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 2019 버전 16.1부터 리눅스 C/C++ 프로젝트에 추가된 WSL 지원

드디어, 리눅스 C/C++ 프로젝트가 WSL에 자연스럽게 통합했습니다.

C++ with Visual Studio 2019 and Windows Subsystem for Linux (WSL)
; https://devblogs.microsoft.com/cppblog/c-with-visual-studio-2019-and-windows-subsystem-for-linux-wsl/

AddressSanitizer (ASan) for the Linux Workload in Visual Studio 2019
; https://devblogs.microsoft.com/cppblog/addresssanitizer-asan-for-the-linux-workload-in-visual-studio-2019/

방법도 간단합니다. WSL 측에 다음과 같이 기본적인 개발 도구를 설치하고,

$ sudo apt install g++ gdb make rsync zip

Visual Studio의 리눅스 프로젝트에서는 "Platform Toolset" 설정을 (기본값 Remote_GCC_1_0으로부터) WSL_1_0으로 바꿔주기만 하면 됩니다.

vs_wsl_support_1.png

여기서 주의할 것은 위의 화면에서 "Platform Toolset"의 하단에 "WSL .exe full path"로 입력된 값이 기본적으로는 "Bash on Ubuntu on Windows"라는 점입니다. 이것은 윈도우 스토어에서 설치한 "Ubuntu - Trusted Microsoft Store App"과 같이,

Ubuntu 18.04 LTS
; https://www.microsoft.com/en-us/p/ubuntu-1804-lts/9n9tngvndl3q

다른 리눅스 배포본과는 다른 경로입니다. 자신의 환경에 어떤 리눅스 배포판이 설치되어 있는지 "wslconfig /l" 명령어로 확인해 보면,

C:\> wslconfig /l
Windows Subsystem for Linux Distributions:
Legacy (Default)
Ubuntu

"WSL .exe full path"의 기본값인 "$(windir)\sysnative\wsl.exe"는 "Legacy (Default)"에 해당하는 것으로 앱 제목이 "Bash on Ubuntu on Windows"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만약, Windows Store로부터 받은 "Ubuntu"와 연동하고 싶다면 "WSL .exe full path" 값을 다음과 같은 식으로 바꿔줘야 합니다.

C:\Program Files\WindowsApps\CanonicalGroupLimited.UbuntuonWindows_1804.2018.817.0_x64__79rhkp1fndgsc\ubuntu.exe

(위의 경로는 Ubuntu 앱을 실행하고 작업 관리자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환경 정보를 출력해 보면,

#include <cstdio>
#include <sys/utsname.h>
#include <string>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include <fcntl.h>
#include <unistd.h>

using namespace std;

string read_file(const char* filePath)
{
    string txt(4096, 0);

    int fd = open(filePath, O_RDONLY);
    read(fd, (void *)txt.data(), txt.size() - 1);

    close(fd);

    return txt;
}

int main()
{
    utsname info;
    uname(&info);
    
    printf("%s, %s, %s, %s, %s\n", info.sysname, info.nodename, info.release, info.version, info.machine);

    string txt = read_file("/etc/lsb-release");
    printf("%s", txt.c_str());

    return 0;
}

이런 차이가 있습니다.

[Bash on Ubuntu on Windows의 경우]
Linux, TESTPC, 4.4.0-17763-Microsoft, #379-Microsoft Wed Mar 06 19:16:00 PST 2019, x86_64
DISTRIB_ID=Ubuntu
DISTRIB_RELEASE=14.04
DISTRIB_CODENAME=trusty
DISTRIB_DESCRIPTION="Ubuntu 14.04.5 LTS"

[StoreApp Ubuntu의 경우]
Linux, TESTPC, 4.4.0-17763-Microsoft, #379-Microsoft Wed Mar 06 19:16:00 PST 2019, x86_64
DISTRIB_ID=Ubuntu
DISTRIB_RELEASE=16.04
DISTRIB_CODENAME=xenial
DISTRIB_DESCRIPTION="Ubuntu 16.04.6 LTS"




개인적으로 현재 Visual Studio로 리눅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어서 기대를 많이 했습니다. ^^ 그런데, 아직 좀 기다려야겠습니다. 왜냐하면, 일단 인텔리센스가 안 됩니다. WSL이 아닌 경우, 원격 리눅스로 SSH 연결 설정을 해 두면 자동으로 헤더 파일을 다운로드해 연동이 되는데요. WSL의 경우에는 그게 아니어도 된다고는 하지만,

In Visual Studio you no longer need to add a remote connection or configure SSH in order to build and debug on your local WSL installation.


어쨌든 결과적으로 인텔리센스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헤더 파일들에 전부 빨간색 밑줄이 그어집니다.) 그래도 이 부분은 경험이 있다면 WSL에 SSH 연결 설정하고 다운로드한 헤더 파일의 폴더를 리눅스 프로젝트에 설정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결정적으로 불편한게 하나 있다면, 실행할 때마다 빌드를 새롭게 한다는 점입니다. 아마도 이것은 조만간 수정될 듯하지만 그때까지는 일단 현재 프로젝트를 WSL로 변경하는 것은 미루기로 했습니다. (어차피 "Platform Toolset" 옵션 하나 변경하는 것이지만. ^^)

그 외에는 전체적으로 깔끔하게 통합된 것은 사실입니다.




