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기타: 58. Outlook에 설정한 SMTP/POP3(예:천리안 메일) 계정 암호를 잊어버린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1010

기타: 59. outlook.live.com 메일 서비스의 아웃룩 POP3 설정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11

.NET Framework: 761. C# - SmtpClient로 SMTP + SSL/TLS 서버를 이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537

개발 환경 구성: 454. Azure 가상 머신(VM)에서 SMTP 메일 전송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994

.NET Framework: 848. C# - smtp.daum.net 서비스(Implicit SSL)를 이용해 메일 보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995

오류 유형: 757. 구글 메일 - 아웃룩에서 메일 전송 시 Sending' reported error (0x800CCC0F, 0x800CCC92)
; https://www.sysnet.pe.kr/2/0/12784

닷넷: 2328. C# - MailKit: SMTP, POP3, IMAP 지원 라이브러리
; https://www.sysnet.pe.kr/2/0/13908




C# - smtp.daum.net 서비스(Implicit SSL)를 이용해 메일 보내는 방법

다음(Daum) 메일을 위한 SMTP 설정은 홈페이지에 접속 후 아래의 경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IMAP / SMTP 설정값 안내
; https://mail.daum.net/#setting/POP3IMAP

위의 설정을 바탕으로 지난 글의 소스 코드에서 사용한,

Azure 가상 머신(VM)에서 SMTP 메일 전송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994

SmtpClient를 이용하면,

smtp.Host = "smtp.daum.net";
smtp.Port = 465;
smtp.EnableSsl = true;
smtp.Credentials = new NetworkCredential("...", "...");

다음과 같은 식으로 timed-out 예외가 발생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Net.Mail.SmtpException: The operation has timed out.
   at System.Net.Mail.SmtpClient.Send(MailMessage message)
   at Program.Main(String[] args) in c:\temp\ConsoleApp1\Program.cs:line 23

검색해 보면 이것은 daum 측의 메일 서버가 ("Explicit SSL"이 아닌) "Implicit SSL"을 사용하기 때문이라고 하며, 이 방식은 근래에 잘 사용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두 가지 방식의 차이점은 아래의 자료에서,

INFO: TLS/SSL implicit and explicit modes difference
; https://www.rebex.net/kb/tls-ssl-explicit-implicit/

자세한 설명과 함께 포트 정리까지 잘 다루고 있습니다.

[표 출처: https://www.rebex.net/kb/tls-ssl-explicit-implicit/]
smtp_implicit_ssl_1.png

따라서 C#에서 Daum 메일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Implicit SSL"을 사용해야 하는데 아쉽게도 System.Net.Mail.SmtpClient는 "Explicit SSL" 방식만 지원한다고 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색해 보면,

smtp 사용 - 막 검색해도 답이 안나와요
; http://cafe.daum.net/aspdotnet/5wZX/4461

CDO COM 객체를 이용하면 된다고 합니다.

GMail SMTP via C# .Net errors on all ports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082216/gmail-smtp-via-c-sharp-net-errors-on-all-ports/3845907#3845907

하지만 그보다는 다음의 글에서 제시한,

C# send email using implicit ssl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8878309/c-sharp-send-email-using-implicit-ssl

System.Net.Mail with SSL to authenticate against port 465
; https://learn.microsoft.com/en-us/archive/blogs/webdav_101/system-net-mail-with-ssl-to-authenticate-against-port-465

System.Web.Mail의 MailMessage와 SmtpMail 객체를 이용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결국, smtp.daum.net을 이용한 코드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Web.Mail; // System.Web 어셈블리 참조 필요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agma warning disable 0618
        System.Web.Mail.MailMessage msg = new System.Web.Mail.MailMessage();

        msg.Body = "Test is good";
        msg.Subject = "Test mail";
        msg.To = "from@chol.net";
        msg.From = "to@hanmail.net";

        int cdoBasic = 1;

        msg.Fields.Add("http://schemas.microsoft.com/cdo/configuration/smtpusessl", true);
        msg.Fields.Add("http://schemas.microsoft.com/cdo/configuration/smtpserverport", 465);
        msg.Fields.Add("http://schemas.microsoft.com/cdo/configuration/smtpauthenticate", cdoBasic);
        msg.Fields.Add("http://schemas.microsoft.com/cdo/configuration/sendusername", "...[다음_사용자_계정]...");
        msg.Fields.Add("http://schemas.microsoft.com/cdo/configuration/sendpassword", "...[다음_사용자_암호]...");

        SmtpMail.SmtpServer = "smtp.daum.net";
        SmtpMail.Send(msg);
#pragma warning restore 0618

    }
}




그나저나, SmtpClient/SmtpMail 클래스를 다루면서 알게 된 사실이라면 국내 메일 서비스가 은근히 발전 속도가 느리다는 점입니다. daum의 경우에는 그나마 괜찮지만, 천리안 같은 경우에는 여전히 SMTP/POP3에 SSL 연결을 지원하지 않는 데다,

