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837. C# - PLplot 사용 예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110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7개 있습니다.)

C# - PLplot 사용 예제

지난 글에서 설명한,

ML.NET Model Builder - 회귀(Regression), 다중 분류(Multi-class classification)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1895

Regression_TaxiFarePrediction 예제를 보면,

dotnet/machinelearning-samples
; https://github.com/dotnet/machinelearning-samples/tree/master/samples/csharp/getting-started/Regression_TaxiFarePrediction

PLplot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코드와 출력 사례를 볼 수 있습니다.

plplot_sample_1.png

이참에, ^^ 간단한 사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PLplot 설치를 하고,

Install-Package PLplot

* 설치 후 csproj에 다음의 항목이 추가됩니다.
<PackageReference Include="PLplot" Version="5.13.7" />

간단한 실습으로 예전에 그냥 점(dot)으로만 그려봤던,

그래프 그리기로 알아보는 뉴턴-랩슨(Newton-Raphson's method)법과 제곱근 구하기 - C#
; https://www.sysnet.pe.kr/2/0/10911

2차 방정식의 곡선을 PLplot으로 그려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t int yMin = -30;
    const int yMax = 100;

    const int xMin = -20;
    const int xMax = 20;

    Func<double, double> quad = (x) => x * x - 10;

    double [] xData = PythonUtils.Range(xMin, xMax, 0.1).ToArray();
    double [] yData = (from item in xData
                            select quad(item)).ToArray();

    using (var pl = new PLStream())
    {
        pl.sdev("png");
        pl.sfnam("test.png");

        pl.spal0("cmap0_alternate.pal");

        pl.init();

        pl.env(xMin, xMax, yMin, yMax, AxesScale.Independent, AxisBox.BoxTicksLabelsAxes);
        pl.lab("x", "y = x#u2#d - 10", "Simple PLplot demo of a 2D line plot");

        pl.line(xData, yData);
        pl.gver(out var verText);
    }
}

보는 바와 같이 x 좌표의 값과 그에 대응하는 인덱스에 y 좌표의 값을 담아 pl.line 함수에 전달하기만 하면 됩니다. 그럼, 다음과 같은 이미지를 담은 PNG 파일이 생성됩니다. ^^

plplot_sample_2.png




이번엔 데이터의 분포도를 알 수 있도록 line이 아닌 점으로 표시해 보겠습니다. 데이터는 다음의 책에 있는,

기초 수학으로 이해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
; https://wikibook.co.kr/math-for-ml/

click.csv 파일을 로드해서 pl.line만 pl.poin으로 바꿔주면,

Dictionary<string, List<double>> data = PythonUtils.Load<double>("click.csv");

List<double> xData = data["x"];
List<double> yData = data["y"];

double xMin = xData.Min() - 10;
double xMax = xData.Max() + 10;

double yMin = yData.Min() - 10;
double yMax = yData.Max() + 10;

string chartFileName = "click.svg";
using (var pl = new PLStream())
{
    pl.sdev("svg");
    pl.sfnam(chartFileName);
    pl.spal0("cmap0_alternate.pal");
    pl.init();

    pl.env(xMin, xMax, yMin, yMax, AxesScale.Independent, AxisBox.BoxTicksLabelsAxes);

    // Set scaling for mail title text 125% size of default
    // pl.schr(0, 1.25);

    // The main title
    pl.lab("X", "Y", "Click");

    //This code is the symbol to paint
    // http://personalpages.to.infn.it/~zaninett/libri/hershey.html
    char code = Symbol.Bullet; // == 17;

    // plot using different colors
    // see http://plplot.sourceforge.net/examples.php?demo=02 for palette indices
    //pl.col0(9); //Light Green
    //pl.col0(4); //Red
    pl.col0(2); //Blue

    pl.poin(xData.ToArray(), yData.ToArray(), code);

    // end page (writes output to disk)
    pl.eop();

    // output version of PLplot
    pl.gver(out var verText);
}

다음과 같은 출력의 svg 파일이 생성됩니다.

