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 Code + Remote Development"로 윈도우 환경에서 리눅스(CentOS 7) C/C++ 개발

정말이지, "Visual Studo Code"는 명작입니다. ^^; Python, node.js, Java, C# 등의 다양한 언어 지원은 물론이고, 게다가 "Remote Development"도 가능해서 윈도우 환경임에도 전혀 불편하지 않게 리눅스 프로그램 개발을 아주 매끄럽게 할 수 있습니다. 어설픈 ssh 클라이언트 도구로 연결해 불편하게 개발을 해야 했던 시절과 비교하면 정말 천국과 다름없는 ^^ 환경입니다.

자, 그럼 이번에는 C++ 소스 코드를 윈도우에서 실행한 Visual Studio Code로 원격 리눅스에 연결해 작업을 해보겠습니다. 이를 위해 우선 C/C++ 확장을 설치합니다.

C/C++ for Visual Studio Code (Preview)
; https://code.visualstudio.com/docs/languages/cpp

그런 다음 "Remote Development"로 CentOS에 연결해,

로컬의 Visual Studio Code로 원격 리눅스 머신에 접속해 개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942

관련 개발 도구를 설치해 줍니다.

/* 아래의 구성 요소 없이 Visual Studio에서 빌드하면 오류 발생
error : Could not find the specified C/C++ compiler 'g++'. Please make sure that a default C/C++ compiler is installed on the Linux system '...'. You can install a compiler using your system's package manager. If overriding the default compilers, please check that the compiler is installed in the specified path.
*/

$ sudo yum install gcc gcc-c++ make gdb

그럼, 준비는 모두 끝입니다. 이제 C++ 소스 코드 파일 하나 만들어서,

#include <cstdio>

int main()
{
    printf("hello from app1!\n");
    return 0;
}

"Ctrl + Shift + B"를 눌러 빌드 작업을 수행하려고 하면 다음과 같은 선택 메뉴가 뜹니다.

gcc_centos_vscode_1.png

"C/C++: g++ build active file"을 수행하면 현재 에디터에서 선택한 test.cpp 파일이 빌드가 됩니다. ^^ 이제 같은 폴더에 보면 "test" 파일이 생성되어 있고 TERMINAL을 이용해 실행해 볼 수 있습니다.

$ ./test
hello from app1!

당연히 Ctrl + F5 또는 F5를 누르면 디버거로 "C++ (GDB/LLDB)" 항목을 선택해 BreakPoint가 지원되는 환경을 누릴 수 있습니다. 참고로, 디버깅을 하는 경우 tasks.json 파일과 launch.json 파일이 함께 생성됩니다.




디버깅 시도와 함께 생성된 tasks.json 파일을 사용하면 출력 파일명도 바꿀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est"를 "test.out"으로 변경하고 싶다면 관련 "args"를 수정하면 됩니다.

{
    // See https://go.microsoft.com/fwlink/?LinkId=733558 
    // for the documentation about the tasks.json format
    "version": "2.0.0",
    "tasks": [
        {
            "type": "shell",
            "label": "g++ build active file",
            "command": "/usr/bin/g++",
            "args": [
                "-g",
                "${file}",
                "-o",
                "${fileDirname}/${fileBasenameNoExtension}.out"
            ],
            "options": {
                "cwd": "/usr/bin"
            },
            "problemMatcher": [
                "$gcc"
            ]
        }
    ]
}

또한, launch.json에 이런 변경 사항을 반영해야 디버깅 시작 시 정상적으로 .out 파일이 실행됩니다.

