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Linux: 17. CentOS 7에서 .NET Core Web App 실행 환경 구성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615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entOS 7에서 .NET Core Web App 실행 환경 구성

.NET Core 설치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의 공식 문서에 잘 나와 있습니다.

Install .NET Core SDK on Linux CentOS / Oracle - x64
; https://dotnet.microsoft.com/download/linux-package-manager/centos/sdk-current

간단하게 3개 명령어만 실행하면 됩니다.

$ sudo rpm -Uvh https://packages.microsoft.com/config/rhel/7/packages-microsoft-prod.rpm
$ sudo yum update -y
$ sudo yum install dotnet-sdk-2.2 -y

그런데, .NET Core Web App을 실행하려니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가 발생합니다.

$ dotnet CoreCoreLin.dll
Failed to load '...', error: libunwind.so.8: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Failed to bind to CoreCLR at '/home/tusr/corecorelin/libcoreclr.so'

왜? dotnet-sdk-2.2에 libunwind 의존성이 누락된 걸까요? ^^; 어쨌든 그냥 설치해 주면 됩니다.

[Centos 7]
$ sudo yum install libunwind

[Ubuntu]
$ sudo apt-get install -y libunwind-dev

이후, libunwind 오류는 사라지고 웹 앱이 정상적으로 잘 실행이 됩니다.

$ dotnet CoreCoreLin.dll
Hosting environment: Production
Content root path: /home/tusr/corecorelin
Now listening on: http://[::]:5000
Application started. Press Ctrl+C to shut down.

참고로, 위의 실행에서 5000번 포트를 사용하고 있는데 외부에서 접근하려면 CentOS 자체의 방화벽으로 막혀버립니다. 이럴 때는 해당 포트를 명시적으로 풀어줘야 합니다.

RHEL/CentOS 7에서 방화벽(firewalld) 설정하기
; https://www.lesstif.com/pages/viewpage.action?pageId=22053128

$ sudo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5000/tcp
$ sudo firewall-cmd --reload

아울러 윈도우 환경에서 IP가 아닌 서버 명을 이용해 접근하고 싶다면 samba 등의 설정을 추가해야 하고. ^^

우분투, Centos의 Netbios 호스트 이름 풀이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952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6/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06-28 09시19분
How to Upgrade Kernel on CentOS 7
; https://www.howtoforge.com/tutorial/how-to-upgrade-kernel-in-centos-7-server/

오늘 기준
$ uname -msr
Linux 5.1.15-1.el7.elrepo.x86_64 x86_64
정성태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521정성태11/1/201333541VS.NET IDE: 79. IIS 7.5 - Global.asax.cs처럼 초기에 실행되는 코드에 Breakpoint를 잡는 방법
1520정성태10/31/201328404오류 유형: 191. Visual Studio 2010 -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 시 "The project type is not supported by this installation." 오류 발생 해결
1519정성태10/31/201354144기타: 36. SYSTEM 또는 TrustedInstaller 소유로 되어 있는 폴더/파일을 삭제하는 방법 [5]
1518정성태10/30/201331704VS.NET IDE: 78. Visual Studio 확장으로 XmlCodeGenerator 제작하는 방법
1517정성태10/28/201330912디버깅 기술: 56. 덤프 파일에 핸들/스레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
1516정성태10/28/201336310.NET Framework: 390. FolderBrowserDialog보다 더 쓸만한 대화창이 필요하다면? [1]
1515정성태10/24/201338857VS.NET IDE: 77. Visual Studio 확장(VSIX) 만드는 방법 [5]
1514정성태10/24/201372916개발 환경 구성: 202. Internet Explorer 11을 7, 8, 9, 10 버전으로 인식시키는 방법 [9]파일 다운로드1
1513정성태10/23/201328302개발 환경 구성: 201. Azure Blob Storage의 DNS 경로를 사용자 DNS로 바꾸는 방법 [1]
1512정성태10/18/201331777개발 환경 구성: 200. IIS AppPool의 실행 계정을 변경하는 방법
1511정성태10/12/201329726.NET Framework: 389. The 3n + 1 problem의 C#/Java 버전 풀이 [2]
1510정성태10/8/201330681오류 유형: 190. 윈도우 서버 2012 R2 설치 후 인텔 NIC으로 인한 WMI 오류 발생
1509정성태10/8/201335979오류 유형: 189. Windows Server 8.1/2012 R2 - IME 비정상 종료 현상 [1]
1508정성태10/4/201330772.NET Framework: 388. 일반 닷넷 프로젝트에서 WinRT API를 호출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507정성태9/30/201328602오류 유형: 188. The key 'LocalizedPerfCounter' does not exist in the appSettings configuration section.
1506정성태9/30/201330999오류 유형: 187. Parameter "basePath" cannot be a relative path
1505정성태9/26/201379688기타: 35. Microsoft Office 2007 인증 생략하는 방법 [10]
1504정성태9/24/201333313.NET Framework: 387. UDP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해 서비스 측의 IP 주소를 구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503정성태9/21/201339094개발 환경 구성: 199. Visual Studio - github 연동 [7]
1502정성태9/21/201342827개발 환경 구성: 198. Visual Studio - git을 이용한 로컬 소스 컨트롤
1501정성태9/21/201351566개발 환경 구성: 197. Visual Studio를 위한 Git 환경 설정 [5]
1500정성태9/20/201349416.NET Framework: 386. C# 버전의 한글 형태소 분석기 [1]파일 다운로드1
1499정성태9/20/201325280개발 환경 구성: 196. Windows Azure - Cloud Service의 인스턴스 타입 변경하는 방법
1498정성태9/20/201332211Windows: 76. 윈도우 8.1 / 서버 2012 R2 마이그레이션 [5]
1497정성태9/20/201364778웹: 28. IE 11로 바꾼 후 발생하는 문제 정리
1496정성태9/20/201336374Windows: 75. 윈도우 8.1, 2012 R2 설치 후 원격 접속이 안 되는 문제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