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DXSDK_Jun10.exe 설치 시 "Error Code: S1023" 오류 해결하는 방법

요즘 Shader에 대한 강의가 Visual Studio Team 사이트에서 연재되고 있는데요. ^^

[포프의 쉐이더 입문강좌] 01. 쉐이더란 무엇이죠? Part 2
; http://vsts2010.net/640

소스 코드가 함께 첨부되어 있길래 호기심 삼아서 Visual Studio 2010에서 빌드해 보았습니다. (저는 DirectX 프로그램을 한 번도 해본 적이 없습니다. ^^)

그런데, 다음의 include에서 오류가 나더군요.

#include <d3dx9.h>

이를 해결하기 위해 DirectX SDK를 다운로드했습니다.

DirectX Software Development Kit
; http://www.microsoft.com/download/en/details.aspx?id=6812

2010년 6월이면 꽤(?) 되었군요. 어쨌든 다운로드 후 설치를 하는데, Visual C++ 구성 요소 설치 중 꼭 다음과 같은 식으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dx_install_error_1.png

Setup failed.
Errors were encountered during installation of redistributable packages.
Please close all open programs and try running setup again.
If problems persist, contact DirectX Developer Support.

Error Code: S1023


검색해 보니, 다행히 다음과 같은 해결책이 나옵니다.

DirectX SDK (June 2010) Installation Problems: Error Code S1023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4102259/directx-sdk-june-2010-installation-problems-error-code-s1023

위의 글에 따라 "C:\Users\[사용자계정]\AppData\Local\Temp" 폴더에 오늘 날짜의 HTML 파일을 찾아보았습니다.

Microsoft Visual C++ 2010  x86 Redistributable Setup_[YYYYMMDD]_[XXXXXXXXX].html

그 파일에는 위의 Q&A에 적힌 대로 동일하게 오류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Installation Blockers:
1. A newer version of Microsoft Visual C++ 2010 Redistributable has been detected on the machine.

Global Block Checks: StopBlockers evaluated to true.

Final Result: Installation failed with error code: (0x000013EC), "A StopBlock was hit or a System Requirement was not met." (Elapsed time: 0 00:00:01).


또한 DXSDK_Jun10.exe가 설치하려는 Visual C++ 2010 Redistributable 패키지에 대한 버전 정보가 함께 기록되어 있습니다.

Package Name = Microsoft Visual C++ 2010 x86 Redistributable Setup
Package Version = 10.0.30319

제어판에서 확인해 보니, 이미 제 컴퓨터에는 (10.0.30319 버전보다 높은) 10.0.40219 버전이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4개의 설치 파일을 제거했습니다. (Design Time 버전은 괜히 제거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

dx_install_error_2.png

그렇게 하고 DirectX 설치 파일(DXSDK_Jun10.exe)을 정상적으로 실행할 수 있었습니다.

(완료 후, 윈도우 업데이트를 하면 10.0.30319 버전에 대한 MFC 패치 - KB2467173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왠지 하위 버전으로 돌아간 것이 찜찜하더군요. ^^ 그래서 다시 10.0.40219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를 하기 위해 다음의 링크에서 다운로드해 설치를 했습니다.

Microsoft Visual C++ 2010 SP1 Redistributable Package (x86)
; http://www.microsoft.com/download/en/details.aspx?id=8328

Microsoft Visual C++ 2010 SP1 Redistributable Package (x64)
; http://www.microsoft.com/download/en/details.aspx?id=13523

그리고 다시 윈도우 업데이트를 하면 역시 MFC 패치(KB2565063)를 받습니다.




모든 준비를 마치고, 다시 BasicFramework 예제로 돌아가서 이번엔 빌드는 정상적으로 완료되지만, 되려 디버그 버전을 실행 시에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redist_debug_1.png

Visual Studio 2010을 다시 재설치하면 되겠는데, 이 작업이 귀찮아서 제 경우에는 Debug 관련 재배포 DLL들을 System32에 복사하는 것으로 임시 조치를 취했습니다. 지난번의 글이 바로 이 방법을 적어 놓은 것입니다.