{
    // Use IntelliSense to learn about possible attributes.
    // Hover to view descriptions of existing attributes.
    // For more information, visit: https://go.microsoft.com/fwlink/?linkid=830387
    "version": "0.2.0",
    "configurations": [
        {
            "name": "g++ build and debug active file",
            "type": "cppdbg",
            "request": "launch",
            "program": "${fileDirname}/${fileBasenameNoExtension}.out",
            "args": [],
            "stopAtEntry": false,
            "cwd": "${workspaceFolder}",
            "environment": [],
            "externalConsole": false,
            "MIMode": "gdb",
            "setupCommands": [
                {
                    "description": "Enable pretty-printing for gdb",
                    "text": "-enable-pretty-printing",
                    "ignoreFailures": true
                }
            ],
            "preLaunchTask": "g++ build active file",
            "miDebuggerPath": "/usr/bin/gdb"
        }
    ]
}




외부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는 경우, 가령 다음의 소스 코드를 빌드하면,

#include <cstdio>
#include <dlfcn.h>

#define RTLD_DELAY 0x00001

int main()
{
    printf("hello from app1!\n");

    dlopen("libsayhello.so", RTLD_DELAY);
    return 0;
}

dlopen 함수로 인해 오류 메시지가 발생하는데,

Executing task: /usr/bin/g++ -g /home/tusr/testapp/test.cpp -o /home/tusr/testapp/test <

/tmp/ccGSwEUW.o: In function `main':
/home/tusr/testapp/test.cpp:10: undefined reference to `dlopen'
collect2: error: ld returned 1 exit status
The terminal process terminated with exit code: 1

역시 tasks.json의 "args" 항목에 다음과 같이 g++ 실행 시의 라이브러리 의존 추가 옵션을 넣으면 됩니다.

{
    // See https://go.microsoft.com/fwlink/?LinkId=733558 
    // for the documentation about the tasks.json format
    "version": "2.0.0",
    "tasks": [
        {
            "type": "shell",
            "label": "g++ build active file",
            "command": "/usr/bin/g++",
            "args": [
                "-g",
                "${file}",
                "-o",
                "${fileDirname}/${fileBasenameNoExtension}.out",
                "-ldl"
            ],
            "options": {
                "cwd": "/usr/bin"
            },
            "problemMatcher": [
                "$gcc"
            ]
        }
    ]
}




참고로, 빌드(Ctrl + Shift + B)는 반드시 해당 파일이 선택된 상태에서 해야 합니다. 만약, tasks.json 파일을 선택한 상태에서 빌드를 하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test.cpp 파일 대신 tasks.json 파일이 인자로 전달됩니다.

> Executing task: /usr/bin/g++ -g /home/kevin/testcpp/.vscode/tasks.json -o /home/kevin/testcpp/.vscode/tasks -ldl <

/usr/bin/ld:/home/kevin/testcpp/.vscode/tasks.json: file format not recognized; treating as linker script
/usr/bin/ld:/home/kevin/testcpp/.vscode/tasks.json:1: syntax error
collect2: error: ld returned 1 exit status
The terminal process terminated with exit code: 1

물론, tasks.json에 다음과 같이 명시적으로 파일 명을 기록해 주는 것으로 우회할 수는 있습니다.

{
    "tasks": [
        {
            "type": "shell",
            "label": "g++ build active file",
            "command": "/usr/bin/g++",
            "args": [
                "-g",
                "${workspaceFolder}/test.cpp",
                "-o",
                "${workspaceFolder}/test.out",
                "-ldl"
            ],
            "options": {
                "cwd": "/usr/bin"
            },

            // 아래의 옵션을 추가하면 Ctrl + Shift + B를 누른 경우, 메뉴 선택 없이 곧바로 빌드가 수행됨
            "group": {
                "kind": "build",
                "isDefault": true
            }
        }
    ],
    "version": "2.0.0"
}

이 정도면, 대충 어떤 식인지 감이 오셨겠죠?! ^^




tasks.json 등의 파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변수는 다음의 공식 문서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Variables Reference
; https://code.visualstudio.com/docs/editor/variables-reference

물론 복잡한 프로젝트라면 make 파일 등를 만들어 관리하거나 비주얼 스튜디오를 이용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프로젝트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프로그램 개발 환경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844

