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DXSDK_Jun10.exe 설치 시 "Error Code: S1023" 오류 해결하는 방법

요즘 Shader에 대한 강의가 Visual Studio Team 사이트에서 연재되고 있는데요. ^^

[포프의 쉐이더 입문강좌] 01. 쉐이더란 무엇이죠? Part 2
; http://vsts2010.net/640

소스 코드가 함께 첨부되어 있길래 호기심 삼아서 Visual Studio 2010에서 빌드해 보았습니다. (저는 DirectX 프로그램을 한 번도 해본 적이 없습니다. ^^)

그런데, 다음의 include에서 오류가 나더군요.

#include <d3dx9.h>

이를 해결하기 위해 DirectX SDK를 다운로드했습니다.

DirectX Software Development Kit
; http://www.microsoft.com/download/en/details.aspx?id=6812

2010년 6월이면 꽤(?) 되었군요. 어쨌든 다운로드 후 설치를 하는데, Visual C++ 구성 요소 설치 중 꼭 다음과 같은 식으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dx_install_error_1.png

Setup failed.
Errors were encountered during installation of redistributable packages.
Please close all open programs and try running setup again.
If problems persist, contact DirectX Developer Support.

Error Code: S1023


검색해 보니, 다행히 다음과 같은 해결책이 나옵니다.

DirectX SDK (June 2010) Installation Problems: Error Code S1023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4102259/directx-sdk-june-2010-installation-problems-error-code-s1023

위의 글에 따라 "C:\Users\[사용자계정]\AppData\Local\Temp" 폴더에 오늘 날짜의 HTML 파일을 찾아보았습니다.

Microsoft Visual C++ 2010  x86 Redistributable Setup_[YYYYMMDD]_[XXXXXXXXX].html

그 파일에는 위의 Q&A에 적힌 대로 동일하게 오류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Installation Blockers:
1. A newer version of Microsoft Visual C++ 2010 Redistributable has been detected on the machine.

Global Block Checks: StopBlockers evaluated to true.

Final Result: Installation failed with error code: (0x000013EC), "A StopBlock was hit or a System Requirement was not met." (Elapsed time: 0 00:00:01).


또한 DXSDK_Jun10.exe가 설치하려는 Visual C++ 2010 Redistributable 패키지에 대한 버전 정보가 함께 기록되어 있습니다.

Package Name = Microsoft Visual C++ 2010 x86 Redistributable Setup
Package Version = 10.0.30319

제어판에서 확인해 보니, 이미 제 컴퓨터에는 (10.0.30319 버전보다 높은) 10.0.40219 버전이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4개의 설치 파일을 제거했습니다. (Design Time 버전은 괜히 제거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

dx_install_error_2.png

그렇게 하고 DirectX 설치 파일(DXSDK_Jun10.exe)을 정상적으로 실행할 수 있었습니다.

(완료 후, 윈도우 업데이트를 하면 10.0.30319 버전에 대한 MFC 패치 - KB2467173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왠지 하위 버전으로 돌아간 것이 찜찜하더군요. ^^ 그래서 다시 10.0.40219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를 하기 위해 다음의 링크에서 다운로드해 설치를 했습니다.

Microsoft Visual C++ 2010 SP1 Redistributable Package (x86)
; http://www.microsoft.com/download/en/details.aspx?id=8328

Microsoft Visual C++ 2010 SP1 Redistributable Package (x64)
; http://www.microsoft.com/download/en/details.aspx?id=13523

그리고 다시 윈도우 업데이트를 하면 역시 MFC 패치(KB2565063)를 받습니다.




모든 준비를 마치고, 다시 BasicFramework 예제로 돌아가서 이번엔 빌드는 정상적으로 완료되지만, 되려 디버그 버전을 실행 시에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redist_debug_1.png

Visual Studio 2010을 다시 재설치하면 되겠는데, 이 작업이 귀찮아서 제 경우에는 Debug 관련 재배포 DLL들을 System32에 복사하는 것으로 임시 조치를 취했습니다. 지난번의 글이 바로 이 방법을 적어 놓은 것입니다.

