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 - PLplot의 16색 이상을 표현하는 방법과 subpage를 이용한 그리드 맵 표현

지난 글에서는 PLplot으로 Histogram 그리기와,

C# - MathNet으로 정규 분포를 따르는 데이터를 생성, PLplot으로 Histogram 표현
; https://www.sysnet.pe.kr/2/0/11946

색상 표현이 기본 16개의 palette로 관리된다고 했습니다.

C# - PLplot 색상 제어
; https://www.sysnet.pe.kr/2/0/11920

이 때문에, 만약 0 ~ 15 범위를 벗어나는 인덱스를 컬러 값 사용으로 바꾸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pl.col0(16);

/* 오류 발생
*** PLPLOT ERROR, ABORTING OPERATION ***
plcol0: Invalid color map entry: 16, aborting operation
*/

물론 16색을 초과하는 색상을 표현하는 방법이 있고, 이에 대해서는 PLplot 2번 예제에서 볼 수 있습니다.

PLplot - Example 02
; http://plplot.org/examples.php?demo=02

예를 들어, 100개의 추가 색상을 palette에 구성한다고 했을 때 R, G, B 색상 값을 담을 배열을 100 + 16만큼 마련합니다.

int[] r = new int[116];
int[] g = new int[116];
int[] b = new int[116];

그다음, 최하위의 기본 색상 16개는 theme 컬러의 원래 값으로 채워주고,

for (i = 0; i <= 15; i ++)
{
    pl.gcol0(i, out r[i], out g[i], out b[i]);
}

나머지 영역에 100개의 원하는 색상을 추가하면 됩니다.

for (i = 0; i <= 99; i++)
{
    r[i + 16] = ...;
    g[i + 16] = ...;
    b[i + 16] = ...;
}

마지막으로, 이렇게 새롭게 구성한 palette을 color map에 설정합니다.

pl.scmap0(r, g, b);

pl.col0(16); // 오류 없이 정상적으로 17번째 색상을 사용




색상은 해결되었으니, 이제 PLplot을 이용해 grid map처럼,

plplot_grid_map_1.png

표현하는 방법을 보겠습니다. 이것 역시, 색상과 동일한 예제에서 그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PLplot - Example 02
; http://plplot.org/examples.php?demo=02

그런데, 개념이 재미있습니다. ^^ 우선, 하나의 그림을 그리는 Canvas를 Page로 다루는데, 이 Page를 다시 여러 개의 Subpage로 나눌 수 있습니다.

private static void demo1(PLStream pl)
{
    pl.bop();

    int nx = 4;
    int ny = 4;

    {
        pl.ssub(nx, ny); // 하나의 화면을 4x4 canvas로 분할
    }

    pl.eop();
}

일단 subpage로 나눈 시점부터는 drawing 명령어들이 아무런 페이지도 선택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pl.adv 명령어를 한번 호출해 subpage를 선택하는 걸로 시작해야 합니다.

pl.adv(0); // next sub page를 선택, 최초 호출이면 (0,0) sub page 선택

그다음, 해당 subpage의 viewport와 window 영역을 설정하고,

double vmin = 0.0, vmax = 1.0;

pl.vpor(vmin, vmax, vmin, vmax);
pl.wind(vmin, vmax, vmin, vmax);

설정된 영역의 최소/최대 값을 기준으로 drawing 명령어를 사용하면 됩니다. 아래는 이것을 모두 통합한 소스 코드입니다.

private static void demo1(PLStream pl)
{
    pl.bop();

    int nx = 4;
    int ny = 4;

    {
        pl.ssub(nx, ny);

        draw_gridmap(pl, nx * ny, 0);
    }

    pl.eop();
}

private static void draw_gridmap(PLStream pl, int nw)
{
    double vmin = 0.0, vmax = 1.0;

    for (int i = 0; i < nw; i ++)
    {
        pl.col0(i);

        pl.adv(0);

        pl.vpor(vmin, vmax, vmin, vmax);
        pl.wind(vmin, vmax, vmin, vmax);

        plfbox(pl);
    }
}

private static void plfbox(PLStream pl)
{
    double[] x = { 0, 0, 1.0, 1.0 };
    double[] y = { 0, 1.0, 1.0, 0 };

    pl.fill(x, y);
}

위의 소스 코드는 기본 컬러 16 색상만 사용했지만, 만약 100개 색상으로 늘려 표현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소스 코드를 만들면 됩니다.

