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indows 7 SP1의 IIS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을 로드하는 방법

SQL 서버 Express 버전의 "User Instance" 기능을 오랜만에 테스트해 보았는데, SqlConnection.Open 시에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A network-related or instance-specific error occurred while establishing a connection to SQL Server. The server was not found or was not accessible. Verify that the instance name is correct and that SQL Server is configured to allow remote connections. (provider: SQL Network Interfaces, error: 0 - [x89C50120])


위의 테스트를 하는 시점의 IIS는 "Network Service" 계정으로 구동되었는데, 반면에 "Local System"으로 바꾼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SqlConnection.Open 기능이 되었습니다.

"User Instance" 기능이 "사용자 프로파일"을 요구하기 때문일 텐데요. 이상한 것은, AppPool의 옵션을 아래와 같이 바꿔봐도 여전히 "Network Service" / "Local Service" 계정에서는 오류가 계속되었습니다.

load_user_profile_on_win7sp1_1.png

Microsoft의 Connect 사이트를 통해 오류 보고를 했는데... 부끄럽게도 ^^ 이미 이에 대해 공개된 KB 자료를 알려주더군요.

Windows 7 SP1 causes IntelliTrace Collection to fail on IIS
; http://support.microsoft.com/kb/2547655

위의 해결 방법을 따라서, %windir%\system32\inetsrv\config\applicationHost.config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시킨 메모장에서 열어 <applicationPools> 내의 해당 AppPool 노드에 setProfileEnvironment="true" 값을 추가해 주었습니다.

<applicationPools>
    <add name="DefaultAppPool" />
    <add name="Classic .NET AppPool" enable32BitAppOnWin64="true" managedRuntimeVersion="v2.0" managedPipelineMode="Integrated" />
    <add name="ASP.NET v4.0" managedRuntimeVersion="v4.0" />
    <add name="ASP.NET v4.0 Classic" managedRuntimeVersion="v4.0" managedPipelineMode="Classic" />
    <add name="WebApp" autoStart="true" managedRuntimeVersion="v2.0" managedPipelineMode="Classic" />
    <add name="WoLoadProfile" autoStart="true" managedRuntimeVersion="v4.0">
        <processModel identityType="NetworkService" loadUserProfile="true" setProfileEnvironment="true" />
    </add>
    <applicationPoolDefaults>
        <processModel identityType="ApplicationPoolIdentity" loadUserProfile="true" setProfileEnvironment="false" />
    </applicationPoolDefaults>
</applicationPools>

제가 해본 바로는, iisreset 후에야 정상적으로 "User Instance" 기능이 동작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

setProfileEnvironment 이름만 들어도 대충 '환경 변수' 설정까지 모두 처리해 주는 옵션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굳이 이렇게 분리하게 된 원인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에서 Access 사례를 들어서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Windows 7 SP1, IIS and IntelliTrace 
; http://continuouslyintegrating.blogspot.com/2011/05/windows-7-sp1-iis-and-intellitrace.html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16정성태1/29/202117190Windows: 188. Windows - TCP default template 설정 방법
12515정성태1/28/202118897웹: 41. Microsoft Edge - localhost에 대해 http 접근 시 무조건 https로 바뀌는 문제 [3]
12514정성태1/28/202119147.NET Framework: 1021. C# - 일렉트론 닷넷(Electron.NET) 소개 [1]파일 다운로드1
12513정성태1/28/202116189오류 유형: 698. electronize - User Profile 디렉터리에 공백 문자가 있는 경우 빌드가 실패하는 문제 [1]
12512정성태1/28/202116742오류 유형: 697. The program can't start because VCRUNTIME140.dll is missing from your computer. Try reinstalling the program to fix this problem.
12511정성태1/27/202116384Windows: 187. Windows - 도스 시절의 8.3 경로를 알아내는 방법
12510정성태1/27/202117208.NET Framework: 1020. .NET Core Kestrel 호스팅 - Razor 지원 추가 [1]파일 다운로드1
12509정성태1/27/202117087개발 환경 구성: 524. Jupyter Notebook에서 C#(F#, PowerShell) 언어 사용을 위한 환경 구성 [3]
12508정성태1/27/202116358개발 환경 구성: 523. Jupyter Notebook - Slide 플레이 버튼이 없는 경우
12507정성태1/26/202116864VS.NET IDE: 157. Visual Studio - Syntax Visualizer 메뉴가 없는 경우
12506정성태1/25/202119955.NET Framework: 1019. Microsoft.Tye 기본 사용법 소개 [1]
12505정성태1/23/202116619.NET Framework: 1018. .NET Core Kestrel 호스팅 - Web API 추가 [1]파일 다운로드1
12504정성태1/23/202118687.NET Framework: 1017. .NET 5에서의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개선 (2) - HTTP/2, HTTP/3 관련 [1]
12503정성태1/21/202117103오류 유형: 696. C# - HttpClient: Requesting HTTP version 2.0 with version policy RequestVersionExact while HTTP/2 is not enabled.
12502정성태1/21/202117683.NET Framework: 1016. .NET Core HttpClient의 HTTP/2 지원파일 다운로드1
12501정성태1/21/202116606.NET Framework: 1015. .NET 5부터 HTTP/1.1, 2.0 선택을 위한 HttpVersionPolicy 동작 방식파일 다운로드1
12500정성태1/21/202117439.NET Framework: 1014. ASP.NET Core(Kestrel)의 HTTP/2 지원 여부파일 다운로드1
12499정성태1/20/202118773.NET Framework: 1013. .NET Core Kestrel 호스팅 - 포트 변경, non-localhost 접속 지원 및 https 등의 설정 변경 [1]파일 다운로드1
12498정성태1/20/202117143.NET Framework: 1012. .NET Core Kestrel 호스팅 - 비주얼 스튜디오의 Kestrel/IIS Express 프로파일 설정
12497정성태1/20/202119789.NET Framework: 1011. C# - OWIN Web API 예제 프로젝트 [1]파일 다운로드2
12496정성태1/19/202117136.NET Framework: 1010. .NET Core 콘솔 프로젝트에서 Kestrel 호스팅 방법 [1]
12495정성태1/19/202119501웹: 40. IIS의 HTTP/2 지원 여부 - h2, h2c [1]
12494정성태1/19/202118827개발 환경 구성: 522.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2]
12493정성태1/18/202116882.NET Framework: 1009. .NET 5에서의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개선 (1) - HTTP 관련 [1]파일 다운로드1
12492정성태1/17/202115826오류 유형: 695. ASP.NET 0x80131620 Failed to bind to address
12491정성태1/16/202117785.NET Framework: 1008. 배열을 반환하는 C# COM 개체의 메서드를 C++에서 사용 시 메모리 누수 현상 [1]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