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NET Core 3.0 preview 5를 이용해 Windows Forms/WPF 응용 프로그램 개발

.NET Core 3.0부터 윈도우 환경에 한해 WPF와 Windows Forms가 실행되도록 확장이 됩니다. 간단하게 실습해 볼까요? ^^

우선, 다음의 경로에서 (현재 Visual Studio 2019만 지원하는) x64 SDK와 x86 SDK를 모두 다운로드 합니다.

Download .NET SDKs for Visual Studio
; https://dotnet.microsoft.com/download/visual-studio-sdks

x64 - https://dotnet.microsoft.com/download/thank-you/dotnet-sdk-3.0.100-preview5-windows-x64-installer

x86 - https://dotnet.microsoft.com/download/thank-you/dotnet-sdk-3.0.100-preview5-windows-x86-installer

설치가 완료되면 Visual Studio의 새 프로젝트 템플릿에 다음과 같이 .NET Core 대상의 WPF와 Windows Forms 템플릿이 보입니다.

netcore3_windowsapp_1.png

그런데, 프로젝트 생성을 해보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To create this project type, go to Tools | Options | Projects and Solutions | .NET Core and check "Use preview versions of the .NET Core SDK"

이 문제를 수정하기 위해 (메시지와는 달리) Tools / Options / Environment / Preview Features로 가서 "Use previews of the .NET Core SDK" 항목을 체크해 준 후 Visual Studio 2019를 재시작해야 합니다.




일단, 재시작이 되면 프로젝트 생성은 이제 정상적으로 됩니다. 문제는, 현재(2019-06-11) Visual Studio 2019의 16.1.2 업데이트까지 .NET Core 프로젝트의 Windows Forms에 대한 디자이너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NET Core 3.0 용의 WPF XAML 디자이너는 Visual Studio 2019 16.1 업데이트부터 Preview 버전으로 제공됩니다.)

그래서 .NET Core Windowns Forms의 경우 디자인 화면이 다음과 같이 오류가 발생합니다.

netcore3_windowsapp_2.png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System.ComponentModel.TypeConverter, Version=4.2.1.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03f5f7f11d50a3a' or one of its dependencies.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System.Runtime, Version=4.2.1.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03f5f7f11d50a3a' or one of its dependencies.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이와 관련해서는 다음의 이슈에 잘 나옵니다.

WinForms Designer Support #147
; https://github.com/dotnet/winforms/issues/147

실제로 .NET Core 프로젝트의 readme.md에서도 이를 명시하고 있습니다.

dotnet/winforms/README.md
; https://github.com/dotnet/winforms/blob/master/README.md

Note: The Windows Forms visual designer is not yet available and will be part of a Visual Studio 2019 update.

따라서 현재로서는 그냥 기다리시면 됩니다. ^^




하지만 방법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닙니다. ^^ "WinForms Designer Support #147" 이슈에 보면 Zonciu라는 사람이 .NET Core가 아닌 .NET Framework 버전도 다중으로 지원한다는 설정을 통해 Visual Studio로 하여금 디자이너를 .NET Framework 환경으로 인식해 띄울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프로젝트 파일(csproj)을 다음과 같이 수정해야 합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WindowsDesktop">

  <PropertyGroup>
    <OutputType>WinExe</OutputType>
    <TargetFrameworks>net472;netcoreapp3.0</TargetFrameworks>
    <UseWindowsForms>true</UseWindowsForms>
  </PropertyGroup>

  <ItemGroup Condition=" '$(TargetFramework)' == 'net472' ">
    <Reference Include="System" />
    <Reference Include="System.Core" />
    <Reference Include="System.Xml.Linq" />
    <Reference Include="System.Data.DataSetExtensions" />
    <Reference Include="Microsoft.CSharp" />
    <Reference Include="System.Data" />
    <Reference Include="System.Deployment" />
    <Reference Include="System.Drawing" />
    <Reference Include="System.Net.Http" />
    <Reference Include="System.Windows.Forms" />
    <Reference Include="System.Xml" />
  </ItemGroup>
  <ItemGroup Condition=" '$(TargetFramework)' == 'net472' ">
    <!-- add From files to here to enable designer -->
    <Compile Update="Form1.cs">
      <SubType>Form</SubType>
    </Compile>
  </ItemGroup>

</Project>

새 프로젝트 생성 후, 위와 같이 csproj 파일을 변경해 주면 이제부터는 다시 Windows Forms 디자이너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실행은 .NET Framework 환경으로 다뤄지므로 디자이너로 대충 그려준 다음에는 TargetFrameworks 설정을 다음과 같이 TargetFramework 설정으로 바꿔줘야 합니다.

