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 Code에서 콘솔 응용 프로그램 개발 시 "입력"받는 방법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입력을 받는 콘솔 프로그램을 만든 경우,

using System;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Hello World!");

        Console.ReadLine();
    }
}

Visual Studio Code에서 실행하면 "입력"을 받을 수 없습니다. 물론 필요가 없다면 그냥 종료해도 되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문제가 되는데요, 이에 대해서는 관련 옵션을 설정할 수 있는 다음의 공식 문서에 해답이 있습니다.

Configuring launch.json for C# debugging - Console (terminal) window
; https://github.com/OmniSharp/omnisharp-vscode/blob/master/debugger-launchjson.md#console-terminal-window

Debug Console window cannot accept Console.ReadLine() input during debugging
; https://github.com/OmniSharp/omnisharp-vscode/issues/1053

그러니까, ".vscode/launch.json" 파일을 보면 기본적으로 "console" 설정이 입력을 받을 수 없는 "internalConsole"로 되어 있습니다.

{
   // Use IntelliSense to find out which attributes exist for C# debugging
   // Use hover for the description of the existing attributes
   // For further information visit https://github.com/OmniSharp/omnisharp-vscode/blob/master/debugger-launchjson.md
   "version": "0.2.0",
   "configurations": [
        {
            "name": ".NET Core Launch (console)",
            "type": "coreclr",
            "request": "launch",
            "preLaunchTask": "build",
            // If you have changed target frameworks, make sure to update the program path.
            "program": "${workspaceFolder}/bin/Debug/netcoreapp3.0/vscode_console_input.dll",
            "args": [],
            "cwd": "${workspaceFolder}",
            //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console' field, see https://aka.ms/VSCode-CS-LaunchJson-Console
            "console": "internalConsole",
            "stopAtEntry": false
        },
        {
            "name": ".NET Core Attach",
            "type": "coreclr",
            "request": "attach",
            "processId": "${command:pickProcess}"
        }
    ]
}

이 값을 "integratedTerminal" 또는 "externalTerminal"로 바꿔주면 입력 값을 받을 수 있는데요. "externalTerminal"의 경우 실행 시 Visual Studio Code의 하단 "OUTPUT" 뷰가 사용되지 않고 아예 콘솔 창이 하나 뜨게 됩니다.

vscode_console_input_1.png

새 창이 하나 뜨는 게 왠지 거슬릴 수 있는데, 그런 경우라면 "integratedTerminal" 옵션을 선택하면 됩니다.




참고로 "Remote Development" 환경의 경우,

로컬의 Visual Studio Code로 원격 리눅스 머신에 접속해 개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942

윈도우에서 리눅스로 접근하고 있다면, "externalTerminal" 설정은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Unable to launch debugger worker process (vsdbg) through the terminal. can't find terminal application 'xterm'

xterm을 설치해 주면,

[Centos 7]

$sudo yum install xterm

이제는 다음과 같이 바뀝니다.

Unable to launch debugger worker process (vsdbg) through the terminal. xterm: Xt error: Can't open display: 

저도 해보진 않았는데 아마도 필요한 설정을 해주면,

Windows 10에서 리눅스용 프로그램 설치하고 실행하기
; https://medium.com/rkttu/windows-10%EC%97%90%EC%84%9C-%EB%A6%AC%EB%88%85%EC%8A%A4%EC%9A%A9-%ED%94%84%EB%A1%9C%EA%B7%B8%EB%9E%A8-%EC%84%A4%EC%B9%98%ED%95%98%EA%B3%A0-%EC%8B%A4%ED%96%89%ED%95%98%EA%B8%B0-2cb0d7892d12

Xming X Server for Windows
; http://sourceforge.net/projects/xming/

"externalTerminal" 설정이 동작해 새 창으로 뜨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integratedTerminal" 옵션이 제공되므로 저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integratedTerminal" 옵션이 한 가지 불편한 점이 있다면, 그 모드로 띄웠을 때 예외가 발생해 콘솔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OUTPUT" 창이 더 이상 동작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이럴 때는 OUTPUT 창을 닫고 다시 열어야 하는 식으로 조정을 좀 해야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5/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521정성태11/1/201333581VS.NET IDE: 79. IIS 7.5 - Global.asax.cs처럼 초기에 실행되는 코드에 Breakpoint를 잡는 방법
1520정성태10/31/201328416오류 유형: 191. Visual Studio 2010 -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 시 "The project type is not supported by this installation." 오류 발생 해결
1519정성태10/31/201354155기타: 36. SYSTEM 또는 TrustedInstaller 소유로 되어 있는 폴더/파일을 삭제하는 방법 [5]
1518정성태10/30/201331724VS.NET IDE: 78. Visual Studio 확장으로 XmlCodeGenerator 제작하는 방법
1517정성태10/28/201330938디버깅 기술: 56. 덤프 파일에 핸들/스레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
1516정성태10/28/201336336.NET Framework: 390. FolderBrowserDialog보다 더 쓸만한 대화창이 필요하다면? [1]
1515정성태10/24/201338885VS.NET IDE: 77. Visual Studio 확장(VSIX) 만드는 방법 [5]
1514정성태10/24/201372928개발 환경 구성: 202. Internet Explorer 11을 7, 8, 9, 10 버전으로 인식시키는 방법 [9]파일 다운로드1
1513정성태10/23/201328321개발 환경 구성: 201. Azure Blob Storage의 DNS 경로를 사용자 DNS로 바꾸는 방법 [1]
1512정성태10/18/201331818개발 환경 구성: 200. IIS AppPool의 실행 계정을 변경하는 방법
1511정성태10/12/201329777.NET Framework: 389. The 3n + 1 problem의 C#/Java 버전 풀이 [2]
1510정성태10/8/201330725오류 유형: 190. 윈도우 서버 2012 R2 설치 후 인텔 NIC으로 인한 WMI 오류 발생
1509정성태10/8/201336009오류 유형: 189. Windows Server 8.1/2012 R2 - IME 비정상 종료 현상 [1]
1508정성태10/4/201330816.NET Framework: 388. 일반 닷넷 프로젝트에서 WinRT API를 호출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507정성태9/30/201328670오류 유형: 188. The key 'LocalizedPerfCounter' does not exist in the appSettings configuration section.
1506정성태9/30/201331083오류 유형: 187. Parameter "basePath" cannot be a relative path
1505정성태9/26/201379801기타: 35. Microsoft Office 2007 인증 생략하는 방법 [10]
1504정성태9/24/201333390.NET Framework: 387. UDP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해 서비스 측의 IP 주소를 구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503정성태9/21/201339145개발 환경 구성: 199. Visual Studio - github 연동 [7]
1502정성태9/21/201342852개발 환경 구성: 198. Visual Studio - git을 이용한 로컬 소스 컨트롤
1501정성태9/21/201351591개발 환경 구성: 197. Visual Studio를 위한 Git 환경 설정 [5]
1500정성태9/20/201349432.NET Framework: 386. C# 버전의 한글 형태소 분석기 [1]파일 다운로드1
1499정성태9/20/201325295개발 환경 구성: 196. Windows Azure - Cloud Service의 인스턴스 타입 변경하는 방법
1498정성태9/20/201332225Windows: 76. 윈도우 8.1 / 서버 2012 R2 마이그레이션 [5]
1497정성태9/20/201364806웹: 28. IE 11로 바꾼 후 발생하는 문제 정리
1496정성태9/20/201336390Windows: 75. 윈도우 8.1, 2012 R2 설치 후 원격 접속이 안 되는 문제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