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45. Windbg 확장 DLL 만들기 (1) - 스레드를 강제 종료시키는 명령어
; https://www.sysnet.pe.kr/2/0/1198

디버깅 기술: 46. Windbg 확장 DLL 만들기 (2) - Debugger Extension API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200

디버깅 기술: 118. windbg - 닷넷 개발자를 위한 MEX Debugging Extension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1644

디버깅 기술: 160. Windbg 확장 DLL 만들기 (3) - C#으로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119

디버깅 기술: 177. windbg - (ASP.NET 환경에서 유용한) netext 확장
; https://www.sysnet.pe.kr/2/0/12462




Windbg 확장 DLL 만들기 (1) - 스레드를 강제 종료시키는 명령어

다소 황당한 기능이긴 하지만... 가끔 '문제 해결' 차원에서가 아니라 '문제 분석' 차원에서 '편의상' 필요할 때가 있더군요.

마침, 검색을 해보니 누군가 만들어 놓기도 했고 그동안 Windbg 확장에 대해서 실습을 해본적이 없던 터라 따라해 보았습니다.

우선, Windbg 확장에 대해서는 다음의 MSDN magazine 글에서 잘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Writing a Debugging Tools for Windows Extension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msdn-magazine/2011/march/msdn-magazine-debugger-apis-writing-a-debugging-tools-for-windows-extension

Debugger Engine API: Writing a Debugging Tools for Windows Extension, Part 2: Output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msdn-magazine/2011/may/msdn-magazine-debugger-engine-api-writing-a-debugging-tools-for-windows-extension-part-2-output

Debugger Engine API: Writing a Debugging Tools for Windows Extension, Part 3: Clients and Callbacks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msdn-magazine/2011/june/msdn-magazine-debugger-engine-api-writing-a-debugging-tools-for-windows-extension-part-3-clients-and-callbacks

그리고, 아래의 글에서 스레드를 강제 종료시키는 Windbg 확장 DLL 소스 코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Killing a target process/thread with WinDBG 
; http://www.osronline.com/showthread.cfm?link=209257

자... 그럼 위의 소스 코드를 빌드까지 가능한 유형으로 바꿔볼까요? ^^




우선, Visual Studio에서 Win32 DLL 유형으로 비어있는 프로젝트를 하나 만듭니다.

확장 DLL의 구색을 갖추기 위해 "Writing a Debugging Tools for Windows Extension" 글에 공개된 소스 코드에 맞춰 볼텐데요. 우선, stdafx.h 파일을 프로젝트에 추가하고 다음과 같은 코드를 포함시킵니다.

#include <windows.h>
#include <dbgeng.h>

#define EXT_MAJOR_VER   1
#define EXT_MINOR_VER   0

다음으로, "dbgexts.cpp" 파일을 추가하고 확장 DLL이 기본적으로 export하는 3가지 함수를 작성합니다.

#include "stdafx.h"

extern "C" HRESULT CALLBACK DebugExtensionInitialize(PULONG Version, PULONG Flags)
{
    *Version = DEBUG_EXTENSION_VERSION(EXT_MAJOR_VER, EXT_MINOR_VER);
    *Flags = 0;  // Reserved for future use.
    return S_OK;
}

extern "C" void CALLBACK DebugExtensionNotify(ULONG Notify, ULONG64 Argument)
{
    UNREFERENCED_PARAMETER(Argument);
    switch (Notify)
    {
        case DEBUG_NOTIFY_SESSION_ACTIVE:
            ::OutputDebugString(L"DEBUG_NOTIFY_SESSION_ACTIVE");
            break;
        case DEBUG_NOTIFY_SESSION_INACTIVE:
            ::OutputDebugString(L"DEBUG_NOTIFY_SESSION_INACTIVE");
            break;
        case DEBUG_NOTIFY_SESSION_ACCESSIBLE:
            ::OutputDebugString(L"DEBUG_NOTIFY_SESSION_ACCESSIBLE");
            break;
        case DEBUG_NOTIFY_SESSION_INACCESSIBLE:
            ::OutputDebugString(L"DEBUG_NOTIFY_SESSION_INACCESSIBLE");
            break;
    }
    return;
}

extern "C" void CALLBACK DebugExtensionUninitialize(void)
{
    return;
}

당연히, 위의 3가지 함수를 export 해주는 .def파일을 작성해야겠지요. 이를 위해 Visual C++ 프로젝트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눌러 "Add" / "New Item..."을 선택하고 대화창에서 "Module-Definition File (.def)"를 선택해서 추가합니다. 내용은 다음과 같이 채워 넣고.

