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Linux: 13. node.js에서 syslog로 출력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908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node.js에서 syslog로 출력하는 방법

일단 node.js 개발 환경을 설치하고,

Ubuntu 16.04/18.04에서 node.js 최신 버전 설치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944

검색해 본 것 중에 다음의 모듈을 선택했습니다.

strongloop/modern-syslog
; https://github.com/strongloop/modern-syslog

$ sudo npm install modern-syslog

> modern-syslog@1.2.0 install /home/testusr/prjaux/node_modules/modern-syslog
> node-gyp rebuild

make: Entering directory '/home/testusr/prjaux/node_modules/modern-syslog/build'
  CXX(target) Release/obj.target/core/core.o
  SOLINK_MODULE(target) Release/obj.target/core.node
  COPY Release/core.node
make: Leaving directory '/home/testusr/prjaux/node_modules/modern-syslog/build'
/home/testusr/prjaux
└─┬ modern-syslog@1.2.0 
  └── nan@2.14.0 

npm WARN enoent ENOENT: no such file or directory, open '/home/testusr/prjaux/package.json'
npm WARN prjaux No description
npm WARN prjaux No repository field.
npm WARN prjaux No README data
npm WARN prjaux No license field.

그런데 실제 사용 시에는,

const syslog = require("modern-syslog")

syslog.info("test")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internal/modules/cjs/loader.js:805
  return process.dlopen(module, path.toNamespacedPath(filename));
                 ^

Error: The module '/home/testusr/prjaux/node_modules/modern-syslog/build/Release/core.node'
was compiled against a different Node.js version using
NODE_MODULE_VERSION 46. This version of Node.js requires
NODE_MODULE_VERSION 64. Please try re-compiling or re-installing
the module (for instance, using `npm rebuild` or `npm install`).
    at Object.Module._extensions..node (internal/modules/cjs/loader.js:805:18)
    at Module.load (internal/modules/cjs/loader.js:653:32)
    at tryModuleLoad (internal/modules/cjs/loader.js:593:12)
    at Function.Module._load (internal/modules/cjs/loader.js:585:3)
    at Module.require (internal/modules/cjs/loader.js:690:17)
    at require (internal/modules/cjs/helpers.js:25:18)
    at Object.<anonymous> (/home/testusr/prjaux/node_modules/modern-syslog/index.js:9:12)
    at Module._compile (internal/modules/cjs/loader.js:776:30)
    at Object.Module._extensions..js (internal/modules/cjs/loader.js:787:10)
    at Module.load (internal/modules/cjs/loader.js:653:32)
[nodemon] app crashed - waiting for file changes before starting...

메시지를 보면, NODE_MODULE_VERSION 46, NODE_MODULE_VERSION 64 차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process.dlopen 측의 영향이 더 큰 것 같습니다. 어쨌든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sudo 권한으로 다음과 같이 실행해야 합니다.

$ sudo node app.js
TEST

혹시, sudo 권한 없이 syslog 출력을 할 수 있는 모듈을 알고 있다면 덧글 부탁드립니다. (C/C++에서 sudo가 필요 없었으니, node.js도 굳이 필요하진 않을 듯한데요. ^^)




참고로, 윈도우의 Ubuntu 스토어 앱에서는 /var/log/syslog 파일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서비스 자체가 기본적으로 실행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미리 해당 서비스를 실행해 두어야 합니다.

$ service rsyslog status
 * rsyslogd is not running

$ sudo service rsyslog start
* Starting enhanced syslogd rsyslogd
[Ubuntu]
$ sudo tail -F /var/log/syslog

[CentOS 7]
$ sudo tail -F /var/log/messages




기타, syslog로 검색한 다른 패키지를 설치해봤더니,

Node-Syslog
; https://www.npmjs.com/package/node-syslog

이번엔 설치 단계에서 오류가 발생합니다.

$ npm install node-syslog

> node-syslog@1.2.0 install /home/testusr/prjaux/node_modules/node-syslog
> node-gyp rebuild

gyp WARN download NVM_NODEJS_ORG_MIRROR is deprecated and will be removed in node-gyp v4, please use NODEJS_ORG_MIRROR
gyp WARN download NVM_NODEJS_ORG_MIRROR is deprecated and will be removed in node-gyp v4, please use NODEJS_ORG_MIRROR
gyp WARN download NVM_NODEJS_ORG_MIRROR is deprecated and will be removed in node-gyp v4, please use NODEJS_ORG_MIRROR
make: Entering directory '/home/testusr/prjaux/node_modules/node-syslog/build'
  CXX(target) Release/obj.target/syslog/syslog.o
In file included from ../node-syslog.h:13:0,
                 from ../syslog.cc:1:
../compat.h:27:2: error: #error "Unsupported node.js version."
 #error "Unsupported node.js version."
  ^
../compat.h:62:53: error: ‘FunctionCallback’ has not been declared
                                                     FunctionCallback callback =
                                                     ^
...[생략]...

