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Linux: 20. C# - Linux에서의 Named Pipe를 이용한 통신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92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99. .NET 코드 - Named Pipe 닷넷 서버와 VC++ 클라이언트 제작
; https://www.sysnet.pe.kr/2/0/971

.NET Framework: 464. 프로세스 간 통신 시 소켓 필요 없이 간단하게 Pipe를 열어 통신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51

.NET Framework: 477. SeCreateGlobalPrivilege 특권과 WCF NamedPipe
; https://www.sysnet.pe.kr/2/0/1806

Linux: 20. C# - Linux에서의 Named Pipe를 이용한 통신
; https://www.sysnet.pe.kr/2/0/11964




C# - Linux에서의 Named Pipe를 이용한 통신

Named Pipe는 윈도우뿐만 아니라,

프로세스 간 통신 시 소켓 필요 없이 간단하게 Pipe를 열어 통신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51

.NET 코드 - Named Pipe 닷넷 서버와 VC++ 클라이언트 제작
; https://www.sysnet.pe.kr/2/0/971

C# - Hyper-V 가상 머신의 직렬 포트와 연결된 Named Pipe 간의 통신
; https://www.sysnet.pe.kr/2/0/11722

리눅스 환경에서도 지원합니다. 물론, 구현 방식은 운영체제의 특성을 타기 때문에 그런 차이는 감안을 해야 합니다. 그래도 역시 닷넷 수준에서는 사용 방식이 윈도우에서와 유사합니다.

// 서버 측
using (NamedPipeServerStream pipe = new NamedPipeServerStream("pipe_test1", 
    PipeDirection.InOut, NamedPipeServerStream.MaxAllowedServerInstances, PipeTransmissionMode.Byte))
{
    while (true)
    {
        Console.WriteLine("[Server] Waiting for client connection...");
        pipe.WaitForConnection();
        Console.WriteLine("[Server] Client Connected.");

        string txt = ReadString(pipe);
        Console.WriteLine("[Server] Read: " + txt);
        WriteString(pipe, "Echo: " + txt);
        pipe.Disconnect();
    }
}

// 클라이언트 측
using (NamedPipeClientStream pipe  = new NamedPipeClientStream("pipe_test1"))
{
    pipe.Connect(3000);
    WriteString(pipe, "test2");
    Console.WriteLine("[Client] Read: " + ReadString(pipe));
}

static void WriteString(PipeStream pipe, string text)
{
    byte [] buf = Encoding.UTF8.GetBytes(text);

    WriteInt32(pipe, buf.Length);
    pipe.Write(buf, 0, buf.Length);
}

static string ReadString(PipeStream pipe)
{
    int sentBytes = ReadInt32(pipe);
    byte [] buf = new byte[sentBytes];

    pipe.Read(buf, 0, buf.Length);
    return Encoding.UTF8.GetString(buf, 0, buf.Length);
}

static void WriteInt32(PipeStream pipe, int value)
{
    byte [] buf = BitConverter.GetBytes(value);
    pipe.Write(buf, 0, buf.Length);
}

static int ReadInt32(PipeStream pipe)
{
    byte [] intBytes = new byte[4];
    pipe.Read(intBytes, 0, 4);

    return BitConverter.ToInt32(intBytes, 0);
}

웹 검색을 해보면 리눅스의 mkfifo가,

Linux mkfifo Command Tutorial for Beginners (with Examples)
; https://www.howtoforge.com/linux-mkfifo-command/

the default access permissions for named pipes is 'rw', 'rw', and 'r' (for user, group, and others, respectively).

NamedPipeServerStream의 기반은 아니고 소켓 기반이라고 합니다.

NamedPipeServerStream creates a socket not a fifo on ubuntu 
; https://github.com/dotnet/corefx/issues/25792

실제로 Named Pipe를 생성하면 "p" 유형이 아닌 "s" 유형으로 생성하는 데, 예를 들어 위와 같은 코드로 pipe를 생성하면 다음과 같은 식의 파일이 생성됩니다.

$ ls /tmp/Core* -l
srwxrwxr-x. 1 tuser tuser 0 Jun 26 13:48 /tmp/CoreFxPipe_tuser.F.RJrq9HeuOr
srwxrwxr-x. 1 tuser tuser 0 Jun 26 14:17 /tmp/CoreFxPipe_pipe_test1
srwxrwxr-x. 1 tuser tuser 0 Jun 26 14:17 /tmp/CoreFxPipe_vsdbg-ui-95cbe06919614425931f87c78e612760

(이 글의 예제 코드는 github - NamedPipeSample에서 제공합니다.)




