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오류 유형: 566. 비주얼 스튜디오 - Failed to register URL "http://localhost:6879/" for site "..." application "/". Error description: Access is denied. (0x80070005)
; https://www.sysnet.pe.kr/2/0/12017

오류 유형: 903. IISExpress - Failed to register URL "..." for site "..." application "/". Error description: Cannot create a file when that file already exists. (0x800700b7)
; https://www.sysnet.pe.kr/2/0/13621




비주얼 스튜디오 - Failed to register URL "http://localhost:6879/" for site "..." application "/". Error description: Access is denied. (0x80070005)

예전에 잘 동작했던 프로젝트를 최근에 로드해서 F5 디버깅을 시도했더니,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URL binding failure

Cannot start the website because administrative privileges are required to bind to the hostname or port.

Unable to launch the IIS Express Web server.

Output from IIS Express:
Failed to register URL "http://localhost:6879/" for site "WebApplication1" application "/". Error description: Access is denied. (0x80070005)

해당 포트로 등록하는데 실패했다는 것이 좀 이해가 안 되는군요. "localhost"이므로 별도의 urlacl 항목이 필요 없기 때문에 "Failed to register"가 발생할 이유는 없습니다. 게다가... 예전 글에서 설명했던 방법을 이용해 그 포트를 urlacl에 등록하기까지 했었습니다.

IIS Express - localhost 이외의 호스트 이름으로 접근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30

그래서 다음과 같은 설정이 있었는데도,

// netsh http show urlacl
// netsh http add urlacl url=http://*:6879/ user="testuser"

Reserved URL            : http://*:6879/
        User: TESTPC\testuser
            Listen: Yes
            Delegate: No
            SDDL: D:(A;;GX;;;S-1-5-21-531704745-1234150627-1213840556-1001)

오류가 발생한 것입니다.




재미있는 건 저 설정이 있었기 때문에 "Failed to register URL "http://localhost:6879/" 오류가 발생한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저 항목을 삭제하면 이 문제가 해결됩니다.

netsh http delete urlacl ur=http://*:6879/

만약 urlacl 항목을 살리고 싶다면, "applicationhost.config" 파일을 수정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주얼 스튜디오가 디버깅 시에 실행한 iisexpress.exe의 명령행을 보면,

"C:\Program Files\IIS Express\iisexpress.exe"  /config:"c:\temp\testdir\WebApplication1\.vs\WebApplication1\config\applicationhost.config" /site:"WebApplication1" /apppool:"Clr4IntegratedAppPool"

"c:\temp\testdir\WebApplication1\.vs\WebApplication1\config\applicationhost.config" 파일의 경로가 나오는데, 이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 다음의 항목을 찾아 "localhost" 바인딩을 삭제하면 됩니다.

<!-- 변경 전 -->
<site name="WebApplication1" id="2">
    <application path="/" applicationPool="Clr4IntegratedAppPool">
        <virtualDirectory path="/" physicalPath="c:\temp\testdir\WebApplication1\WebApplication1" />
    </application>
    <bindings>
        <binding protocol="http" bindingInformation="*:6879:localhost" />
        <binding protocol="https" bindingInformation="*:44308:localhost" />
    </bindings>
</site>
<!-- 변경 후 -->
<site name="WebApplication1" id="2">
    <application path="/" applicationPool="Clr4IntegratedAppPool">
        <virtualDirectory path="/" physicalPath="c:\temp\testdir\WebApplication1\WebApplication1" />
    </application>
    <bindings>
        <binding protocol="http" bindingInformation="*:6879:" />
        <binding protocol="https" bindingInformation="*:44308:localhost" />
    </bindings>
</site>

물론 위와 같이 바꾸면, 이제는 반드시 urlacl에 해당 포트의 항목이 등록되어 있어야 합니다.




참고로, 포트 바인딩 앞의 "*", "+" 접두사의 차이는 다음의 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http://*:80 and http://+:80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598164/whats-the-difference-between-http-80-and-http-80

Difference between http://+:8080/ and http://*:8080/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9459656/difference-between-http-8080-and-http-8080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3/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518정성태10/30/201328919VS.NET IDE: 78. Visual Studio 확장으로 XmlCodeGenerator 제작하는 방법
1517정성태10/28/201328328디버깅 기술: 56. 덤프 파일에 핸들/스레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
1516정성태10/28/201333846.NET Framework: 390. FolderBrowserDialog보다 더 쓸만한 대화창이 필요하다면? [1]
1515정성태10/24/201336376VS.NET IDE: 77. Visual Studio 확장(VSIX) 만드는 방법 [5]
1514정성태10/24/201370373개발 환경 구성: 202. Internet Explorer 11을 7, 8, 9, 10 버전으로 인식시키는 방법 [9]파일 다운로드1
1513정성태10/23/201326115개발 환경 구성: 201. Azure Blob Storage의 DNS 경로를 사용자 DNS로 바꾸는 방법 [1]
1512정성태10/18/201329392개발 환경 구성: 200. IIS AppPool의 실행 계정을 변경하는 방법
1511정성태10/12/201327410.NET Framework: 389. The 3n + 1 problem의 C#/Java 버전 풀이 [2]
1510정성태10/8/201328365오류 유형: 190. 윈도우 서버 2012 R2 설치 후 인텔 NIC으로 인한 WMI 오류 발생
1509정성태10/8/201333748오류 유형: 189. Windows Server 8.1/2012 R2 - IME 비정상 종료 현상 [1]
1508정성태10/4/201328569.NET Framework: 388. 일반 닷넷 프로젝트에서 WinRT API를 호출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507정성태9/30/201326489오류 유형: 188. The key 'LocalizedPerfCounter' does not exist in the appSettings configuration section.
1506정성태9/30/201328680오류 유형: 187. Parameter "basePath" cannot be a relative path
1505정성태9/26/201377248기타: 35. Microsoft Office 2007 인증 생략하는 방법 [10]
1504정성태9/24/201331456.NET Framework: 387. UDP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해 서비스 측의 IP 주소를 구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503정성태9/21/201337025개발 환경 구성: 199. Visual Studio - github 연동 [7]
1502정성태9/21/201340786개발 환경 구성: 198. Visual Studio - git을 이용한 로컬 소스 컨트롤
1501정성태9/21/201348561개발 환경 구성: 197. Visual Studio를 위한 Git 환경 설정 [5]
1500정성태9/20/201346797.NET Framework: 386. C# 버전의 한글 형태소 분석기 [1]파일 다운로드1
1499정성태9/20/201323242개발 환경 구성: 196. Windows Azure - Cloud Service의 인스턴스 타입 변경하는 방법
1498정성태9/20/201329592Windows: 76. 윈도우 8.1 / 서버 2012 R2 마이그레이션 [5]
1497정성태9/20/201362037웹: 28. IE 11로 바꾼 후 발생하는 문제 정리
1496정성태9/20/201334133Windows: 75. 윈도우 8.1, 2012 R2 설치 후 원격 접속이 안 되는 문제
1495정성태9/20/201325196웹: 27. IE 11 - YBM Sisa.com에서 검색된 영단어의 발음 기호가 안 나오는 문제
1494정성태9/13/201335293.NET Framework: 385. Html Agility Pack 소개 - 웹 문서에서 텍스트만 분리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493정성태9/13/201336578.NET Framework: 384. WebClient.DownloadString 문자열 인코딩 문제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