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0개 있습니다.)

로컬의 Visual Studio Code로 원격 리눅스 머신에 접속해 개발하는 방법

얼마 전에 1.33.1 버전부터 지원된다는 소식을 들었었는데,

VS Code Remote Development
; https://code.visualstudio.com/docs/remote/remote-overview

이제서야 해보는군요. ^^ 방법은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일단 대상이 되는 리눅스 머신에 SSH 연결이 된 상황을 가정으로 설명해 보면, 우선 Visual Studio Code에 "Remote Development" 확장 팩을 설치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Remote Development
; https://marketplace.visualstudio.com/items?itemName=ms-vscode-remote.vscode-remote-extensionpack

그다음 ssh key를 대상 리눅스 머신에 등록해야 하는데요, 따라서 현재 사용자의 ssh key가 있어야 합니다. 만약 이미 전에 생성한 적이 있다면 다음의 경로에,

%USERPROFILE%\.ssh

id_rsa, id_rsa.pub 파일이 있을 것입니다. 있다면 그걸 사용하시고 없다면 다음의 명령어로 만들어야 합니다.

c:\temp> ssh-keygen -t rsa -b 4096
Generating public/private rsa key pair.
Enter file in which to save the key (%USERPROFILE%/.ssh/id_rsa):
Enter passphrase (empty for no passphrase):
Enter same passphrase again:
Your identification has been saved in %USERPROFILE%/.ssh/id_rsa.
Your public key has been saved in %USERPROFILE%/.ssh/id_rsa.pub.
The key fingerprint is:
SHA256:l5Tuxao...UYCFHtg testusr@TESTPC
The key's randomart image is:
+---[RSA 4096]----+
| o+ o +o..       |
|oo.o E. .  .     |
|ooo +..o  o      |
|.. =..+ .o o     |
|. .  o.oS = +    |
|  + oo+o.+ =     |
|  . .oo=. +      |
|     +..oo .     |
|     .oo. .      |
+----[SHA256]-----+

c:\temp>

이렇게 생성한 키에서 공개키 파일(id_rsa.pub)을 리눅스 머신 측에 등록하는데, 이를 위해 scp.exe로 리눅스 머신 측에 id_rsa.pub를 복사하고,

C:\temp> scp "%USERPROFILE%\.ssh\id_rsa.pub" tusr@192.168.100.50:~/tmp.pub
The authenticity of host '[192.168.100.50]:22 ([192.168.100.50]:22)' can't be established.
ECDSA key fingerprint is SHA256:5HAse+...[생략]...mGk+iI.
Are you sure you want to continue connecting (yes/no)?
Warning: Permanently added '[192.168.100.50]:22' (ECDSA) to the list of known hosts.
tusr@192.168.100.50's password:
id_rsa.pub                                                                            100%  747   145.7KB/s   00:00

C:\temp>

리눅스 머신에 접속해 방금 전에 복사했던 tmp.pub의 내용을 사용자 프로파일 하위에 있는 ~/.ssh/authorized_keys 파일에 추가(없으면 새로 생성)해 줍니다.

tusr@ubuntutest:~$ chmod 700 ~/.ssh
tusr@ubuntutest:~$ cat ~/tmp.pub >> ~/.ssh/authorized_keys
tusr@ubuntutest:~$ chmod 600 ~/.ssh/authorized_keys

끝입니다. 임시 파일은 삭제해 주고,

tusr@ubuntutest:~$ rm -f ~/tmp.pub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를 실행해 "Ctrl + Shift + P"를 눌러 "Command Palette"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선택한 다음,

Remote-SSH: Connect to Host...

여느 SSH 연결과 동일하게 사용자@서버 주소를 입력해 연결하면 됩니다. 그럼 새롭게 Visual Studio Code가 실행되고 그 프로세스 내에서의 모든 활동은 대상 리눅스 머신을 바탕으로 합니다.




참고로 SSH tunnel 설정 등의 이유로 포트를 명시하고 싶을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식으로 입력하면,

tusr@127.0.0.1:15000

접속할 수 없다고 나옵니다.

Can't connect to tusr@127.0.0.1:15000: unreachable or not Linux x86_64 (ssh: Could not resolve hostname 127.0.0.1:15000: No such host is known.)

이런 경우, "Remote-SSH: Forward Port from Active Host..." 명령을 이용해 포트 매핑을 설정한 파일을 생성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는데 이는 다음의 글을 참고하면 됩니다.

