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 2019 버전 16.1부터 리눅스 C/C++ 프로젝트에 추가된 WSL 지원

드디어, 리눅스 C/C++ 프로젝트가 WSL에 자연스럽게 통합했습니다.

C++ with Visual Studio 2019 and Windows Subsystem for Linux (WSL)
; https://devblogs.microsoft.com/cppblog/c-with-visual-studio-2019-and-windows-subsystem-for-linux-wsl/

AddressSanitizer (ASan) for the Linux Workload in Visual Studio 2019
; https://devblogs.microsoft.com/cppblog/addresssanitizer-asan-for-the-linux-workload-in-visual-studio-2019/

방법도 간단합니다. WSL 측에 다음과 같이 기본적인 개발 도구를 설치하고,

$ sudo apt install g++ gdb make rsync zip

Visual Studio의 리눅스 프로젝트에서는 "Platform Toolset" 설정을 (기본값 Remote_GCC_1_0으로부터) WSL_1_0으로 바꿔주기만 하면 됩니다.

vs_wsl_support_1.png

여기서 주의할 것은 위의 화면에서 "Platform Toolset"의 하단에 "WSL .exe full path"로 입력된 값이 기본적으로는 "Bash on Ubuntu on Windows"라는 점입니다. 이것은 윈도우 스토어에서 설치한 "Ubuntu - Trusted Microsoft Store App"과 같이,

Ubuntu 18.04 LTS
; https://www.microsoft.com/en-us/p/ubuntu-1804-lts/9n9tngvndl3q

다른 리눅스 배포본과는 다른 경로입니다. 자신의 환경에 어떤 리눅스 배포판이 설치되어 있는지 "wslconfig /l" 명령어로 확인해 보면,

C:\> wslconfig /l
Windows Subsystem for Linux Distributions:
Legacy (Default)
Ubuntu

"WSL .exe full path"의 기본값인 "$(windir)\sysnative\wsl.exe"는 "Legacy (Default)"에 해당하는 것으로 앱 제목이 "Bash on Ubuntu on Windows"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만약, Windows Store로부터 받은 "Ubuntu"와 연동하고 싶다면 "WSL .exe full path" 값을 다음과 같은 식으로 바꿔줘야 합니다.

C:\Program Files\WindowsApps\CanonicalGroupLimited.UbuntuonWindows_1804.2018.817.0_x64__79rhkp1fndgsc\ubuntu.exe

(위의 경로는 Ubuntu 앱을 실행하고 작업 관리자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환경 정보를 출력해 보면,

#include <cstdio>
#include <sys/utsname.h>
#include <string>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include <fcntl.h>
#include <unistd.h>

using namespace std;

string read_file(const char* filePath)
{
    string txt(4096, 0);

    int fd = open(filePath, O_RDONLY);
    read(fd, (void *)txt.data(), txt.size() - 1);

    close(fd);

    return txt;
}

int main()
{
    utsname info;
    uname(&info);
    
    printf("%s, %s, %s, %s, %s\n", info.sysname, info.nodename, info.release, info.version, info.machine);

    string txt = read_file("/etc/lsb-release");
    printf("%s", txt.c_str());

    return 0;
}

이런 차이가 있습니다.

[Bash on Ubuntu on Windows의 경우]
Linux, TESTPC, 4.4.0-17763-Microsoft, #379-Microsoft Wed Mar 06 19:16:00 PST 2019, x86_64
DISTRIB_ID=Ubuntu
DISTRIB_RELEASE=14.04
DISTRIB_CODENAME=trusty
DISTRIB_DESCRIPTION="Ubuntu 14.04.5 LTS"

[StoreApp Ubuntu의 경우]
Linux, TESTPC, 4.4.0-17763-Microsoft, #379-Microsoft Wed Mar 06 19:16:00 PST 2019, x86_64
DISTRIB_ID=Ubuntu
DISTRIB_RELEASE=16.04
DISTRIB_CODENAME=xenial
DISTRIB_DESCRIPTION="Ubuntu 16.04.6 LTS"




개인적으로 현재 Visual Studio로 리눅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어서 기대를 많이 했습니다. ^^ 그런데, 아직 좀 기다려야겠습니다. 왜냐하면, 일단 인텔리센스가 안 됩니다. WSL이 아닌 경우, 원격 리눅스로 SSH 연결 설정을 해 두면 자동으로 헤더 파일을 다운로드해 연동이 되는데요. WSL의 경우에는 그게 아니어도 된다고는 하지만,

In Visual Studio you no longer need to add a remote connection or configure SSH in order to build and debug on your local WSL installation.


어쨌든 결과적으로 인텔리센스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헤더 파일들에 전부 빨간색 밑줄이 그어집니다.) 그래도 이 부분은 경험이 있다면 WSL에 SSH 연결 설정하고 다운로드한 헤더 파일의 폴더를 리눅스 프로젝트에 설정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결정적으로 불편한게 하나 있다면, 실행할 때마다 빌드를 새롭게 한다는 점입니다. 아마도 이것은 조만간 수정될 듯하지만 그때까지는 일단 현재 프로젝트를 WSL로 변경하는 것은 미루기로 했습니다. (어차피 "Platform Toolset" 옵션 하나 변경하는 것이지만. ^^)

그 외에는 전체적으로 깔끔하게 통합된 것은 사실입니다.




