 97. SharePoint 2010 팀 사이트 구성
978정성태1/16/201131974.NET Framework: 203. VPN 자동 연결 및 Router 설정 추가
977정성태1/12/201131313개발 환경 구성: 96. SharePoint 2010 설치 [5]
976정성태1/11/201153963오류 유형: 111. IIS - 500.19 오류 (0x8007000d)
975정성태1/10/201128227.NET Framework: 202. CLR JIT 컴파일러가 생성한 기계어 코드 확인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974정성태1/8/201127001.NET Framework: 201. 윈폼 TreeView - Bold 폰트 설정 후 텍스트가 잘리는 문제 [1]파일 다운로드1
973정성태1/7/201126323.NET Framework: 200. IIS Metabase와 ServerManager 개체 활용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