private static void demo2(PLStream pl)
{
    pl.bop();
    pl.ssub(10, 10);

    fillColor(pl, out int[] r, out int[] g, out int[] b);
    pl.scmap0(r, g, b);

    draw_gridmap(pl, 100, 16);

    pl.eop();
}

static void fillColor(PLStream pl, out int [] r, out int [] g, out int [] b)
{
    r = new int[116];
    g = new int[116];
    b = new int[116];

    double lmin = 0.15, lmax = 0.85;

    for (int i = 0; i <= 15; i++)
    {
        pl.gcol0(i, out r[i], out g[i], out b[i]);
    }

    for (int i = 0; i <= 99; i++)
    {
        double h, l, s;
        double r1, g1, b1;

        h = (360.0 / 10.0) * (i % 10);
        l = lmin + (lmax - lmin) * (i / 10) / 9.0;
        s = 1.0;

        pl.hlsrgb(h, l, s, out r1, out g1, out b1);
        r[i + 16] = (int)(r1 * 255.001);
        g[i + 16] = (int)(g1 * 255.001);
        b[i + 16] = (int)(b1 * 255.001);
    }
}

private static void draw_gridmap(PLStream pl, int nw, int cmap0_offset)
{
    double vmin = 0.0, vmax = 1.0;

    for (int i = 0; i < nw; i ++)
    {
        pl.col0(i + cmap0_offset);

        pl.adv(0);

        pl.vpor(vmin, vmax, vmin, vmax);
        pl.wind(vmin, vmax, vmin, vmax);

        plfbox(pl);
    }
}

plplot_grid_map_2.png

(이 글의 예제 코드는 github - PLplotGridmap에서 제공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9/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907정성태3/29/20255075VS.NET IDE: 198. (OneDrive, Dropbox 등의 공유 디렉터리에 있는) C# 프로젝트의 출력 경로 변경하기
13906정성태3/27/20255207닷넷: 2327. C# - 초기화되지 않은 메모리에 접근하는 버그?파일 다운로드1
13905정성태3/26/20255267Windows: 281. C++ - Windows / Critical Section의 안정화를 위해 도입된 "Keyed Event"파일 다운로드1
13904정성태3/25/20254368디버깅 기술: 218. Windbg로 살펴보는 Win32 Critical Section파일 다운로드1
13903정성태3/24/20253216VS.NET IDE: 197. (OneDrive, Dropbox 등의 공유 디렉터리에 있는) C++ 프로젝트의 출력 경로 변경하기
13902정성태3/24/20253952개발 환경 구성: 742. Oracle - 테스트용 hr 계정 및 데이터 생성파일 다운로드1
13901정성태3/9/20254299Windows: 280. Hyper-V의 3가지 Thread Scheduler (Classic, Core, Root)
13900정성태3/8/20255646스크립트: 72. 파이썬 - SQLAlchemy + oracledb 연동
13899정성태3/7/20253309스크립트: 71. 파이썬 - asyncio의 ContextVar 전달
13898정성태3/5/20254249오류 유형: 948. Visual Studio - Proxy Authentication Required: dotnetfeed.blob.core.windows.net
13897정성태3/5/20255475닷넷: 2326.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3896정성태3/5/20255205Windows: 279. Hyper-V Manager - VM 목록의 CPU Usage 항목이 항상 0%로 나오는 문제
13895정성태3/4/20255144Linux: 117. eBPF / bpf2go - Map에 추가된 요소의 개수를 확인하는 방법
13894정성태2/28/20254963Linux: 116. eBPF / bpf2go - BTF Style Maps 정의 구문과 데이터 정렬 문제
13893정성태2/27/20254206Linux: 115. eBPF (bpf2go) - ARRAY / HASH map 기본 사용법
13892정성태2/24/20256250닷넷: 2325.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91정성태2/23/20254470닷넷: 2324. C# - 프로세스의 성능 카운터용 인스턴스 이름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90정성태2/21/20254074닷넷: 2323. C# - 프로세스 메모리 중 Private Working Set 크기를 구하는 방법(Win32 API)파일 다운로드1
13889정성태2/20/20255909닷넷: 2322. C# - 프로세스 메모리 중 Private Working Set 크기를 구하는 방법(성능 카운터, WMI) [1]파일 다운로드1
13888정성태2/17/20254864닷넷: 2321. Blazor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13887정성태2/17/20256697닷넷: 2320. Blazor의 razor 페이지에서 code-behind 파일로 코드를 분리 및 DI 사용법
13886정성태2/15/20254545VS.NET IDE: 196. Visual Studio - Code-behind처럼 cs 파일을 그룹핑하는 방법
13885정성태2/14/20256551닷넷: 2319. ASP.NET Core Web API / Razor 페이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13884정성태2/13/20256872닷넷: 2318. C# - (async Task가 아닌) async void 사용 시의 부작용파일 다운로드1
13883정성태2/12/20256566닷넷: 2317. C# - Memory Mapped I/O를 이용한 PCI Configuration Space 정보 열람파일 다운로드1
13882정성태2/10/20254584스크립트: 70. 파이썬 - oracledb 패키지 연동 시 Thin / Thick 모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