Unix Domain Socket과 마찬가지로 파일 기반이라는 점 때문에 root 권한의 프로세스에서 pipe를 생성한 것과,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 pipe를 생성한 것은 각각 접근 권한이 다릅니다.

[root 권한으로 실행]
srwxr-xr-x. 1 root  root  0 Jun 26 11:44 /tmp/CoreFxPipe_pipe_test1

[user 권한으로 실행]
srwxrwxr-x. 1 tuser tuser 0 Jun 26 14:17 /tmp/CoreFxPipe_pipe_test1

따라서 root 프로세스가 생성한 pipe를 일반 사용자 프로세스에서 연결하려면 다음과 같은 식의 예외가 발생합니다.

Permission denied /tmp/CoreFxPipe_pipe_test1

Exception has occurred: CLR/System.Net.Internals.SocketExceptionFactory.ExtendedSocketException
An unhandled exception of type 'System.Net.Internals.SocketExceptionFactory.ExtendedSocketException' occurred in System.IO.Pipes.dll: 'Permission denied'
   at System.Net.Sockets.Socket.DoConnect(EndPoint endPointSnapshot, SocketAddress socketAddress)
   at System.Net.Sockets.Socket.Connect(EndPoint remoteEP)
   at System.IO.Pipes.NamedPipeClientStream.TryConnect(Int32 timeout, CancellationToken cancellationToken)
   at System.IO.Pipes.NamedPipeClientStream.ConnectInternal(Int32 timeout, CancellationToken cancellationToken, Int32 startTime)
   at System.IO.Pipes.NamedPipeClientStream.Connect(Int32 timeout)
   at testd.Program.Main(String[] args) in /home/tuser/testd/Program.cs:line 34

마찬가지로 그런 경우 사전에 다음과 같은 식의 전처리는 해줘야 합니다.

$ sudo chmod 777 /tmp/CoreFxPipe_pipe_test1 

$ ls /tmp/CoreFxPipe_pipe_test1 -l
srwxrwxrwx. 1 root  root  0 Jun 26 16:14 /tmp/CoreFxPipe_pipe_test1

문제는 pipe 이름 앞에 "/tmp/CoreFxPipe_"가 붙는다는 것인데 딱히 공식 문서가 없는 걸로 봐서 향후에도 100% 변경되지 않는다는 보장은 할 수 없습니다. (소스 코드에 하드 코딩된 형태입니다.)

또는, root가 생성한 pipe 서버가 read 권한은 허용하므로 client가 연결하면서 rw 유형의 pipe 서버를 새로 생성해 서버로 하여금 그 pipe에 연결하도록 (번거롭지만) 구현하는 것도 가능할 것입니다.

어쨌든 그렇다 해도, /tmp 폴더에 생성됨으로 인해 systemd-tmpfiles 또는 tmpwatch 등의 데몬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데, 사용(Read/Write) 동작에도 파일의 Access/Modify/Change 시간이 변경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root 권한의 프로세스가 생성했어도 특별히 자식 프로세스에 한해 별다른 권한 조정 없이 통신할 수 있는 방법도 있습니다.

AnonymousPipeServerStream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io.pipes.anonymouspipeserverstream?view=netcore-2.1

익명이기 때문에 /tmp 폴더에 파일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systemd-tmpfiles 또는 tmpwatch 등의 데몬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여러 가능성을 종합해보면, Named Pipe 자원은 가능한 부모/자식 프로세스 사이에서의 IPC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외의 경우라면 Domain Socket을 고려하거나, 아니면 포트 관리의 귀찮음만 아니면 일반 소켓도 "127.0.0.1"로 바인딩해 사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WaitForPipeDrain 메서드의 경우 리눅스에서는 지원하지 않으므로 다음의 예외가 발생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PlatformNotSupportedException: Operation is not supported on this platform.
at System.IO.Pipes.PipeStream.WaitForPipeDrain()
at testd.ServiceModule.threadFunc(Object obj) in D:\testd\ServiceModule.cs:line 58
at System.Threading.Thread.ThreadMain_ParameterizedThreadStart(Object parameter)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Internal(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 End of stack trace from previous location where exception was thrown ---
at System.Runtime.ExceptionServices.ExceptionDispatchInfo.Throw()




현재 시점(2019-06-29)의 NamedPipeServerStream은 리눅스에서 PipeTransmissionMode.Message 유형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를 사용하려고 하면,

using (NamedPipeServerStream pipe = new NamedPipeServerStream("pipe_test1", 
                PipeDirection.InOut, NamedPipeServerStream.MaxAllowedServerInstances, PipeTransmissionMode.Message))
{
}