plplot_sample_3.png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간단하죠? ^^ 좀 더 알고 싶다면 온라인 도움말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API Reference manual
; https://surban.github.io/PLplotNet/api/PLplot.PLStream.html

그렇긴 해도 역시나 레퍼런스 매뉴얼보다는, 다른 사람들이 작성한 예제 코드와 그것의 출력 결과를 통해 익히는 것이 가장 빠릅니다. ^^




참고로, 예전에 OxyPlot을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C# Plotting 라이브러리 OxyPlot
; https://www.sysnet.pe.kr/2/0/10973

입맛에 맞는 걸로 쓰시면 되겠죠? ^^ 게다가 아예 언어를 바꾸는 것도 고려해볼만합니다. 예를 들어 이 글의 그래프를 그리는 코드를 R 언어로 바꾸면 다음과 같이 아주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x = seq(from=-20, to=20, by=0.1)
y = x * x - 10
plot(x, y, col="gray", type="l") // 숫자 1이 아닌, 소문자 'l'




마지막으로 PLplot 사용 시 오류 발생 상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using (var pl = new PLStream())" 코드 수행 시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한다면?

System.TypeInitializationException
  HResult=0x80131534
  Message=The type initializer for 'PLplot.Native' threw an exception.
  Source=PLplotNet
  StackTrace:
   at PLplot.Native.mkstrm(Int32& p_strm)
   at PLplot.PLStream..ctor() in C:\projects\plplotnet\PLplotNet\PLStream.cs:line 23
   at ConsoleApp1.Program.Main(String[] args) in E:\ConsoleApp1\ConsoleApp1\Program.cs:line 21

Inner Exception 1:
InvalidOperationException: Cannot find support PLplot support files in System.String[].

이게 좀 원인이 복잡합니다. 일반적으로 NuGet 패키지를 PackageReference로 참조하면,

Visual Studio 2017 - NuGet 패키지를 직접 참조하는 PackageReference 지원
; https://www.sysnet.pe.kr/2/0/11281

솔루션 파일이 있는 폴더의 /packages 하위 폴더에 라이브러리가 구성되지 않고 "%USERPROFILE%\.nuget\packages\plplot\5.13.7\runtimes\win-x64\native" 폴더에 놓이게 됩니다. 여기서 문제는, native 구성 요소는 nuget cache 폴더에 있는 반면, managed 구성 요소인 "PLplotNet.dll" 파일이 프로젝트의 출력 폴더(/bin/Debug)에 놓인다는 점입니다. 이 때문에 PLplotNet.dll은 현재 디렉터리에서 네이티브 dll을 찾으려 하고 그것이 없어 저런 식으로 오류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간단하게 문제를 해결하려면 "%USERPROFILE%\.nuget\packages\plplot\5.13.7\runtimes\win-x64\native" 폴더의 모든 파일을 프로젝트의 출력 폴더에 복사해 놓는 것입니다. 단지 그러면 바이너리 폴더의 내용이 너무 많아 귀찮아지므로 privatePath를 이용해,

<?xml version="1.0" encoding="utf-8" ?>
<configuration>
    <startup> 
        <supportedRuntime version="v4.0" sku=".NETFramework,Version=v4.7.2" />
    </startup>
    <runtime>
        <assemblyBinding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1">
            <probing privatePath=".\plplot" />
        </assemblyBinding>
    </runtime>
</configuration>

다음과 같이 선처리를 해주면 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IO;
using System.Reflection;

class PLPlotEnv
{
    const string ManagedDllFileName = @"PLplotNet.dll";
    public static void SetEnv()
    {
        do
        {
            if (File.Exists(@".\plplot\plplot.dll") == true)
            {
                break;
            }

            if (File.Exists(ManagedDllFileName) == false)
            {
                break;
            }

