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 Code의 Java 확장을 이용한 간단한 프로젝트 구축

Visual Studio Code 용 Java 확장이 나왔습니다.

Java Extensions for Visual Studio Code
; https://code.visualstudio.com/docs/java/extensions

Java Extension Pack
; https://marketplace.visualstudio.com/items?itemName=vscjava.vscode-java-pack

간단하게 사용해 볼까요? ^^

일단, Java Extension Pack을 설치하고 나면 곧바로 Code 탭에 "Java Overview"가 뜨면서 "Java Development Kit Required"라는 설명과 함께 OpenJDK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버튼이 나옵니다. 기본값으로 "OpenJDK 11"이 링크되어 있는데 그냥 ^^ 변경 없이 그대로 누릅니다. (참고로, OpenJDK11U-jdk_x64_windows_hotspot_11.0.3_7.msi 다운로드는 되었는데 진행이 안 된다면 "https://www.sysnet.pe.kr/2/0/11970" 글을 참고하세요.)

그다음, "Java Extension Pack"에 포함된 "Maven for Java" 도구에서 사용할 maven을 설치해야 합니다.

Maven
; https://maven.apache.org/download.cgi
; http://apache.mirror.cdnetworks.com/maven/maven-3/3.6.1/binaries/apache-maven-3.6.1-bin.zip

JDK와 Maven이 준비되었으면 이제 JAVA_HOME 환경 변수와 maven 실행 경로를 PATH에 등록해 줍니다. 만약 환경 변수 등록이 부담스럽다면 Visual Studio Code의 Settings(Ctrl + ,)에서 "java.home"과 "maven.executable.path"를 이용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지정해도 무방합니다.

{
    "maven.executable.path": "D:\\java\\maven\\bin\\mvn.cmd",
    "java.home": "C:\\Program Files\\AdoptOpenJDK\\jdk-11.0.3.7-hotspot"
}




자, 그럼 프로젝트를 생성해야겠지요. ^^

"Ctrl + Shift + P"(또는 F1)을 눌러 "Maven: Generate from Maven Archetype" 메뉴를 선택합니다. 이어지는 메뉴에서는 "maven-archetype-quickstart"를 선택한 다음, 프로젝트가 생성될 폴더(제 경우에는 D:\temp)를 지정합니다. 중간 단계로 다음의 정보를 묻는데,

Define value for property 'groupId':
Define value for property 'artifactId':
Define value for property 'version' 1.0-SNAPSHOT: :
Define value for property 'package' : :

그냥 'groupId'와 'artifactId'에 "testapp"이라고 적고 진행하겠습니다. 나머지 물음에는 Enter 키를 쳐서 기본값으로 넘어가고 최종적으로 묻는 "Y" 단계에서 'y'키를 누르면 기본적인 maven 프로젝트 구조가 D:\temp\testapp 디렉터리에 생성되고, 프로젝트 구성을 pom.xml 파일에 담게 됩니다.

그러니까, .NET Core와 비교하자면 지금까지 "dotnet new console" 명령어로 초기 프로젝트 구성을 마친 것과 유사합니다. .NET Core의 경우 csproj 파일의 역할을 maven에서는 pom.xml 파일이 대신합니다.




이제 생성된 D:\temp\testapp\testapp 경로를 Visual Studio Code로 열고 ./src/main/java/testapp 폴더에 있는 App.java 파일을 열어,

package testapp;

public class App 
{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
    {
        System.out.println( "Hello World!" );
    }
}

코드를 작성하면 됩니다. 물론 Ctrl + F5 키로 실행하거나, BraekPoint를 걸고 F5 키를 눌러 디버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만약 명령행에서 실행하고 싶다면 TERMINAL 창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PS D:\temp\testapp> java -cp .\target\classes testapp.App
Hello World!

또는 (환경 변수 PATH에 mvn.cmd 경로를 등록한 경우) pom 파일이 있는 디렉터리에서 mvn install을 실행하면,

PS D:\temp\testapp> mvn install

.\target 폴더에 testapp-1.0-SNAPSHOT.jar 파일이 생성됩니다. 이렇게 생성한 jar는 다음과 같이 실행할 수 있습니다.

PS D:\temp\testapp> java -cp .\target\testapp-1.0-SNAPSHOT.jar testapp.App
Hello World!