Forwarding a port / creating SSH tunnel
; https://code.visualstudio.com/docs/remote/ssh#_forwarding-a-port-creating-ssh-tunnel

개인적으로 저 방법보다는 "연결 파일"을 만들어 두는 것을 더 선호합니다. 왜냐하면 연결 파일을 만들어 두면 "Remote-SSH: Connect to Host..." 명령 후에 해당 파일이 목록에 나타나 바로 선택해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더 편리하기 때문입니다. 방법은 다음의 파일을 만들고,

%USERPROFILE%\.ssh\config

(확장자 없이 파일명 자체가 config)

내용을 이렇게 채워주면 됩니다.

# Read more about SSH config files: https://linux.die.net/man/5/ssh_config
Host testlinux
    HostName 127.0.0.1
    User tusr
    Port 15000

# 만약 기본 id_rsa 파일이 아닌 경우 별도로 IdentityFile을 이용해 경로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
Host node-vm
    HostName 127.0.0.1
    User tusr
    Port 16000
    IdentityFile ~/.ssh/id_hom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19/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0-04-01 01시36분
[yjm] 감사합니다^^ 아주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guest]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874정성태11/26/201526412개발 환경 구성: 278. 인증서와 인증서를 이용한 코드 사인의 해시 구분
10873정성태11/25/201525503.NET Framework: 540. C# - 부동 소수 계산 왜 이렇게 나오죠? (2) [3]파일 다운로드1
10872정성태11/24/201532541.NET Framework: 539. C# - 부동 소수 계산 왜 이렇게 나오죠? (1) [1]
10871정성태11/23/201528135오류 유형: 313. SignTool Error: No certificates were found that met all the given criteria.
10870정성태11/23/201529000오류 유형: 312. 윈도우 10 TH2 (버전 1511) 업데이트가 안되는 경우 [1]
10869정성태11/23/201524784오류 유형: 311. certutil 실행 오류 - 0x80070057 [1]
10868정성태11/20/201524643제니퍼 .NET: 25.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5) - RestSharp 라이브러리의 CPU High 현상파일 다운로드1
10867정성태10/18/201527217.NET Framework: 538. Thread.Abort로 인해 프로세스가 종료되는 현상
10866정성태10/14/201523404.NET Framework: 537. C# - Reflection의 박싱 없이 값 형식을 다루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865정성태10/13/201523168.NET Framework: 536. Thread.Abort의 스레드 종료 지연파일 다운로드1
10864정성태10/12/201521414.NET Framework: 535. aspnet.config 파일의 설정을 읽는 방법
10863정성태10/9/201526216.NET Framework: 534. ASP.NET 응용 프로그램이 예외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면?
10862정성태10/9/201524513오류 유형: 310. 비주얼 스튜디오 - Unspecified error (Exception from HRESULT: 0x80004005 (E_FAIL))
10861정성태10/9/201529210기타: 54. 도서: 시작하세요! C# 6.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2)
10860정성태10/5/201526659개발 환경 구성: 277. IIS AppPool의 시작/중단에 대한 이벤트 로그 확인 방법
10859정성태10/5/201527839.NET Framework: 533. C#에서 string 형식이 primitive일까요? [6]
10858정성태10/2/201524379VS.NET IDE: 105. Visual Studio의 단위 테스트 작성 시 Fakes를 이용한 메서드 재정의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0857정성태10/1/201520369VS.NET IDE: 104. Visual C++ 프로젝트의 빌드 이벤트에서 환경 변수 사용하는 방법
10856정성태9/30/201531698.NET Framework: 532. WPF DataGrid의 데이터 바인딩 시 리플렉션의 부하는 어느 정도일까요?파일 다운로드1
10855정성태9/30/201521310.NET Framework: 531. C# - XSLT 내의 javascript에 전달한 XML 노드의 타입은?
10854정성태9/30/201521846오류 유형: 309. C# - 포인터를 쓰는 경우 VerificationException이 발생한다면?
10853정성태9/21/201519592오류 유형: 308. 공백 문자를 포함한 계정명의 권한으로 Visual Studio 확장을 설치할 때 오류 발생
10852정성태9/17/201524655VC++: 92. C++ 생성자를 DLL로부터 동적 로드해 객체를 생성한다면? [2]파일 다운로드1
10851정성태9/15/201524337.NET Framework: 530. C# - 중위식을 후위식으로 변환하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0850정성태9/14/201522976.NET Framework: 529. C# - volatile 키워드로 인한 차이점을 발생시키는 예제 [1]파일 다운로드1
10849정성태9/14/201557105오류 유형: 307. CLR20r3 오류 해결을 위해 mscorlib.dll을 덮어쓸때 주의할 점 [12]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