LIBRARY ThreadKill

EXPORTS
    DebugExtensionNotify
    DebugExtensionInitialize
    DebugExtensionUninitialize

이제 테스트 삼아서 빌드하고, "Depends.exe"로 확인한 경우 다음과 같이 3개의 함수가 정상적으로 export 되어 있어야 합니다.

windbg_extension_1.png

여기까지 확인이 되었으면 windbg 내에서 로드해서 ".chain"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고,

.load D:\...[확장 DLL 경로]...\ThreadKill.dll

.chain
Extension DLL search Path:
    C:\Program Files (x86)\...[생략]...
Extension DLL chain:
    D:\My...[확장DLL 경로]...\Debug\ThreadKill.dll: API 1.0.0, built Fri Dec 09 15:14:55 2011
        [path: D:\My\PublicTools\Sources\WinDbgExt\ThreadKill\Debug\ThreadKill.dll]
    dbghelp: image 6.12.0002.633, API 6.1.6, built Tue Feb 02 05:08:26 2010
        [path: C:\Program Files (x86)\Debugging Tools for Windows (x86)\dbghelp.dll]
    ext: image 6.12.0002.633, API 1.0.0, built Tue Feb 02 05:08:31 2010
        [path: C:\Program Files (x86)\Debugging Tools for Windows (x86)\winext\ext.dll]
    wow64exts: image 6.1.7650.0, API 1.0.0, built Tue Feb 02 05:08:04 2010
        [path: C:\Program Files (x86)\Debugging Tools for Windows (x86)\WINXP\wow64exts.dll]
    exts: image 6.12.0002.633, API 1.0.0, built Tue Feb 02 05:08:24 2010
        [path: C:\Program Files (x86)\Debugging Tools for Windows (x86)\WINXP\exts.dll]
    uext: image 6.12.0002.633, API 1.0.0, built Tue Feb 02 05:08:23 2010
        [path: C:\Program Files (x86)\Debugging Tools for Windows (x86)\winext\uext.dll]
    ntsdexts: image 6.1.7650.0, API 1.0.0, built Tue Feb 02 05:08:08 2010
        [path: C:\Program Files (x86)\Debugging Tools for Windows (x86)\WINXP\ntsdexts.dll]

또한, 다음과 같이 OutputDebugString으로 출력되는 문자열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indbg_extension_2.png




그럼, 본격적으로 Thread 강제 종료를 해주는 확장 함수를 넣어볼까요? ^^

dbgexts.cpp 파일에 "Killing a target process/thread with WinDBG" 글에 공개된 소스 코드를 거의 그대로 넣어주면 됩니다.

#include <cstdio>

void dprintf(char *fmt, ...)
{
     wchar_t chBuf[4096];

     va_list ap;
     va_start(ap, fmt);

     vswprintf(chBuf, fmt, ap);
     va_end(ap);

     ::OutputDebugString(chBuf);
}

extern "C" HRESULT CALLBACK kt(PDEBUG_CLIENT pDebugClient, PCSTR args)
{
    ULONG64 threadId;
    HANDLE result;
    DWORD errcode =0;

    threadId = atoi(args);
    dprintf("the thread to be killed has an ID of %x\n", threadId);
    result = OpenThread(THREAD_ALL_ACCESS, FALSE, (DWORD)threadId);
    if (result == 0)
    {
        errcode = GetLastError();
        dprintf("gle = %x\n",errcode);
    }
    else
    {
        dprintf("HANDLE to thread is %x\n",result);
        if(TerminateThread(result,DBG_TERMINATE_THREAD) == 0)
        {
            dprintf("Terminate Thread Failed");
        }
        else
        {
            dprintf("issue a g then ~* and you will see a thread has been killed\n"
                    "if it was main thread the process would have gone\n"
                    "pl read msdn for all the DANGEROUS FUNCTION caveats against using TerminateThread Function\n"
                    "also read the need to define minimum platform _winnt_winxp???\n"
                    "also iirc using win32apis in debugger extensions is not recommended you need to use idebug::whatever::went::somewhere::interfaces\n"
                    "have fun terminating the process thread by thread\n");
        }
    }

    return S_OK;
}

extern "C" HRESULT CALLBACK help(PDEBUG_CLIENT pDebugClient, PCSTR args)
{
    dprintf("usage kt ThreadId Will kill The Thread");
    return S_OK;
}

잊지 말고, def 파일에 2개의 함수를 추가한 후 빌드해서 완성합니다.