Visual C++ 런타임 구성요소에 대한 디버그 버전 설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94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1/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2-10-28 07시07분
[66v] 오오오...
친절한 설명 덕분에 동일한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었어요.
감사합니다 ㅠㅠ
[guest]
2016-10-23 06시16분
[You r Best] 정성태님!!! 아 정말 감사 합니다.이것 때문에 고생 많이 했는데..검색도 많이하고 ㅠ..ㅠ
성태님 같은 분 덕택에 세상은 아직 살기 좋은거 같네여..좋은 하루 되시구 로또 1등 당첨 되세여^^
[guest]
2016-10-23 06시18분
[You r Best] 성태님 혹시 죄송 하지만..제가 지금 D3DCompiler_47 파일 누락 오류로,,프로그램 실행이 안되는데...해결방법 아시나요??커맨드 sfc /scannow 해봐도,,누락 파일 발견했지만 복구는 실패라고 뜨고,,안전모드에서도 안되네여...도움좀 부탁 드립니다.
[guest]
2016-10-24 12시33분
"You r Best" 님, 그 부분은 의존성 문제로 보이는데, 그렇게 컴파일된 바이너리를 실행하는 경우라면 해당 바이너리 제작자가 ..._47.dll을 설치 파일에 포함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만약 자신이 제작하는 것이라면 마찬가지로 다른 컴퓨터에 배포할 때는 _47.dll을 함께 배포하면 됩니다.
정성태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25정성태10/14/201719315.NET Framework: 689. CLR 4.0 환경에서 DLL 모듈의 로드 주소(Base address) 알아내는 방법
11324정성태10/13/201720906디버깅 기술: 101. windbg - "*** WARNING: Unable to verify checksum for" 경고 없애는 방법
11322정성태10/13/201718298디버깅 기술: 100. windbg - .NET 4.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메서드에 Breakpoint 걸기
11321정성태10/11/201719815.NET Framework: 688. NGen 모듈과 .NET Profiler
11320정성태10/11/201720611.NET Framework: 687. COR_PRF_USE_PROFILE_IMAGES 옵션과 NGen의 "profiler-enhanced images" [1]
11319정성태10/11/201728176.NET Framework: 686. C# - string 배열을 담은 구조체를 직렬화하는 방법
11318정성태10/7/201720942VS.NET IDE: 122.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관리자 권한을 요구하는 C# 콘솔 프로그램 제작 [1]
11317정성태10/4/201726115VC++: 120. std::copy 등의 함수 사용 시 _SCL_SECURE_NO_WARNINGS 에러 발생
11316정성태9/30/201724166디버깅 기술: 99. (닷넷) 프로세스(EXE)에 디버거가 연결되어 있는지 아는 방법 [4]
11315정성태9/29/201740244기타: 68. "시작하세요! C# 6.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구매하신 분들을 위한 C# 7.0/7.1 추가 문법 PDF [8]
11314정성태9/28/201722029디버깅 기술: 98.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닷넷 버전 확인하는 방법
11313정성태9/25/201719317디버깅 기술: 97. windbg - 메모리 덤프로부터 DateTime 형식의 값을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12정성태9/25/201722435.NET Framework: 685. C# - 구조체(값 형식)의 필드를 리플렉션을 이용해 값을 바꾸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11정성태9/20/201716845.NET Framework: 684. System.Diagnostics.Process 객체의 명시적인 해제 권장
11310정성태9/19/201720277.NET Framework: 683. WPF의 Window 객체를 생성했는데 GC 수집 대상이 안 되는 이유 [3]
11309정성태9/13/201718399개발 환경 구성: 335. Octave의 명령 창에서 실행한 결과를 복사하는 방법
11308정성태9/13/201719443VS.NET IDE: 121.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일부 텍스트 파일을 무조건 메모장으로만 여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307정성태9/13/201721978오류 유형: 421. System.Runtime.InteropServices.SEHException - 0x80004005
11306정성태9/12/201720047.NET Framework: 682. 아웃룩 사용자를 위한 중국어 스팸 필터 Add-in
11305정성태9/12/201721532개발 환경 구성: 334. 기존 프로젝트를 Visual Studio를 이용해 Github의 신규 생성된 repo에 올리는 방법 [1]
11304정성태9/11/201718654개발 환경 구성: 333. 3ds Max를 Hyper-V VM에서 실행하는 방법
11303정성태9/11/201721960개발 환경 구성: 332. Inno Setup 파일의 관리자 권한을 제거하는 방법
11302정성태9/11/201718186개발 환경 구성: 331. SQL Server Express를 위한 방화벽 설정
11301정성태9/11/201717091오류 유형: 420. SQL Server Express 연결 오류 - A network-related or instance-specific error occurred while establishing a connection to SQL Server.
11300정성태9/10/201720963.NET Framework: 681. dotnet.exe - run, exec, build, restore, publish 차이점 [3]
11299정성태9/9/201719693개발 환경 구성: 330. Hyper-V VM의 Internal Network를 Private 유형으로 만드는 방법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