"Node-Syslog" 문서에 보면,

This module has been tested with:
node.js v0.8.16

0.8.16이라고 하는데, 엄청 옛날 버전인듯하고... 암튼 지원이 안 됩니다. 또 다른 것도 있지만 역시나 오류가 발생합니다.

$ sudo npm install syslog-node
npm WARN lifecycle unixlib@0.1.3~preinstall: cannot run in wd %s %s
 (wd=%s) unixlib@0.1.3 node-waf configure && node-waf build /home/kevin/prjaux/node_modules/.staging/unixlib-b6827233

> node-syslog@1.2.0 install /home/kevin/prjaux/node_modules/node-syslog
> node-gyp rebuild

make: Entering directory '/home/kevin/prjaux/node_modules/node-sysl
og/build'
  CXX(target) Release/obj.target/syslog/syslog.o
In file included from ../node-syslog.h:13:0,
                 from ../syslog.cc:1:
../compat.h:27:2: error: #error "Unsupported node.js version."
 #error "Unsupported node.js version."
  ^~~~~
../compat.h:62:53: error: ‘FunctionCallback’ has not been declared
                                                     FunctionCallback callback =
...[생략]...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5/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29정성태3/29/201323402개발 환경 구성: 188. SCOM 2012 - ASP.NET 모니터링 방법
1428정성태3/29/201324270개발 환경 구성: 187. SCOM 2012 환경 구성 - Management Packs
1427정성태3/29/201321322오류 유형: 171. SCOM 2012 - 원격 에이전트 설치 오류
1426정성태3/29/201324198개발 환경 구성: 186. SCOM 2012 환경 구성 - 관리 대상 추가
1424정성태3/21/201326062개발 환경 구성: 185. System Center 2012 Operations Manager 설치
1423정성태3/18/201320997오류 유형: 170. The specified domain either does not exist or could not be contacted.
1422정성태3/14/201323149오류 유형: 169. Windows 8/2012에 .NET 3.5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1421정성태3/13/201340466.NET Framework: 364. WCF RIA 서비스 + Silverlight 사용 예제
1420정성태3/12/201325161오류 유형: 168. ORA-12514: TNS:listener does not currently know of service requested in connect descriptor
1419정성태3/12/201321640Windows: 70. 관리 도구에서 "Windows Server Backup" 항목이 없는 경우
1418정성태2/28/201331574오류 유형: 167. Internet Explorer 10 설치 후 Flash 객체의 메서드/속성 접근 오류가 발생한다면?
1417정성태2/25/201327648.NET Framework: 363. ASP.NET AJAX PageMethods - ASPX.cs의 static 메서드를 AJAX로 호출파일 다운로드1
1416정성태2/22/201330248개발 환경 구성: 184. Xamarin 2.0 - Visual Studio에서 Android 앱을 폰으로 직접 배포하는 방법
1415정성태2/21/201337671개발 환경 구성: 183. Xamarin 2.0 - 윈도우 환경의 Visual Studio에서 C#으로 iOS/Android 응용 프로그램 개발 [4]파일 다운로드1
1414정성태2/21/201332815개발 환경 구성: 182. JMeter로 XML 웹 서비스 호출에 대한 부하 테스트 방법파일 다운로드2
1413정성태2/19/201332131VC++: 66. Chromium 컴파일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3]
1412정성태2/6/201334005VC++: 65. Python 소스코드를 Visual C++로 빌드하는 방법 [3]
1411정성태1/31/201349317개발 환경 구성: 181. 무료 데이터베이스 서버 성능 비교(SQL Server Express, IBM DB2 Express, MySQL, Sybase, PostgreSQL, Oracle XE) [9]
1410정성태1/31/201331132.NET Framework: 362.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Sybase DB 사용 [1]파일 다운로드1
1409정성태1/30/201335093.NET Framework: 361. C# - 공유기 관리 웹 페이지 인증 [4]파일 다운로드1
1408정성태1/29/201329880.NET Framework: 360.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DB2 Express-C 데이터베이스 사용 (2) [1]파일 다운로드1
1407정성태1/29/201328301.NET Framework: 359.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DB2 Express-C 데이터베이스 사용 (1)
1406정성태1/22/201322758개발 환경 구성: 180. Windows Server 2012 RC 버전을 RTM으로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1405정성태1/16/201344317.NET Framework: 358.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MySQL(MySqlConnector) 사용 [7]파일 다운로드1
1404정성태1/15/201329153개발 환경 구성: 179. Hyper-V VM 복사는 robocopy로. [2]
1403정성태1/14/201331979.NET Framework: 357. .NET 4.5의 2GB 힙 한계 극복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