다음과 같은 식의 예외가 발생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PlatformNotSupportedException: Message transmission mode is not supported on this platform.
   at System.IO.Pipes.NamedPipeServerStream.Create(String pipeName, PipeDirection direction, Int32 maxNumberOfServerInstances, PipeTransmissionMode transmissionMode, PipeOptions options, Int32 inBufferSize, Int32 outBufferSize, HandleInheritability inheritability)
   at System.IO.Pipes.NamedPipeServerStream..ctor(String pipeName, PipeDirection direction, Int32 maxNumberOfServerInstances, PipeTransmissionMode transmissionMode, PipeOptions options, Int32 inBufferSize, Int32 outBufferSize, HandleInheritability inheritability)
   at System.IO.Pipes.NamedPipeServerStream..ctor(String pipeName, PipeDirection direction, Int32 maxNumberOfServerInstances, PipeTransmissionMode transmissionMode)
   at testd.Program.threadFunc() in /home/tuser/testd/Program.cs:line 37
   at System.Threading.Thread.ThreadMain_ThreadStart()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Internal(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 End of stack trace from previous location where exception was thrown ---
   at System.Runtime.ExceptionServices.ExceptionDispatchInfo.Throw()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73정성태6/20/201127159오류 유형: 127. Visual Studio에서 WCF 서비스의 이름 변경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1072정성태6/19/201126630.NET Framework: 224. EF 4.1 Code First에서 Identity 칼럼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71정성태6/19/201130182.NET Framework: 223. Entity Framework 4.1의 Code First를 이용한 SQL Azure 데이터베이스 생성 [3]파일 다운로드1
1070정성태6/19/201127694.NET Framework: 222. Windows Azure - VM Role 베타 프로그램 참여 [2]
1069정성태6/18/201127788.NET Framework: 221. Cache 영향을 받지 않는 DNS 이름 풀이 [2]파일 다운로드1
1068정성태6/16/201125386개발 환경 구성: 127. Portable Library - 닷넷 N-Screen용 공통 라이브러리 제작 [1]
1067정성태6/15/201124953오류 유형: 126. Windows failed to apply the Group Policy Folder Options settings. [1]
1066정성태6/14/201127977개발 환경 구성: 126. MSDN 구독자 - Windows Azure 무료 서비스 신청하는 방법 [4]
1065정성태6/13/201132797개발 환경 구성: 125. Firebird - 유니코드 기본 문자셋 지정
1064정성태6/11/201127451웹: 22. Visual Studio 2010에서 CSS 3 인텔리센스(intellisense) 지원하는 방법 [1]
1063정성태6/10/201129049웹: 21. Sysnet 웹 사이트의 CSS 2.1 변환 기록 [1]
1062정성태6/9/201129201웹: 20. Sysnet 웹 사이트의 HTML5 변환 기록 [1]
1061정성태6/8/201127448오류 유형: 125. 인터넷 익스플로러 - 개발자 도구에서 정지점(BP: Breakpoint) 설정이 안 되는 경우 [1]
1060정성태6/8/201124010VC++: 51. PHP 모듈의 F5 디버깅
1059정성태6/6/201129132VC++: 50. PHP 모듈 - php_mysql 빌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58정성태6/5/201132782개발 환경 구성: 124. .NET 개발자가 처음 해보는 PHP + MySQL 연동 [2]
1057정성태6/4/201130160VC++: 49. 소스 코드로부터 php5apache2_2.dll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56정성태6/2/201128318VC++: 48. 윈도우에서 Apache Module - Content Handler 컴파일파일 다운로드1
1055정성태6/1/201125537오류 유형: 124. MVC 프로젝트의 Site.Master 관련 오류 정리
1054정성태5/31/201129787.NET Framework: 220. ASP.NET MVC Web Site 프로젝트 - 단위 테스트 작성파일 다운로드1
1053정성태5/31/201132318VC++: 47. Apache Module에 대한 'F5 디버그 (Start with debugging)' [2]
1052정성태5/30/201129949.NET Framework: 219. ASP.NET MVC Web Site 프로젝트 구성하기파일 다운로드1
1051정성태5/28/201138427VC++: 46. 윈도우에서 Apache Module 컴파일 (VC++)파일 다운로드1
1050정성태5/28/201124609오류 유형: 123. Firebird - Exception of type 'FirebirdSql.Data.Common.IscException' was thrown.
1049정성태5/28/201130299.NET Framework: 218. WCF REST 서비스 - 웹 브라우저 측 Ajax 호출 캐시 [1]
1048정성태5/27/201132238개발 환경 구성: 123. Apache 소스를 윈도우 환경에서 빌드하기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