            Version ver = AssemblyName.GetAssemblyName(ManagedDllFileName).Version;
            string versionText = $"{ver.Major}.{ver.Minor}.{ver.Build}";

            string path = Environment.ExpandEnvironmentVariables($@"%USERPROFILE%\.nuget\packages\plplot\{versionText}\runtimes\win-x64\native");
            if (Directory.Exists(path) == false)
            {
                break;
            }

            string targetPath = Path.GetDirectoryName(typeof(PLPlotEnv).Assembly.Location);
            targetPath = Path.Combine(targetPath, "plplot");
            DirectoryCopy(path, targetPath, true);

        } while (false);

        CopyPLplotNetFile();

        // Environment.SetEnvironmentVariable("PLPLOT_LIB", ...);
    }

    private static void CopyPLplotNetFile()
    {
        if (File.Exists(ManagedDllFileName) == false)
        {
            return;
        }

        if (File.Exists($@".\plplot\{ManagedDllFileName}") == false)
        {
            File.Copy(ManagedDllFileName, $@".\plplot\{ManagedDllFileName}");
        }

        File.Delete(ManagedDllFileName);
    }

    // https://learn.microsoft.com/ko-kr/dotnet/standard/io/how-to-copy-directories
    private static void DirectoryCopy(string sourceDirName, string destDirName, bool copySubDirs)
    {
        // Get the subdirectories for the specified directory.
        DirectoryInfo dir = new DirectoryInfo(sourceDirName);

        if (!dir.Exists)
        {
            throw new DirectoryNotFoundException(
                "Source directory does not exist or could not be found: "
                + sourceDirName);
        }

        DirectoryInfo[] dirs = dir.GetDirectories();
        // If the destination directory doesn't exist, create it.
        if (!Directory.Exists(destDirName))
        {
            Directory.CreateDirectory(destDirName);
        }

        // Get the files in the directory and copy them to the new location.
        FileInfo[] files = dir.GetFiles();
        foreach (FileInfo file in files)
        {
            string temppath = Path.Combine(destDirName, file.Name);
            file.CopyTo(temppath, false);
        }

        // If copying subdirectories, copy them and their contents to new location.
        if (copySubDirs)
        {
            foreach (DirectoryInfo subdir in dirs)
            {
                string temppath = Path.Combine(destDirName, subdir.Name);
                DirectoryCopy(subdir.FullName, temppath, copySubDirs);
            }
        }
    }
}

참고로, 이 문제가 .NET Core 프로젝트에서 NuGet 참조를 한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NET Core 프로젝트는 빌드 시 Managed DLL인 PLplotNet.dll을 빌드 출력 폴더(/bin/debug)에 복사하지 않고 nuget cache 폴더로부터 직접 로드하기 때문입니다.

그건 그렇고, 예제에 보면 PLPLOT_LIB 환경 변수가 나오는데,

_putenv_s("PLPLOT_LIB", supPath);

이게 통하지 않습니다. (혹시 이에 대해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또는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HResult=0x8007000B
  Message=An attempt was made to load a program with an incorrect format. (Exception from HRESULT: 0x8007000B)
  Source=PLplotNet
  StackTrace:
   at PLplot.Native.mkstrm(Int32& p_strm)
   at PLplot.PLStream..ctor() in C:\projects\plplotnet\PLplotNet\PLStream.cs:line 23
   at ConsoleApp1.Program.Main(String[] args) in E:\ConsoleApp1\ConsoleApp1\Program.cs:line 22

현재 nuget에 올라온 plplot은 네이티브 바이너리가 win-x64와 linux-x64 밖에 없으므로 x86으로 구동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는 로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자신의 프로젝트에 "Prefer 32-bit" 옵션이 켜져 있거나 "x86" 대상으로 빌드했다면 저렇게 BadImageFormatException이 발생합니다.

