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IIS - Unrecognized attribute 'targetFramework'. Note that attribute names are case-sensitive. (D:\lowSite4\web.config line 11)

웹 애플리케이션을 IIS에 연결하고 실행했더니 "targetFramework" 속성을 인식할 수 없다는 오류가 발생합니다. 이때의 이벤트 로그에는 다음과 같은 항목이 남아 있습니다.

Event code: 3008 
Event message: A configuration error has occurred. 
Event time: 2019-09-09 오후 2:55:37 
Event time (UTC): 2019-09-09 오전 5:55:37 
Event ID: de225f0c559645bcb5a1b2df3c721d3a 
Event sequence: 1 
Event occurrence: 1 
Event detail code: 0 
 
Application information: 
    Application domain: /LM/W3SVC/7/ROOT-154-132124821373916102 
    Trust level: Full 
    Application Virtual Path: / 
    Application Path: D:\lowSite4\ 
    Machine name: TESTPC 
 
Process information: 
    Process ID: 4540 
    Process name: w3wp.exe 
    Account name: IIS APPPOOL\lowSite4 
 
Exception information: 
    Exception type: ConfigurationErrorsException 
    Exception message: Unrecognized attribute 'targetFramework'. Note that attribute names are case-sensitive. (D:\lowSite4\web.config line 11) 
 
Request information: 
    Request URL: http://TESTPC:8005/default.aspx 
    Request path: /default.aspx 
    User host address: 192.168.0.12 
    User:  
    Is authenticated: False 
    Authentication Type:  
    Thread account name: IIS APPPOOL\lowSite4 
 
Thread information: 
    Thread ID: 5 
    Thread account name: IIS APPPOOL\lowSite4 
    Is impersonating: False 
    Stack trace:    at System.Web.HttpRuntime.HostingInit(HostingEnvironmentFlags hostingFlags)

물론, 해당 web.config에는 다음과 같이 targetFramework 항목이 존재합니다.

<?xml version="1.0"?>

<configuration>
    <system.web>
      <compilation debug="true" targetFramework="4.0" />
    </system.web>

</configuration>

원인은, 이 웹 응용 프로그램은 .NET Framework 4.0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것인데, 호스팅하는 IIS 측의 AppPool에 설정된 닷넷 버전은 2.0이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4.0으로 바꾸기만 하면,

apppool_net_version_1.png

잘 동작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5/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29정성태2/5/201432627개발 환경 구성: 215. DOS batch - 하나의 .bat 파일에서 다중 .bat 파일을 (비동기로) 실행하는 방법 [1]
1628정성태2/4/201433950Windows: 87. 윈도우 8.1에서 .NET 3.5 설치가 안된다면? [2]
1627정성태2/4/201429010개발 환경 구성: 214. SQL Server Reporting Services를 이용해 간단한 리포트 제작하는 방법
1626정성태2/4/201421014Windows: 86. 윈도우 8.1의 Skydrive 내용이 동기화가 안된다면?
1625정성태2/2/201428192.NET Framework: 422. C++과 C#의 Event 공유파일 다운로드1
1624정성태2/2/201423805.NET Framework: 421. ASP.NET에서 Server.CreateObject와 COM Interop 클래스 생성의 차이점
1623정성태2/1/201428537개발 환경 구성: 213. x86/x64별로 나뉘어진 어셈블리를 한 프로젝트에서 참조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622정성태1/31/201428999VC++: 74. 어떤 것을 쓰면 좋을까요? wvnsprintf, _vsnwprintf_s, StringCbVPrintfW [4]
1621정성태1/31/201420839.NET Framework: 420. 베트남의 11학년(한국의 고2)이 45분만에 푼다는 알고리즘 문제파일 다운로드1
1620정성태1/30/201430657.NET Framework: 419. C# - BigDecimal파일 다운로드1
1619정성태1/30/201427386VS.NET IDE: 85. T4를 이용한 INotifyPropertyChanged 코드 자동 생성파일 다운로드1
1618정성태1/29/201443103Linux: 2. 우분투에서 Active Directory 계정을 이용한 파일 공유
1617정성태1/29/201424223.NET Framework: 418. Thread.Abort 호출의 hang 현상 [1]
1616정성태1/29/201424884디버깅 기술: 63. windbg 디버깅 사례: AppDomain 간의 static 변수 사용으로 인한 crash
1615정성태1/29/201426846.NET Framework: 417. WPF WebBrowser 컨트롤에서 SHDocVw.IWebBrowser2 인터페이스를 구하는 방법 및 순수 WPF 웹 브라우저 컨트롤 소개
1614정성태1/29/201423800.NET Framework: 416. System.Net.Sockets.NetworkStream이 Thread-safe할까?파일 다운로드1
1613정성태1/29/201425777.NET Framework: 415. IIS 작업자 프로세스 재생(recycle)하는 방법 [1]
1612정성태1/29/201422565오류 유형: 219.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Skydrive에 공유된 경우
1611정성태1/27/201453971.NET Framework: 414. C# - 컴퓨터에서 알아낼 수 있는 고윳값 정리 [3]파일 다운로드1
1610정성태1/26/201437907.NET Framework: 413. C# - chromiumembedded 사용 [11]파일 다운로드1
1609정성태1/26/201420950오류 유형: 218. wsDualHttpBinding + Windows Server 2003인 경우 발생하는 오류
1608정성태1/26/201426231.NET Framework: 412. HttpContext.Current를 통해 이해하는 CallContext와 ExecutionContext [4]
1607정성태1/26/201426151.NET Framework: 411. 유니코드의 "compatibility character"가 뭘까요? [4]파일 다운로드1
1606정성태1/25/201424264오류 유형: 217. 델 베뉴 스타일러스 관련 업데이트 오류 - 5830_Firmware_X267N_WN_1.0.4.1_A01.EXE
1605정성태1/23/201421107개발 환경 구성: 212. Visual Studio Online과 "Monaco" 서비스 연동
1604정성태1/23/201421447오류 유형: 216. 윈도우 서버 백업 - Hyper-V 가상 머신이 백업되지 않는 경우 (2)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