Visual C++ 런타임 구성요소에 대한 디버그 버전 설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94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1/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2-10-28 07시07분
[66v] 오오오...
친절한 설명 덕분에 동일한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었어요.
감사합니다 ㅠㅠ
[guest]
2016-10-23 06시16분
[You r Best] 정성태님!!! 아 정말 감사 합니다.이것 때문에 고생 많이 했는데..검색도 많이하고 ㅠ..ㅠ
성태님 같은 분 덕택에 세상은 아직 살기 좋은거 같네여..좋은 하루 되시구 로또 1등 당첨 되세여^^
[guest]
2016-10-23 06시18분
[You r Best] 성태님 혹시 죄송 하지만..제가 지금 D3DCompiler_47 파일 누락 오류로,,프로그램 실행이 안되는데...해결방법 아시나요??커맨드 sfc /scannow 해봐도,,누락 파일 발견했지만 복구는 실패라고 뜨고,,안전모드에서도 안되네여...도움좀 부탁 드립니다.
[guest]
2016-10-24 12시33분
"You r Best" 님, 그 부분은 의존성 문제로 보이는데, 그렇게 컴파일된 바이너리를 실행하는 경우라면 해당 바이너리 제작자가 ..._47.dll을 설치 파일에 포함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만약 자신이 제작하는 것이라면 마찬가지로 다른 컴퓨터에 배포할 때는 _47.dll을 함께 배포하면 됩니다.
정성태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90정성태11/6/200626784    답변글 .NET Framework: 74.9. WCF에 SSL 적용 (2) - 서비스 제작파일 다운로드1
356정성태10/7/200622333COM 개체 관련: 19. COM의 Apartment를 이해해 보자. [8]
386light10/30/200617293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9.1. [답변]: COM 객체를 글로벌마샬으로 만든후, 사용한다.
355정성태10/9/200625033개발 환경 구성: 19. Internet_Zone 하위에 새로운 코드 그룹을 추가하는 예제 [4]파일 다운로드2
353정성태12/31/200633333개발 환경 구성: 18.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이야기 [3]
354정성태10/23/200635924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설치
372정성태12/31/200637803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2. 웹 사이트에 SSL을 적용 [3]
373정성태10/24/200629183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3.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1)
374정성태10/25/20062643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4.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2)
391정성태11/7/200630580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5. 사용자 인증서 발급
392정성태11/11/200643810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6. 인증서 관리 (1) - 내보내기/가져오기
394정성태11/9/200628312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7. 인증서 관리 (2) - 개인키를 내보낼 수 있는 유형의 인증서 발급 [1]
395정성태11/9/200640414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8. 인증서 관리 (3) - 인증서 MMC 관리자 사용
414정성태12/23/200632127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9.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 관리
428정성태12/31/200645012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0. IIS 7 - SSL 사이트 설정하는 방법 [4]
429정성태12/31/20063097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1. 서비스를 위한 인증서 설치
352정성태10/2/200620659개발 환경 구성: 17. VPC에 Linux 설치하는 방법 [1]
351정성태10/8/200623216개발 환경 구성: 16. 성태의 무식한(!) 리눅스 탐방기. [4]
349정성태9/26/200621972디버깅 기술: 10. C++/CLI에서 제공되는 명시적인 파괴자의 비밀
347정성태10/6/200625725디버깅 기술: 9. .NET IDisposable 처리 정리 [1]
346정성태9/23/200619253개발 환경 구성: 15. 툴박스에 컨트롤이 자동으로 나타나도록 해주는 옵션 설정
345정성태9/20/200618448오류 유형: 12. WCF 오류 메시지 - Error while trying to reflect on attribute 'MessageContractAttribute'
343정성태10/18/200630302개발 환경 구성: 14. SandCastle 사용법 (NDoc을 대체하는 문서화 도구) [1]파일 다운로드1
344정성태9/20/20062052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4.1. 오류 유형 - GAC 에 등록된 DLL 에 대한 문서화 시 오류
340정성태9/15/200619714개발 환경 구성: 13. ISO 파일을 가상 CD-ROM으로 매핑해주는 프로그램
339정성태9/14/200619212오류 유형: 11. ProtocolsSection?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