참고로, Visual Studio Code에서도 TERMINAL에서 "mvn install"을 실행했을 때와 동일한 결과를 "Maven for Java" 확장에서 추가한 명령어("Maven: Execute commands")로 "pom.xml" 파일 선택과 함께 "install" 명령어를 수행해 얻을 수 있습니다.




(이하의 pom.xml 추가 구성은 회사 동료에게 물어서 알게 된 것입니다. ^^)

닷넷의 경우 NuGet을 통해 외부 라이브러리를 가져다 쓰는데요, maven도 이러한 패키지 라이브러리 매니저가 제공됩니다. 예를 들어, commons-codec 라이브러리를 쓰고 싶다면,

Apache Commons Codec
;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commons-codec/commons-codec

"Maven: Add a dependency" 메뉴를 통해 "commons-codec"을 검색어로 repo에서 제공하는 패키지를 선택합니다. (제 경우에는 "commons-codec commons-codec" 항목을 선택했습니다.) 그럼 pom.xml에 /project/dependencies 하위로 다음의 노드가 추가됩니다. (달리 말하면, "Maven: Add a dependency" 명령어를 사용하지 않고 pom.xml에 dependency 노드를 수작업으로 입력해도 됩니다.)

<dependency>
    <groupId>commons-codec</groupId>
    <artifactId>commons-codec</artifactId>
    <version>20041127.091804</version>
</dependency>

그런데, 이상하군요. 버전이 "20041127.091804"로 나오는데, 해당 repo를 가보면,

Apache Commons Codec
;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commons-codec/commons-codec

2005년 11월에 나온 가장 낮은 버전이 들어 있습니다. 정책은 알 수 없지만, 어쨌든 그냥 1.12 버전으로 바꾸면 최신 버전의 라이브러리가 적용됩니다.

<dependency>
    <groupId>commons-codec</groupId>
    <artifactId>commons-codec</artifactId>
    <version>1.12</version>
</dependency>

이후, 해당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package testapp;

import org.apache.commons.codec.binary.*;

public class App 
{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
    {
        System.out.println( "Hello World!" );

        byte[] buffer = new byte[] { 0, 1, 2 };
        System.out.println(Hex.encodeHexString(buffer));
    }
}




.NET의 NuGet도 라이브러리를 로컬의 NuGet cache 폴더에 별도 보관을 하는 것처럼, Maven도 마찬가지로 다음의 폴더에 의존성을 가진 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해서 공유하게 됩니다.

[maven repo 경로]
%USERPROFILE%\.m2\repository

[예제에서 추가한 commons-codec 경로]
%USERPROFILE%\.m2\repository\commons-codec\commons-codec\1.10

따라서 의존성이 있는 라이브러리를 "mvn install"로 생성하는 출력 디렉터리에 포함하고 싶다면 /project/build/plugins 하위에 다음의 노드를 추가해야 합니다.

<plugin>
    <artifactId>maven-dependency-plugin</artifactId>
    <executions>
        <execution>
            <phase>process-sources</phase>

            <goals>
                <goal>copy-dependencies</goal>
            </goals>

            <configuration>
                <outputDirectory>${targetdirectory}</outputDirectory>
            </configuration>
        </execution>
    </executions>
</plugin>

이후 "mvn install" 명령어를 수행하면 ".\target\dependency" 폴더에 pom.xml에서 의존성을 가진 패키지들을 생성해 둡니다. 따라서 명령행에서 실행한다면 다음과 같이 해야 합니다.

java -cp ".\target\testapp-1.0-SNAPSHOT.jar;.\target\dependency\*"   testapp.App

나아가서, 만약 의존성이 있는 라이브러리들을 testapp-1.0-SNAPSHOT.jar 자체에 추가하고 싶다면 위의 plugin과 마찬가지로 /project/build/plugins 노드의 하위에 다음의 내용을 추가해야 합니다.

