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5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22. VS.NET SP1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623

개발 환경 구성: 112.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009

디버깅 기술: 47. .NET Reflector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어셈블리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201

개발 환경 구성: 143.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43

개발 환경 구성: 297.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어셈블리를 디버깅할 때 지역 변숫값을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36

개발 환경 구성: 391. (GitHub 등과 직접 연동해) 소스 코드 디버깅을 쉽게 해 주는 SourceLink
; https://www.sysnet.pe.kr/2/0/11630

VS.NET IDE: 126. 디컴파일된 소스에 탐색을 사용하도록 설정(Enable navigation to decompiled sources)
; https://www.sysnet.pe.kr/2/0/11689

VS.NET IDE: 145. NuGet + Github 라이브러리 디버깅 관련 옵션 3가지 - "Enable Just My Code" / "Enable Source Link support" / "Suppress JIT optimization on module load (Managed only)"
; https://www.sysnet.pe.kr/2/0/12200

VS.NET IDE: 149. ("Binary was not built with debug information" 상태로) 소스 코드 디버깅이 안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2278

개발 환경 구성: 500. (PDB 연결이 없는) DLL의 소스 코드 디버깅을 dotPeek 도구로 해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1

VS.NET IDE: 153.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의 "My Code" 범위와 "Enable Just My Code"의 역할
; https://www.sysnet.pe.kr/2/0/12401

VS.NET IDE: 170. Visual Studio에서 .NET Core/5+ 역어셈블 소스코드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80

VS.NET IDE: 177. 비주얼 스튜디오 2022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모듈 디버깅 - "외부 원본(External Sources)"
; https://www.sysnet.pe.kr/2/0/13109

VS.NET IDE: 180. Visual Studio - 닷넷 소스 코드 디버깅 중 "Decompile source code"가 동작하는 않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3247

VS.NET IDE: 189. Visual Studio - 닷넷 소스코드 디컴파일 찾기가 안 될 때
; https://www.sysnet.pe.kr/2/0/13554




.NET Reflector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어셈블리 디버깅

언제 한번 소개를 해야지... 하면서 미뤄오다가 이제야 쓰게 되는군요.

올해 중순 쯤부터 상용 소프트웨어가 되어버려서 다른 .NET Decompiler들이 틈새를 비집고 나서고는 있지만... 여전히 .NET Reflector는 매력적인 도구임에는 분명한 것 같습니다.

그중에서, 제가 가장 손꼽는 기능이 바로 "소스 코드가 없는 어셈블리에 대한 디버깅(Debug assemblies without source code)"입니다.

현재 ".NET Reflector"는 3개의 버전으로 나뉘는데, 아쉽게도 디버깅 통합 기능은 "VS Pro" 버전에만 있습니다.

  • Standard: Standalone Windows application
  • VS: "Standard" + Microsoft Visual Studio Integration
  • VS Pro: "VS" + Debug assemblies without source code

(참고로, 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30일 평가판 버전은 "VS Pro"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어디... 간단하게 어떤 기능인지 맛을 한번 볼까요? ^^




.NET Reflector를 다운로드해서 "Reflector.exe"를 실행시킨 후 "Tools" / "Visual Studio and Windows Explorer Integration" 메뉴를 선택하면 다음과 같이 add-in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창이 나옵니다.

reflector_debug_1.png

위와 같이 (제 컴퓨터에는 2010 버전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Visual Studio 2010"을 선택하고 "OK"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Reflector.exe 프로그램은 역할이 끝납니다. 다음으로 본격적으로 디버깅 테스트를 위해 "Visual Studio"를 실행합니다.

정상적으로 add-in이 추가된 경우, 아래 화면과 같이 ".NET Reflector" 메뉴가 추가되어 있을 것입니다.

reflector_debug_2.png

자... 그럼 '소스 코드가 없는 어셈블리'를 디버깅해 볼 텐데요. 일부러 환경 구성을 하는 것보다, "닷넷 프레임워크 어셈블리"도 '소스 코드가 없는' 형태에 해당하기 때문에 그걸 가지고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 (오히려, 어정쩡하게 일부 어셈블리의 소스 코드만 공개한 닷넷 소스 코드 디버깅보다 더 나을 수 있습니다.)

우선,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코딩을 하고,

using System;

namespace ConsoleApplication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Uri uri = new Uri("https://www.sysnet.pe.kr");
        }
    }
}

Uri 타입이 어느 DLL에 구현되어 있는지 알기 위해 편집 커서를 Uri에 놓고 "F12" 키를 누르면,

reflector_debug_3.png

아하... "System.dll" 파일에 정의되어 있군요. 이렇게 어느 DLL 파일에 타입이 정의되어 있는지 알았다면 ".NET Reflector" / "Choose Assemblies to Debug..." 메뉴를 선택하고 아래와 같이 원하는 DLL(여기서는 System.dll)을 선택한 후,

reflector_debug_4.png

"OK"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DLL 파일의 내용에 따라 소스 코드를 생성하는 작업을 거칩니다.

reflector_debug_5.png

(참고로, 이렇게 동적으로 생성된 소스 코드 및 pdb 파일은 "C:\Users\[사용자 계정]\AppData\Local\Red Gate\.NET Reflector 7" 폴더에 존재합니다.)