참고로, 빌드 결과물이 다음과 같은 식의 경로에 남기 때문에,

F:\ConsoleApplication1\ConsoleApplication1\bin\x64\Debug\ConsoleApplication1.out

Ubuntu App에서 곧바로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 cd /mnt/f/ConsoleApplication1/ConsoleApplication1/bin/x64/Debug
$ ./ConsoleApplication1.out
Linux, THE11, 4.4.0-17763-Microsoft, #379-Microsoft Wed Mar 06 19:16:00 PST 2019, x86_64
DISTRIB_ID=Ubuntu
DISTRIB_RELEASE=16.04
DISTRIB_CODENAME=xenial
DISTRIB_DESCRIPTION="Ubuntu 16.04.6 LTS"




빌드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1>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Enterprise\MSBuild\Microsoft\VC\v160\Application Type\Linux\1.0\Linux.WSL.targets(188,5): error MSB4018: The "Compile" task failed unexpectedly.
1>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Enterprise\MSBuild\Microsoft\VC\v160\Application Type\Linux\1.0\Linux.WSL.targets(188,5): error MSB4018: liblinux.Local.WindowsSubsystemException: Could not find the WSL launcher: '"C:\Program Files\WindowsApps\CanonicalGroupLimited.UbuntuonWindows_1804.2018.817.0_x64__79rhkp1fndgsc\ubuntu.exe"'.

프로젝트 속성 창의 "WSL .exe full path"에 준 경로가 올바르지 않아서입니다. 가령 겹따옴표를 붙이면,

"C:\Program Files\WindowsApps\CanonicalGroupLimited.UbuntuonWindows_1804.2018.817.0_x64__79rhkp1fndgsc\ubuntu.exe"

Compile task에서 오류가 발생하므로 반드시 겹따옴표를 제거해야 합니다.

C:\Program Files\WindowsApps\CanonicalGroupLimited.UbuntuonWindows_1804.2018.817.0_x64__79rhkp1fndgsc\ubuntu.exe




또는, F5 디버깅을 눌렀을 때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나온다면?

Could not launch gdb. gdb is missing from your WSL system and needs to be installed, please use your system's package manager to install it.


대상 WSL 리눅스 배포본에 개발 관련 도구들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입니다. 혹시나 "WSL .exe full path"에 지정한 리눅스 배포본과 개발 도구를 설치한 배포본이 동일한 것인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8/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75정성태3/28/201814091디버깅 기술: 113. windbg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에 대한 덤프 분석
11474정성태3/27/201812298오류 유형: 459. xperf: error: TEST.Event: Invalid flags. (0x3ec).
11473정성태3/22/201816132.NET Framework: 734. C#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파일 다운로드2
11472정성태3/22/201812265개발 환경 구성: 356. GTX 1070, GTX 960, GT 640M의 cudaGetDeviceProperties 출력 결과
11471정성태3/20/201814858VC++: 125. CUDA로 작성한 RGB2RGBA 성능 [1]파일 다운로드1
11470정성태3/20/201816513오류 유형: 458. Visual Studio - CUDA 프로젝트 빌드 시 오류 C1189, expression must have a constant value
11469정성태3/19/201810366오류 유형: 457. error MSB3103: Invalid Resx file.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System.Windows.Forms, ...' or one of its dependencies.
11468정성태3/19/201810244오류 유형: 456. 닷넷 응용 프로그램 실행 시 0x80131401 예외 발생
11467정성태3/19/20189558오류 유형: 455. Visual Studio Installer - 업데이트 실패
11466정성태3/18/201811029개발 환경 구성: 355. 한 대의 PC에서 2개 이상의 DirectX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
11463정성태3/15/201812737.NET Framework: 733. 스레드 간의 read/write 시에도 lock이 필요 없는 경우파일 다운로드1
11462정성태3/14/201814613개발 환경 구성: 354. HTTPS 호출에 대한 TLS 설정 확인하는 방법 [1]
11461정성태3/13/201817765오류 유형: 454. 윈도우 업데이트 설치 오류 - 0x800705b4 [1]
11460정성태3/13/201811360디버깅 기술: 112. windbg - 닷넷 메모리 덤프에서 전역 객체의 내용을 조사하는 방법
11459정성태3/13/201811097오류 유형: 453. Debug Diagnostic Tool에서 mscordacwks.dll을 찾지 못하는 문제
11458정성태2/21/201812644오류 유형: 452. This share requires the obsolete SMB1 protocol, which is unsafe and could expose your system to attack. [1]
11457정성태2/17/201817471.NET Framework: 732. C# - Task.ContinueWith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11456정성태2/17/201822206.NET Framework: 731. C# - await을 Task 타입이 아닌 사용자 정의 타입에 적용하는 방법 [7]파일 다운로드1
11455정성태2/17/201812586오류 유형: 451. ASP.NET Core - An error occurred during the compilation of a resource required to process this request.
11454정성태2/12/201820855기타: 71. 만료된 Office 제품 키를 변경하는 방법
11453정성태1/31/201812399오류 유형: 450. Azure Cloud Services(classic) 배포 시 "Certificate with thumbprint ... doesn't exist." 오류 발생
11452정성태1/31/201817775기타: 70. 재현 가능한 최소한의 예제 프로젝트란? [3]파일 다운로드1
11451정성태1/24/201812622디버깅 기술: 111. x86 메모리 덤프 분석 시 닷넷 메서드의 호출 인자 값 확인
11450정성태1/24/201826171Windows: 146. PowerShell로 원격 프로세스(EXE, BAT) 실행하는 방법 [1]
11449정성태1/23/201815102오류 유형: 449. 단위 테스트 -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Microsoft.VisualStudio.QualityTools.VideoRecorderEngine' or one of its dependencies. [1]
11448정성태1/20/201812250오류 유형: 448. Fakes를 포함한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를 빌드 시 CS0619 관련 오류 발생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