참고로, 빌드 결과물이 다음과 같은 식의 경로에 남기 때문에,

F:\ConsoleApplication1\ConsoleApplication1\bin\x64\Debug\ConsoleApplication1.out

Ubuntu App에서 곧바로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 cd /mnt/f/ConsoleApplication1/ConsoleApplication1/bin/x64/Debug
$ ./ConsoleApplication1.out
Linux, THE11, 4.4.0-17763-Microsoft, #379-Microsoft Wed Mar 06 19:16:00 PST 2019, x86_64
DISTRIB_ID=Ubuntu
DISTRIB_RELEASE=16.04
DISTRIB_CODENAME=xenial
DISTRIB_DESCRIPTION="Ubuntu 16.04.6 LTS"




빌드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1>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Enterprise\MSBuild\Microsoft\VC\v160\Application Type\Linux\1.0\Linux.WSL.targets(188,5): error MSB4018: The "Compile" task failed unexpectedly.
1>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Enterprise\MSBuild\Microsoft\VC\v160\Application Type\Linux\1.0\Linux.WSL.targets(188,5): error MSB4018: liblinux.Local.WindowsSubsystemException: Could not find the WSL launcher: '"C:\Program Files\WindowsApps\CanonicalGroupLimited.UbuntuonWindows_1804.2018.817.0_x64__79rhkp1fndgsc\ubuntu.exe"'.

프로젝트 속성 창의 "WSL .exe full path"에 준 경로가 올바르지 않아서입니다. 가령 겹따옴표를 붙이면,

"C:\Program Files\WindowsApps\CanonicalGroupLimited.UbuntuonWindows_1804.2018.817.0_x64__79rhkp1fndgsc\ubuntu.exe"

Compile task에서 오류가 발생하므로 반드시 겹따옴표를 제거해야 합니다.

C:\Program Files\WindowsApps\CanonicalGroupLimited.UbuntuonWindows_1804.2018.817.0_x64__79rhkp1fndgsc\ubuntu.exe




또는, F5 디버깅을 눌렀을 때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나온다면?

Could not launch gdb. gdb is missing from your WSL system and needs to be installed, please use your system's package manager to install it.


대상 WSL 리눅스 배포본에 개발 관련 도구들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입니다. 혹시나 "WSL .exe full path"에 지정한 리눅스 배포본과 개발 도구를 설치한 배포본이 동일한 것인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8/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54정성태5/31/201326333Java: 15. Java 7 Control Panel 실행시키는 방법
1453정성태5/22/201325357기타: 32. Microsoft FTP 사이트에 접속하는 방법
1452정성태5/21/201333082Windows: 73. TabProcGrowth 값 삭제 후 IE를 실행시키면 다시 복원되는 경우 [3]
1451정성태5/17/201331987Windows: 72. 윈도우 서버 2012 기초 사용법
1450정성태5/16/201322750오류 유형: 176. SQL10007N Message "0" could not be retrieved. Reason code: "3"
1449정성태5/15/201329848오류 유형: 175. SpeechRecognitionEngine 사용 시 오류 유형 2가지
1448정성태5/14/201324842VC++: 68. #pragma warning(disable: ...)로 오류 제어가 안된다면?
1447정성태5/3/201326536개발 환경 구성: 191. Debugging Tools for Windows 독립 설치 버전 [1]
1446정성태4/30/201327343.NET Framework: 368. Encoding 타입의 대체(fallback) 메카니즘 [1]
1445정성태4/26/201325563디버깅 기술: 54. NT 서비스의 Main 메서드 안에서 Process.GetProcessesByName 호출 시 멈춤 현상 [1]
1444정성태4/26/201329573기타: 31. Internet Explorer: 자바스크립트로 숨겨진 파일 다운로드 경로를 알아내는 방법 [1]
1443정성태4/24/201325255개발 환경 구성: 190. Azure PaaS 웹 응용 프로그램 배포 후 SMTP 서버 구성 [2]
1442정성태4/21/201328825기타: 30.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의 CPU 점유 현상으로 글자 입력이 느려졌다면? [1]
1441정성태4/21/201335421.NET Framework: 367. LargeAddressAware 옵션이 적용된 닷넷 32비트 프로세스의 가용 메모리 [14]
1440정성태4/19/201324169오류 유형: 174. dumpbin.exe 실행시 mspdb110.dll 로드 오류
1439정성태4/18/201328030VS.NET IDE: 76. Visual Studio 2012와 Itanium 빌드 옵션 [2]
1438정성태4/17/201327446.NET Framework: 366. 다른 프로세스에 환경 변수 설정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1437정성태4/17/201327680VC++: 67. CRT(C Runtime DLL: msvcr...dll)에 대한 의존성 제거
1436정성태4/17/201333064.NET Framework: 365. Local SYSTEM 권한으로 코드를 실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35정성태4/15/201341943Windows: 71. ad-hoc 보다 더 편리한 "가상 Wifi" 를 이용한 인터넷 공유 [2]
1434정성태4/9/201323226오류 유형: 173. TFS 서버의 이벤트 로그 오류 - WebHost failed to process a request. Parameter name: certificate
1433정성태4/9/201323535개발 환경 구성: 189. TFS에 설치된 SharePoint 의 PowerShell 콘솔 띄우는 방법
1432정성태4/5/201324550오류 유형: 172. System.Web.PipelineModuleStepContainer.GetEventCount 에서 NullReferenceException 이 발생한다면?
1431정성태4/5/201325159기타: 29. 부팅 가능한 (외장) HDD를 기존 부팅 메뉴에 추가하는 방법
1430정성태4/4/201327043제니퍼 .NET: 23. 모바일용 웹 사이트에서 발생하는 응답 시간 지연 현상 [5]파일 다운로드1
1429정성태3/29/201323403개발 환경 구성: 188. SCOM 2012 - ASP.NET 모니터링 방법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