LIBRARY ThreadKill

EXPORTS
    DebugExtensionNotify
    DebugExtensionInitialize
    DebugExtensionUninitialize
    kt
    help




그래도, 만들어 놨는데 잘 동작하는지 테스트는 해봐야겠지요. ^^

windbg에서 로드한 후, 예제 프로세스를 하나 attatch 시킨 다음 스레드를 확인합니다.

0:004> .load D:\...[생략]...\ThreadKill.dll

0:004> ~*
   0  Id: 24ec.2630 Suspend: 1 Teb: 7efdd000 Unfrozen
      Start: *** WARNING: Unable to verify checksum for D:\...[생략]...\bin\Debug\ConsoleApplication1.exe
ConsoleApplication1!COM+_Entry_Point <PERF> (ConsoleApplication1+0x27be) (00c627be) 
      Priority: 0  Priority class: 32  Affinity: ff
   1  Id: 24ec.2468 Suspend: 1 Teb: 7efda000 Unfrozen
      Start: *** ERROR: Symbol file could not be found.  Defaulted to export symbols for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4.0.30319\clr.dll - 
clr!CreateApplicationContext+0xcab9 (7261b30c) 
      Priority: 0  Priority class: 32  Affinity: ff
   2  Id: 24ec.1c28 Suspend: 1 Teb: 7efd7000 Unfrozen
      Start: clr!GetMetaDataInternalInterfaceFromPublic+0x1e505 (726fc018) 
      Priority: 2  Priority class: 32  Affinity: ff
   3  Id: 24ec.f40 Suspend: 1 Teb: 7efaf000 Unfrozen
      Start: ntdll!RtlLoadString+0x430 (77a541f3) 
      Priority: 0  Priority class: 32  Affinity: ff
.  4  Id: 24ec.27c4 Suspend: 1 Teb: 7efac000 Unfrozen
      Start: ntdll!DbgUiRemoteBreakin (77aaf7ea) 
      Priority: 0  Priority class: 32  Affinity: ff

어차피 테스트니까 별 기준없이 아무거나 스레드를 제거해 볼텐데요. 마지막인 ThreadId == 27c4인 것을 종료하기 위해 (kt 함수에서 atoi 함수를 사용했기 때문에) 10진수로는 10180이 되므로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립니다.

0:004> !kt 10180

실행되자마자 DebugView 출력 창에는 이에 대한 디버그 메시지를 볼 수 있습니다.

[6160] the thread to be killed has an ID of 27c4
[6160] HANDLE to thread is 2f4
[6160] issue a g then ~* and you will see a thread has been killed
[6160] if it was main thread the process would have gone
[6160] pl read msdn for all the DANGEROUS FUNCTION caveats against using TerminateThread Function
[6160] also read the need to define minimum platform _winnt_winxp???
[6160] also iirc using win32apis in debugger extensions is not recommended you need to use idebug::whatever::went::somewhere::interfaces
[6160] have fun terminating the process thread by thread

실제로 해당 스레드가 제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g' 키로 스레드 스케쥴링이 될 수 있는 여유를 준 다음,

0:004> g
(24ec.22e0): Break instruction exception - code 80000003 (first chance)
eax=7efa3000 ebx=00000000 ecx=00000000 edx=77aaf7ea esi=00000000 edi=00000000
eip=77a2000c esp=0545f934 ebp=0545f960 iopl=0         nv up ei pl zr na pe nc
cs=0023  ss=002b  ds=002b  es=002b  fs=0053  gs=002b             efl=00000246
ntdll!DbgBreakPoint:
77a2000c cc              int     3

