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git push - error: RPC failed; HTTP 413 curl 22 The requested URL returned error: 413 Request Entity Too Large

git push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D:\temp> git push -u origin --all
Username for 'https://git.testgit.com:6443': tusr@testgit.com
Password for 'https://tusr@testgit.com@git.testgit.com:6443':
Counting objects: 27128, done.
Delta compression using up to 6 threads.
Compressing objects: 100% (7141/7141), done.
error: RPC failed; HTTP 413 curl 22 The requested URL returned error: 413 Request Entity Too Large
fatal: The remote end hung up unexpectedly
Writing objects: 100% (27128/27128), 170.14 MiB | 37.00 MiB/s, done.
Total 27128 (delta 19422), reused 27128 (delta 19422)
fatal: The remote end hung up unexpectedly
Everything up-to-date

remote repo로 등록된 "origin"의 git 서버에서 client_max_body_size를 조정하면 됩니다.

Artifact upload - Fails with Request Entity Too Large
; https://gitlab.com/gitlab-org/gitlab-runner/issues/1651

그러니까, git push하는 사용자 측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고 해당 repo를 관리하는 서버 측 관리자에게 보고하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6/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899정성태3/24/201536541개발 환경 구성: 264. Visual Studio 2013 솔루션을 2015로 마이그레이션
2898정성태3/24/201527683개발 환경 구성: 263. SharePoint 2013을 Windows Server 2012 R2에 설치
2897정성태3/18/201525421오류 유형: 278. LoadLibrary("...") failed - Invalid access to memory location.
2896정성태3/18/201525089VC++: 90. Visual Studio 2013에서 Visual Basic 6용 ATL Control 제작
2895정성태3/18/201529381VC++: 89. Visual Studio 2015 - auto 반환 타입 및 thread_local 예약어 지원(C++ 11 표준) [2]
2894정성태3/18/201526055.NET Framework: 509. ELEMENT_TYPE_MODIFIER의 조합
2893정성태3/18/201527872오류 유형: 277. command line error MIDL1004: cannot execute C preprocessor cl.exe
2892정성태3/17/201533523오류 유형: 276. robocopy - Logon failure: unknown user name or bad password.
2891정성태3/17/201549379개발 환경 구성: 262. Visual Basic 6 (Enterprise Edition)을 Windows 7 x86에 설치하는 방법 [1]
2890정성태3/17/201530340오류 유형: 275. Internet Explorer - This page can't be displayed
2889정성태3/17/201531859Windows: 107. (2015-03-12) 업데이트 이후 작업 표시줄 또는 탐색기의 반응이 느려지는 문제 [1]
2888정성태3/17/201529829.NET Framework: 508. Visual Studio 빌드 - fatal error C1033: cannot open program database ''
2887정성태3/13/201527347.NET Framework: 507. CoreFx 빌드하는 방법
2886정성태3/13/201529252오류 유형: 274. CoreFx, CoreCLR 빌드 시 "error CS0518: Predefined type 'System.Object' is not defined or imported" 오류 해결 방법
2885정성태3/13/201539961VS.NET IDE: 99. Visual Studio는 2019는 32비트, 2022부터 64비트 버전입니다. [2]
2884정성태3/12/201533839.NET Framework: 506. .NETCore = CoreFX + CoreCLR [5]
2883정성태3/10/201530073.NET Framework: 505. OpenCover 소스 코드 분석을 Visual Studio 2013에서 하는 방법 [1]
2882정성태3/10/201529384.NET Framework: 504. OpenCover 코드 커버리지 도구의 동작 방식을 통해 살펴보는 Calli IL 코드 사용법
2881정성태3/9/201530036개발 환경 구성: 261. OpenCover 오픈 소스를 이용한 .NET 코드 커버리지(Code coverage)
2880정성태3/7/201528015개발 환경 구성: 260. C# Code Coverage 도구 - Semantic Designs 소개
2879정성태3/3/201533199개발 환경 구성: 259. Visual Studio 없이 Visual C++ 컴파일하는 방법
2878정성태2/28/201533557.NET Framework: 503. == 연산자보다는 Equals 메서드의 호출이 더 권장됩니다. [3]파일 다운로드1
2877정성태2/28/201527632.NET Framework: 502. 연산자 재정의(operator overloading)와 메서드 재정의(method overriding)의 다른 점 - 가상 함수 호출 여부 [3]파일 다운로드1
2876정성태2/27/201529432VS.NET IDE: 98. IntegraStudio - Visual Studio에서 Java 프로그램 개발
2875정성태2/26/201529190디버깅 기술: 72. Visual Studio 2013에서의 sos.dll 사용 제한
2874정성태2/26/201525219디버깅 기술: 71. windbg + 닷넷 디버깅 (2) - null 체크 패턴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