Outlook에 설정한 SMTP/POP3(예:천리안 메일) 계정 암호를 잊어버린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1010

심지어 홈페이지조차도 HTTPS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심각하군요... ^^; 이제 서서히 천리안을 떠날 때가 된 것 같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7/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04-29 07시19분
[신현승]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서버는 하이웍스인데요 증상이 같습니다. 문제는 System.Web.Mail 이 현재 framework 4.6.2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이전버전 2.0 ~ 3.5까지 모두 변경해도 네임스페이스를 찾을수가 없다고 합니다
C# 이구요 VS2017 버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혹시 사용하신 버전이나 System.Web.Mail을 추가할 방법을 알수 있을까요 사실 이 문제를 알게된것도 기적에 가깝긴 합니다만 문제를 해결하고 싶네요 감사합니다
[guest]
2021-04-29 08시04분
System.Web.Mail을 찾을 수 없다고 했는데, 본문에도 제가 기록해 놨지만 그것은 System.Web 어셈블리를 참조하면 포함돼 있는 것입니다.

-----------------------------

Sending Emails with Gmail Using MailKit in .NET Web API: The Complete Guide
; https://dev.to/mamun_akand/sending-emails-with-gmail-using-mailkit-in-net-web-api-4lj5
정성태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038정성태4/26/202213472오류 유형: 806. twine 실행 시 ConfigParser.ParsingError: File contains parsing errors: /root/.pypirc
13037정성태4/25/202214258.NET Framework: 1998. Azure Functions를 사용한 간단한 실습
13036정성태4/24/202215209.NET Framework: 1997. C# - nano 시간을 가져오는 방법 [2]
13035정성태4/22/202216468Windows: 204. Windows 10부터 바뀐 QueryPerformanceFrequency, QueryPerformanceCounter
13034정성태4/21/202214043.NET Framework: 1996. C# XingAPI - 주식 종목에 따른 PBR, PER, ROE, ROA 구하는 방법(t3320, t8430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033정성태4/18/202215154.NET Framework: 1195. C# - Thread.Yield와 Thread.Sleep(0)의 차이점(?)
13032정성태4/17/202215357오류 유형: 805. Github의 50MB 파일 크기 제한 - warning: GH001: Large files detected. You may want to try Git Large File Storage
13031정성태4/15/202215038.NET Framework: 1194. C# - IdealProcessor와 ProcessorAffinity의 차이점
13030정성태4/15/202213577오류 유형: 804. 정규 표현식 오류 - Quantifier {x,y} following nothing.
13029정성태4/14/202214973Windows: 203. iisreset 후에도 이전에 설정한 전역 환경 변수가 w3wp.exe에 적용되는 문제
13028정성태4/13/202215098.NET Framework: 1193. (appsettings.json처럼) web.config의 Debug/Release에 따른 설정 적용
13027정성태4/12/202214970.NET Framework: 1192. C# - 환경 변수의 변화를 알리는 WM_SETTINGCHANGE Win32 메시지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3026정성태4/11/202216338.NET Framework: 1191. C 언어로 작성된 FFmpeg Examples의 C# 포팅 전체 소스 코드 [3]
13025정성태4/11/202215597.NET Framework: 119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vaapi_encode.c, vaapi_transcode.c 예제 포팅
13024정성태4/7/202213855.NET Framework: 1189. C# - 런타임 환경에 따라 달라진 AppDomain.GetCurrentThreadId 메서드
13023정성태4/6/202214437.NET Framework: 118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ing.c 예제 포팅 [3]
13022정성태3/31/202214002Windows: 202. 윈도우 11 업그레이드 - "PC Health Check"를 통과했지만 여전히 업그레이드가 안 되는 경우 해결책
13021정성태3/31/202215822Windows: 201. Windows - INF 파일을 이용한 장치 제거 방법
13020정성태3/30/202214047.NET Framework: 1187. RDP 접속 시 WPF UserControl의 Unloaded 이벤트 발생파일 다운로드1
13019정성태3/30/202214507.NET Framework: 1186. Win32 Message를 Code로부터 메시지 이름 자체를 텍스트로 구하고 싶다면?파일 다운로드1
13018정성태3/29/202215256.NET Framework: 1185. C# - Unsafe.AsPointer가 반환한 포인터는 pinning 상태일까요? [5]
13017정성태3/28/202214235.NET Framework: 1184.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3]
13016정성태3/27/202215892.NET Framework: 1183. C# 11에 추가된 ref 필드의 (우회) 구현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015정성태3/26/202217592.NET Framework: 1182. C# 11 - ref struct에 ref 필드를 허용 [1]
13014정성태3/23/202215045VC++: 155. CComPtr/CComQIPtr과 Conformance mode 옵션의 충돌 [1]
13013정성태3/22/202212830개발 환경 구성: 641. WSL 우분투 인스턴스에 파이썬 2.7 개발 환경 구성하는 방법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