<!--TargetFrameworks>net472;netcoreapp3.0</TargetFrameworks-->
<TargetFramework>netcoreapp3.0</TargetFramework>

(주의 사항: "s"가 없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약간 번거롭긴 하지만, Visual Studio 2019가 향후 업그레이드할 때까지는 참고 쓸만할 것입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1/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06-11 10시23분
(.NET Core 3.0 preview를 설치했더라도) "Use previews of the .NET Core SDK" 항목이 체크되지 않은 경우, .NET Core 3.0 Preview 버전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를 로드하려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가 발생합니다.

The operation could not be completed

C:\WindowsFormsApp1\WindowsFormsApp1.csproj : error : The project file cannot be opened by the project system, because it is missing some critical imports or the referenced SDK cannot be found.

Detailed Information:
C:\Program Files\dotnet\sdk\2.2.300\Sdks\Microsoft.NET.Sdk.WindowsDesktop\Sdk not found. Check that a recent enough .NET Core SDK is installed and/or increase the version specified in global.json.

위의 메시지에 보면 .NET Core SDK 경로가 2.2.300으로 나오는데요. 다시 말해 비주얼 스튜디오는 "Use previews of the .NET Core SDK" 옵션이 켜져 있지 않으면 .NET Core 3.0 Preview 자체를 인지하지 않습니다. 심지어 프로젝트 속성 창에서 "Target framework"를 바꾸려고 해도 3.0은 목록에도 나오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정성태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38정성태5/16/201137768개발 환경 구성: 120. .NET 프로그래머에게도 유용한 Firebird 무료 데이터베이스 [2]
1037정성태5/11/201132699개발 환경 구성: 119. Visual Studio Professional 이하 버전에서도 TFS의 정적 코드 분석 정책 연동이 가능할까? [3]
1036정성태5/7/201199249오류 유형: 121. Access DB에 대한 32bit/64bit OLE DB Provider 관련 오류 [11]
1035정성태5/7/201133318오류 유형: 120. File cannot be opened. Ensure it is a valid Data Link file.
1034정성태5/2/201130016.NET Framework: 211. 파일 잠금 없이 .NET 어셈블리의 버전을 구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033정성태5/1/201136322웹: 19. IIS Express - appcmd.exe를 이용한 applicationHost.config 변경 [2]
1032정성태5/1/201132891웹: 18. IIS Express를 NT 서비스로 변경
1031정성태4/30/201133833웹: 17. IIS Express - "IIS Installed Versions Manager Interface"의 IIISExpressProcessUtility 구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030정성태4/30/201156619개발 환경 구성: 118. IIS Express - localhost 이외의 호스트 이름으로 접근하는 방법 [4]파일 다운로드1
1029정성태4/28/201144874개발 환경 구성: 117. XCopy에서 파일/디렉터리 확인 질문 없애기 [2]
1028정성태4/27/201142186오류 유형: 119. Visual Studio 2010 SP1 설치 후 Windows Phone 개발자 도구로 인한 재설치 문제 [3]
1027정성태4/25/201131265디버깅 기술: 40. 상황별 GetFunctionPointer 반환값 정리 - x86파일 다운로드1
1026정성태4/25/201150592디버깅 기술: 39. DebugDiag 1.1을 사용한 덤프 분석 [7]
1025정성태4/24/201132313개발 환경 구성: 116. IIS 7 관리자 - Active Directory Certification Authority로부터 SSL 사이트 인증서 받는 방법 [2]
1024정성태4/22/201133863오류 유형: 118. Windows 2008 서버에서 Event Viewer / PowerShell 실행 시 비정상 종료되는 문제 [1]
1023정성태4/20/201134269.NET Framework: 210. Windbg 환경에서 확인해 본 .NET 메서드 JIT 컴파일 전과 후 [1]
1022정성태4/19/201129442디버깅 기술: 38. .NET Disassembly 창에서의 F11(Step-into) 키 동작파일 다운로드1
1021정성태4/18/201131732디버깅 기술: 37. .NET 4.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함수에 BreakPoint 걸기
1020정성태4/18/201132990오류 유형: 117. Failed to find runtime DLL (mscorwks.dll), 0x80004005
1019정성태4/17/201133639디버깅 기술: 36. Visual Studio의 .NET Disassembly 창의 call 호출에 사용되는 주소의 의미는? [1]파일 다운로드1
1018정성태4/16/201137454오류 유형: 116. 윈도우 업데이트 오류 - 0x8020000E
1017정성태4/14/201132092개발 환경 구성: 115. MSBuild - x86/x64, .NET 2/4, debug/release 빌드에 대한 배치 처리파일 다운로드1
1016정성태4/13/201148061개발 환경 구성: 114. Windows Thin PC 설치 [2]
1015정성태4/9/201133324.NET Framework: 209. AutoReset, ManualReset, Monitor.Wait의 차이파일 다운로드1
1014정성태4/7/2011110873오류 유형: 115. ORA-12516: TNS:listener could not find available handler with matching protocol stack [2]
1013정성태4/7/201128755Team Foundation Server: 45. SharePoint 2010 + TFS 2010 환경에서 ProcessGuidance.html 파일 다운로드 문제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