반면, 저렇게 간단한 코드를 빠르게 테스트하고 싶을 때는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가 좋은 선택이 될 것입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3/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949정성태4/28/201619866.NET Framework: 575. SharedDomain과 JIT 컴파일파일 다운로드1
10948정성태4/28/201623813.NET Framework: 574. .NET - 눈으로 확인하는 SharedDomain의 동작 방식 [3]파일 다운로드1
10947정성태4/27/201621677.NET Framework: 573. .NET CLR4 보안 모델 - 4. CLR4 보안 모델에서의 조건부 APTCA 역할파일 다운로드1
10946정성태4/26/201624508VS.NET IDE: 106. Visual Studio 2015 확장 - INI 파일을 위한 사용자 정의 포맷 기능 (Syntax Highlighting)파일 다운로드1
10945정성태4/26/201618253오류 유형: 327. VSIX 프로젝트 빌드 시 The "VsTemplatePaths" task could not be loaded from the assembly 오류 발생
10944정성태4/22/201619499디버깅 기술: 80. windbg - 풀 덤프 파일로부터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찾는 방법
10943정성태4/22/201624356디버깅 기술: 79. windbg - 풀 덤프 파일로부터 .NET DLL을 추출/저장하는 방법 [1]
10942정성태4/19/201619662디버깅 기술: 78. windbg 사례 - .NET 예외가 발생한 시점의 오류 분석 [1]
10941정성태4/19/201619572오류 유형: 326. Error MSB8020 - The build tools for v120_xp (Platform Toolset = 'v120_xp') cannot be found.
10940정성태4/18/201622828Windows: 116. 프로세스 풀 덤프 시간을 줄여 주는 Process Reflection [3]
10939정성태4/18/201623868.NET Framework: 572. .NET APM 비동기 호출의 Begin...과 End... 조합 [3]파일 다운로드1
10938정성태4/13/201623436오류 유형: 325. 파일 삭제 시 오류 - Error 0x80070091: The directory is not empty.
10937정성태4/13/201631653Windows: 115. UEFI 모드로 윈도우 10 설치 가능한 USB 디스크 만드는 방법
10936정성태4/8/201642331Windows: 114. 삼성 센스 크로노스 7 노트북의 운영체제를 USB 디스크로 새로 설치하는 방법 [3]
10935정성태4/7/201626639웹: 32. Edge에서 Google Docs 문서 편집 시 한영 전환키가 동작 안하는 문제
10934정성태4/5/201625373디버깅 기술: 77. windbg의 콜스택 함수 인자를 쉽게 확인하는 방법 [1]
10933정성태4/5/201630976.NET Framework: 571. C# - 스레드 선호도(Thread Affinity) 지정하는 방법 [8]파일 다운로드1
10932정성태4/4/201623276VC++: 96. C/C++ 식 평가 - printf("%d %d %d\n", a, a++, a);
10931정성태3/31/201623551개발 환경 구성: 283. Hyper-V 내에 구성한 Active Directory 환경의 시간 구성 방법 [3]
10930정성태3/30/201621507.NET Framework: 570. .NET 4.5부터 추가된 CLR Profiler의 실행 시 Rejit 기능
10929정성태3/29/201631610.NET Framework: 569. ServicePointManager.DefaultConnectionLimit의 역할파일 다운로드1
10928정성태3/28/201637320.NET Framework: 568. ODP.NET의 완전한 닷넷 버전 Oracle ODP.NET, Managed Driver [2]파일 다운로드1
10927정성태3/25/201626541.NET Framework: 567. System.Net.ServicePointManager의 DefaultConnectionLimit 속성 설명
10926정성태3/24/201626071.NET Framework: 566. openssl의 PKCS#1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10]파일 다운로드1
10925정성태3/24/201620378.NET Framework: 565. C# - Rabin-Miller 소수 생성 방법을 이용하여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개인키를 직접 채워보자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0924정성태3/22/201621016오류 유형: 324. Visual Studio에서 Azure 클라우드 서비스 생성 시 Failed to initialize the PowerShell host 에러 발생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