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지정한 모든 Root 인증서를 설치하는 방법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Trusted Root Certification Authorities"에 설치된 기본 루트 인증서들을 볼 수 있습니다.

mswin_root_cert_1.png

만약 여러분들이 CA 인증 기관이어서 윈도우의 저 목록에 참여하고 싶다면 다음의 문서를 통해 진행하시면 됩니다. (될 것입니다. ^^ 저 역시 한 번도 해본 적이 없어서.)

Program Requirements - Microsoft Trusted Root Program
; https://learn.microsoft.com/en-us/security/trusted-root/program-requirements

현재 시점에 인증된 기관의 모든 root 인증서 목록도 공개되어 있는데,

List of Participants - Microsoft Trusted Root Program
; https://learn.microsoft.com/en-us/security/trusted-root/participants-list

Trusted Root Program Participants As of March 2019
; https://gallery.technet.microsoft.com/Trusted-Root-Program-381e7a89

목록이 아닌, 인증서들이 필요하다면 certutil.exe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An update is available that enables administrators to update trusted and disallowed CTLs in disconnected environments in Windows
; https://support.microsoft.com/en-us/help/2813430/an-update-is-available-that-enables-administrators-to-update-trusted-a

c:\temp> CertUtil -generateSSTFromWU win_default_certs.sst

위의 명령어를 실행하면 Windows update 사이트로부터 모든 공식 root 인증서들을 win_default_certs.sst 파일로 다운로드해 줍니다. 따라서 이 파일을 "Manage computer certificates" MMC 창에서 가져오기(Import) 메뉴를 이용해,

mswin_root_cert_2.png

시스템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 꽤 많습니다.)




참고로, 이참에 지난 글도 한 번 읽어보시고. ^^

C# - 인증서를 윈도우에 설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719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989정성태2/1/201134781개발 환경 구성: 103. DOS batch - 동기 방식으로 원격 서비스 제어
988정성태1/30/201130553개발 환경 구성: 102. MSBuild - DefineConstants에 다중 전처리 값 설정
987정성태1/29/201144042디버깅 기술: 33. PDB Symbol 로드 오류 - Cannot find or open the PDB file. [2]
986정성태1/26/201135601.NET Framework: 204. 분리된 ThreadPool 사용 - Smart Thread Pool
985정성태1/25/201131837디버깅 기술: 32. 인증서로 서명된 닷넷 어셈블리의 실행 지연 현상
984정성태1/25/201126541개발 환경 구성: 101. SharePoint 2010 - Form Design
983정성태1/23/201132265제니퍼 .NET: 15. 눈으로 확인하는 maxWorkerThreads, minFreeThreads 설정값 [1]
982정성태1/22/201128280개발 환경 구성: 100. SharePoint 2010 - iPad 친화적인 게시판 만들기 (사용자 지정 목록) [1]
981정성태1/19/201125250개발 환경 구성: 99. SharePoint 2010 -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 시 고려해야 할 점. [1]
980정성태1/19/201136969개발 환경 구성: 98. SharePoint 2010 - Office Web Apps 설치
979정성태1/18/201129672개발 환경 구성: 97. SharePoint 2010 팀 사이트 구성
978정성태1/16/201136966.NET Framework: 203. VPN 자동 연결 및 Router 설정 추가
977정성태1/12/201135262개발 환경 구성: 96. SharePoint 2010 설치 [5]
976정성태1/11/201158502오류 유형: 111. IIS - 500.19 오류 (0x8007000d)
975정성태1/10/201131722.NET Framework: 202. CLR JIT 컴파일러가 생성한 기계어 코드 확인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974정성태1/8/201131161.NET Framework: 201. 윈폼 TreeView - Bold 폰트 설정 후 텍스트가 잘리는 문제 [1]파일 다운로드1
973정성태1/7/201130246.NET Framework: 200. IIS Metabase와 ServerManager 개체 활용파일 다운로드1
972정성태1/7/201128291개발 환경 구성: 95. SQL Server 2008 R2 이하 버전 정보 확인
971정성태1/5/201138108.NET Framework: 199. .NET 코드 - Named Pipe 닷넷 서버와 VC++ 클라이언트 제작 [2]파일 다운로드1
970정성태1/4/201138513.NET Framework: 198.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 Facebook 로그인 연동 [1]파일 다운로드1
969정성태12/31/201044595VC++: 45. Winsock 2 Layered Service Provider - Visual Studio 2010용 프로젝트 [1]파일 다운로드1
968정성태12/30/201030732개발 환경 구성: 94. 개발자가 선택할 수 있는 윈도우에서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기술 [2]
967정성태12/27/201032429.NET Framework: 197. .NET 코드 - 단일 Process 실행파일 다운로드1
966정성태12/26/201029900.NET Framework: 196. .NET 코드 - 창 흔드는 효과파일 다운로드1
965정성태12/25/201032091개발 환경 구성: 93.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다중 어셈블리 출력 빌드파일 다운로드1
964정성태12/21/2010148108개발 환경 구성: 92. 윈도우 서버 환경에서, 최대 생성 가능한 소켓(socket) 연결 수는 얼마일까? [14]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