<plugin>
    <artifactId>maven-assembly-plugin</artifactId>
    <version>3.1.1</version>
    <configuration>
        <descriptorRefs>
            <descriptorRef>jar-with-dependencies</descriptorRef>
        </descriptorRefs>
    </configuration>
    <executions>
        <execution>
            <id>make-assembly</id>                        <!-- this is used for inheritance merges -->
            <phase>package</phase>                        <!-- bind to the packaging phase -->
            <goals>
                <goal>single</goal>
            </goals>
        </execution>
    </executions>
</plugin>

그런 다음 다시 mvn install을 수행하면 .\target 폴더에 "testapp-1.0-SNAPSHOT-jar-with-dependencies.jar" 파일이 생성되고, 따라서 단일 jar 파일로 명령행에서 수행이 가능합니다.

java -cp .\target\testapp-1.0-SNAPSHOT-jar-with-dependencies.jar testapp.App

이 정도면, 앞으로 간단한 유형의 Java 프로젝트들은 쉽게 구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첨부 파일은 이렇게 구성한 예제 프로젝트입니다.)




참고로, "Maven: Add a dependency" 명령어 수행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Commnad "maven.project.addDependency" fails. Only support POM file with single <project>node.

Visual Studio Code에서 pom.xml 파일을 열어두고 그 편집 창을 선택한 상태에서 "Maven: Add a dependency" 명령어를 실행해야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7/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856정성태2/15/201521272.NET Framework: 493. TypeRef 메타테이블에 등록되는 타입의 조건파일 다운로드1
1855정성태2/10/201520804개발 환경 구성: 256. WebDAV Redirector - Sysinternals 폴더 연결 시 "The network path was not found" 오류 해결 방법
1854정성태2/10/201521802Windows: 104. 폴더는 삭제할 수 없지만, 그 하위 폴더/파일은 생성/삭제/변경하는 보안 설정
1853정성태2/6/201552063웹: 29. 여신금융협회 웹 사이트의 "Netscape 6.0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오류 메시지 [5]
1852정성태2/5/201522487.NET Framework: 492. .NET CLR Memory 성능 카운터의 의미파일 다운로드1
1851정성태2/5/201523404VC++: 88. 하룻밤의 꿈 - 인텔 하스웰의 TSX Instruction 지원 [2]
1850정성태2/4/201544288Windows: 103. 작업 관리자에서의 "Commit size"가 가리키는 메모리의 의미 [4]
1849정성태2/4/201524191기타: 51. DropBox의 CPU 100% 현상 [1]파일 다운로드1
1848정성태2/4/201519439.NET Framework: 491. 닷넷 Generic 타입의 메타 데이터 토큰 값 알아내는 방법 [2]
1847정성태2/3/201522775기타: 50. C# - 윈도우에서 dropbox 동기화 폴더 경로 및 종료하는 방법
1846정성태2/2/201532025Windows: 102.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 항목을 수동으로 실행하고 싶다면? [1]
1845정성태1/26/201532901Windows: 101. 제어판의 "Windows 자격 증명 관리(Manage your credentials)"를 금지시키는 방법
1844정성태1/26/201530860오류 유형: 269. USB 메모리의 용량이 비정상적으로 보여진다면? [7]
1843정성태1/24/201521922VC++: 87. 무시할 수 없는 Visual C++ 런타임 함수 성능
1842정성태1/23/201544439개발 환경 구성: 255. 노트북 키보드에 없는 BREAK 키를 다른 키로 대체하는 방법
1841정성태1/21/201519407오류 유형: 268. Win32 핸들 관련 CLR4 보안 오류 사례
1840정성태1/8/201527624오류 유형: 267. Visual Studio - CodeLens 사용 시 CPU 100% 현상
1839정성태1/5/201520532디버깅 기술: 69.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2)
1838정성태1/4/201540240기타: 49. 윈도우 내레이터(Narrator) 기능 끄는 방법(윈도우에 파란색의 굵은 테두리 선이 나타난다면?) [4]
1837정성태1/4/201526359디버깅 기술: 68. windbg 분석 사례 - 메모리 부족 [1]
1836정성태1/4/201526370디버깅 기술: 67. windbg - 덤프 파일과 handle 정보
1835정성태1/3/201526856개발 환경 구성: 254. SQL 서버 역시 SSL 3.0/TLS 1.0만을 지원하는 듯!
1834정성태1/3/201551491개발 환경 구성: 253. TLS 1.2를 적용한 IIS 웹 사이트 구성
1833정성태1/3/201527569.NET Framework: 490. System.Data.SqlClient는 SSL 3.0/TLS 1.0만 지원하는 듯! [3]
1832정성태1/2/201520650오류 유형: 266. Azure에 응용 프로그램 게시 중 로그인 오류
1831정성태1/1/201528533디버깅 기술: 66.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1) [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