만약 x86이 굳이 필요하다면, plplot을 x86으로 빌드해 사용하면 됩니다. vcpkg가 이미 제공하므로 어렵지 않게 구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E:\git_clone\vcpkg> vcpkg search plplot
plplot               5.13.0-1         PLplot is a cross-platform software package for creating scientific plots whos...
plplot[wxwidgets]                     plplot wxwidgets modul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9/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05-31 12시17분
C# - PLplot 색상 제어
; http://www.sysnet.pe.kr/2/0/11920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08정성태8/26/201919583.NET Framework: 857. UWP 앱에서 SQL Server 데이터베이스 연결 방법
12007정성태8/24/201918199.NET Framework: 856. .NET Framework 버전을 올렸을 때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
12006정성태8/23/201921625디버깅 기술: 129. guidgen - Encountered an improper argument. 오류 해결 방법 (및 windbg 분석) [1]
12005정성태8/13/201919264.NET Framework: 855. 닷넷 (및 VM 계열 언어) 코드의 성능 측정 시 주의할 점 [2]파일 다운로드1
12004정성태8/12/201927556.NET Framework: 854. C# - 32feet.NET을 이용한 PC 간 Bluetooth 통신 예제 코드 [14]
12003정성태8/12/201919664오류 유형: 564. Visual C++ 컴파일 오류 - fatal error C1090: PDB API call failed, error code '3'
12002정성태8/12/201919000.NET Framework: 853. Excel Sheet를 WinForm에서 사용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5]
12001정성태8/10/201924216.NET Framework: 852. WPF/WinForm에서 UWP의 기능을 이용해 Bluetooth 기기와 Pairing하는 방법 [1]
12000정성태8/9/201923654.NET Framework: 851. WinForm/WPF에서 Console 창을 띄워 출력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999정성태8/1/201917980오류 유형: 563. C# - .NET Core 2.0 이하의 Unix Domain Socket 사용 시 System.IndexOutOfRangeException 오류
11998정성태7/30/201919966오류 유형: 562. .NET Remoting에서 서비스 호출 시 SYN_SENT로 남는 현상파일 다운로드1
11997정성태7/30/201920346.NET Framework: 850. C# - Excel(을 비롯해 Office 제품군) COM 객체를 제어 후 Excel.exe 프로세스가 남아 있는 문제 [2]파일 다운로드1
11996정성태7/25/201923327.NET Framework: 849. C# - Socket의 TIME_WAIT 상태를 없애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995정성태7/23/201926987.NET Framework: 848. C# - smtp.daum.net 서비스(Implicit SSL)를 이용해 메일 보내는 방법 [2]
11994정성태7/22/201921762개발 환경 구성: 454. Azure 가상 머신(VM)에서 SMTP 메일 전송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993정성태7/22/201916445오류 유형: 561. Dism.exe 수행 시 "Error: 2 -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오류 발생
11992정성태7/22/201918537오류 유형: 560. 서비스 관리자 실행 시 "Windows was unable to open service control manager database on [...]. Error 5: Access is denied." 오류 발생
11991정성태7/18/201915562디버깅 기술: 128. windbg - x64 환경에서 닷넷 예외가 발생한 경우 인자를 확인할 수 없었던 사례
11990정성태7/18/201917835오류 유형: 559. Settings / Update & Security 화면 진입 시 프로그램 종료
11989정성태7/18/201916677Windows: 162. Windows Server 2019 빌드 17763부터 Alt + F4 입력시 곧바로 로그아웃하는 현상
11988정성태7/18/201919228개발 환경 구성: 453. 마이크로소프트가 지정한 모든 Root 인증서를 설치하는 방법
11987정성태7/17/201925090오류 유형: 558. 윈도우 - KMODE_EXCEPTION_NOT_HANDLED 블루스크린(BSOD) 문제 [1]
11986정성태7/17/201916812오류 유형: 557. 드라이브 문자를 할당하지 않은 파티션을 탐색기에서 드라이브 문자와 함께 보여주는 문제
11985정성태7/17/201916977개발 환경 구성: 452. msbuild - csproj에 환경 변수 조건 사용 [1]
11984정성태7/9/201925508개발 환경 구성: 451. Microsoft Edge (Chromium)을 대상으로 한 Selenium WebDriver 사용법 [1]
11983정성태7/8/201914880오류 유형: 556. nodemon - 'mocha' is not recognized as an internal or external command, operable program or batch file.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