다시 Ctrl+Break를 걸어 실행을 멈춘 후 확인하면 ThreadId == 27c4에 해당하는 스레드가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007> ~*
   0  Id: 24ec.2630 Suspend: 1 Teb: 7efdd000 Unfrozen
      Start: ConsoleApplication1!COM+_Entry_Point <PERF> (ConsoleApplication1+0x27be) (00c627be) 
      Priority: 0  Priority class: 32  Affinity: ff
   1  Id: 24ec.2468 Suspend: 1 Teb: 7efda000 Unfrozen
      Start: clr!CreateApplicationContext+0xcab9 (7261b30c) 
      Priority: 0  Priority class: 32  Affinity: ff
   2  Id: 24ec.1c28 Suspend: 1 Teb: 7efd7000 Unfrozen
      Start: clr!GetMetaDataInternalInterfaceFromPublic+0x1e505 (726fc018) 
      Priority: 2  Priority class: 32  Affinity: ff
   3  Id: 24ec.f40 Suspend: 1 Teb: 7efaf000 Unfrozen
      Start: ntdll!RtlLoadString+0x430 (77a541f3) 
      Priority: 0  Priority class: 32  Affinity: ff
   4  Id: 24ec.1100 Suspend: 1 Teb: 7efac000 Unfrozen
      Start: ntdll!RtlDosSearchPath_Ustr+0x69a (77a56679) 
      Priority: 0  Priority class: 32  Affinity: ff
   5  Id: 24ec.30c Suspend: 1 Teb: 7efa9000 Unfrozen
      Start: ntdll!RtlDosSearchPath_Ustr+0x69a (77a56679) 
      Priority: 0  Priority class: 32  Affinity: ff
   6  Id: 24ec.968 Suspend: 1 Teb: 7efa6000 Unfrozen
      Start: ntdll!RtlDosSearchPath_Ustr+0x69a (77a56679) 
      Priority: 0  Priority class: 32  Affinity: ff
.  7  Id: 24ec.22e0 Suspend: 1 Teb: 7efa3000 Unfrozen
      Start: ntdll!DbgUiRemoteBreakin (77aaf7ea) 
      Priority: 0  Priority class: 32  Affinity: ff

성공이군요. ^^

첨부된 파일은 위의 코드를 포함한 프로젝트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9/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05-29 12시57분
WinDbg, Debugger Objects, and JavaScript! Oh, My!
; https://www.osr.com/blog/2017/05/18/windbg-debugger-objects-javascript-oh/
정성태
2019-12-26 10시33분
정성태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90정성태11/6/200626801    답변글 .NET Framework: 74.9. WCF에 SSL 적용 (2) - 서비스 제작파일 다운로드1
356정성태10/7/200622350COM 개체 관련: 19. COM의 Apartment를 이해해 보자. [8]
386light10/30/200617314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9.1. [답변]: COM 객체를 글로벌마샬으로 만든후, 사용한다.
355정성태10/9/200625061개발 환경 구성: 19. Internet_Zone 하위에 새로운 코드 그룹을 추가하는 예제 [4]파일 다운로드2
353정성태12/31/200633371개발 환경 구성: 18.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이야기 [3]
354정성태10/23/20063593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설치
372정성태12/31/20063781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2. 웹 사이트에 SSL을 적용 [3]
373정성태10/24/200629206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3.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1)
374정성태10/25/20062648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4.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2)
391정성태11/7/200630603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5. 사용자 인증서 발급
392정성태11/11/20064382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6. 인증서 관리 (1) - 내보내기/가져오기
394정성태11/9/20062831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7. 인증서 관리 (2) - 개인키를 내보낼 수 있는 유형의 인증서 발급 [1]
395정성태11/9/20064042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8. 인증서 관리 (3) - 인증서 MMC 관리자 사용
414정성태12/23/20063214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9.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 관리
428정성태12/31/200645020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0. IIS 7 - SSL 사이트 설정하는 방법 [4]
429정성태12/31/20063100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1. 서비스를 위한 인증서 설치
352정성태10/2/200620687개발 환경 구성: 17. VPC에 Linux 설치하는 방법 [1]
351정성태10/8/200623248개발 환경 구성: 16. 성태의 무식한(!) 리눅스 탐방기. [4]
349정성태9/26/200621976디버깅 기술: 10. C++/CLI에서 제공되는 명시적인 파괴자의 비밀
347정성태10/6/200625732디버깅 기술: 9. .NET IDisposable 처리 정리 [1]
346정성태9/23/200619256개발 환경 구성: 15. 툴박스에 컨트롤이 자동으로 나타나도록 해주는 옵션 설정
345정성태9/20/200618453오류 유형: 12. WCF 오류 메시지 - Error while trying to reflect on attribute 'MessageContractAttribute'
343정성태10/18/200630310개발 환경 구성: 14. SandCastle 사용법 (NDoc을 대체하는 문서화 도구) [1]파일 다운로드1
344정성태9/20/200620533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4.1. 오류 유형 - GAC 에 등록된 DLL 에 대한 문서화 시 오류
340정성태9/15/200619730개발 환경 구성: 13. ISO 파일을 가상 CD-ROM으로 매핑해주는 프로그램
339정성태9/14/200619241오류 유형: 11. ProtocolsSection?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