준비 작업은 모두 끝났습니다. 제대로 소스 코드가 생성되었는지 확인을 위해 다시 편집 커서를 Uri에 놓고 "F12" 키를 눌러보면... 이번에는 소스 코드가 보여지게 됩니다. 오~~~ 멋지죠. ^^

reflector_debug_6.png

이제 코드 창에서 BreakPoint를 걸고 디버깅을 시작한 후 "F11 (Step-into)" 키를 눌러서 Uri 생성자로 진입하면 다음과 같이 (마치 소스 코드가 있는 듯이) 디버깅이 가능합니다.

reflector_debug_7.png

참고로, '릴리스 빌드'로 된 어셈블리의 경우 그에 대한 최적화 작업이 이뤄지기 때문에 소스 코드와 1:1 매칭으로 디버깅 진행이 안 될 수도 있고 일부 변숫값들이 "Watch" 창에서 정상적으로 안 보이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것은 ".NET Reflector"의 오류는 아니고, 다음의 글을 참고하시면 해결될 수 있습니다.

.NET JIT 최적화 코드 생성 제어
; https://www.sysnet.pe.kr/2/0/656

COMPLUS_ZapDisable - JIT 최적화 코드 생성 제어
; https://www.sysnet.pe.kr/2/0/646

어떠세요? 이 정도면 유료 버전이긴 하지만 ".NET Reflector"가 충분히 구매력이 있다고 생각되지 않으세요? ^^

기억하실 분들이 계실지 모르겠지만, .NET Reflector의 add-in으로 기획되었던 "Deblector"를 소개한 것이 거의 5년 전이었군요.

Integrating a debugger into Reflector
; https://www.sysnet.pe.kr/2/1/249

아마도, 저 아이디어가 발달해서 현재의 소스 코드 디버깅 기능이 나온 것이 아닐까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12-14 03시01분
[짜두] 예전 프로젝트에서 이걸 보여주며 보안 어쩌고 했던 모회사의 보안팀 대리가 생각나네요... ㅡㅡ;

[guest]
2011-12-19 09시54분
그럼, C/C++ 로 개발하라고 해야죠. ^^
정성태
2016-08-29 05시03분
%LOCALAPPDATA%\Temp\SymbolCache\
%LOCALAPPDATA%\Red Gate\.NET Reflector 9\Cache
정성태
2016-08-29 12시37분
무료로 배포되는 .NET Decompiler 도구 중에 Telerik JustDecompile도 2015년 9월부터 PDB 생성 기능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JustDecompile
; http://www.telerik.com/support/whats-new/justdecompile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43정성태12/13/20244381오류 유형: 938. Docker container 내에서 빌드 시 error MSB3021: Unable to copy file "..." to "...". Access to the path '...' is denied.
13842정성태12/12/20244522디버깅 기술: 205. Windbg - KPCR, KPRCB
13841정성태12/11/20244855오류 유형: 937. error MSB4044: The "ValidateValidArchitecture" task was not given a value for the required parameter "RemoteTarget"
13840정성태12/11/20244428오류 유형: 936. msbuild - Your project file doesn't list 'win' as a "RuntimeIdentifier"
13839정성태12/11/20244856오류 유형: 936. msbuild - error CS1617: Invalid option '12.0' for /langversion. Use '/langversion:?' to list supported values.
13838정성태12/4/20244595오류 유형: 935. Windbg - Breakpoint 0's offset expression evaluation failed.
13837정성태12/3/20245051디버깅 기술: 204. Windbg - 윈도우 핸들 테이블 (3) - Windows 10 이상인 경우
13836정성태12/3/20244610디버깅 기술: 203. Windbg - x64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 (페이지 크기가 2MB인 경우)
13835정성태12/2/20245055오류 유형: 934. Azure - rm: cannot remove '...': Directory not empty
13834정성태11/29/20245283Windows: 275. C# - CUI 애플리케이션과 Console 윈도우 (Windows 10 미만의 Classic Console 모드인 경우) [1]파일 다운로드1
13833정성태11/29/20244965개발 환경 구성: 737. Azure Web App에서 Scale-out으로 늘어난 리눅스 인스턴스에 SSH 접속하는 방법
13832정성태11/27/20244900Windows: 274. Windows 7부터 도입한 conhost.exe
13831정성태11/27/20244381Linux: 111. eBPF - BPF_MAP_TYPE_PERF_EVENT_ARRAY, BPF_MAP_TYPE_RINGBUF에 대한 다양한 용어들
13830정성태11/25/20245181개발 환경 구성: 736. 파이썬 웹 앱을 Azure App Service에 배포하기
13829정성태11/25/20245137스크립트: 67. 파이썬 - Windows 버전에서 함께 설치되는 py.exe
13828정성태11/25/20244439개발 환경 구성: 735. Azure - 압축 파일을 이용한 web app 배포 시 디렉터리 구분이 안 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3827정성태11/25/20245091Windows: 273. Windows 환경의 파일 압축 방법 (tar, Compress-Archive)
13826정성태11/21/20245320닷넷: 2313. C# - (비밀번호 등의) Console로부터 입력받을 때 문자열 출력 숨기기(echo 끄기)파일 다운로드1
13825정성태11/21/20245650Linux: 110. eBPF / bpf2go - BPF_RINGBUF_OUTPUT / BPF_MAP_TYPE_RINGBUF 사용법
13824정성태11/20/20244742Linux: 109. eBPF / bpf2go - BPF_PERF_OUTPUT / BPF_MAP_TYPE_PERF_EVENT_ARRAY 사용법
13823정성태11/20/20245287개발 환경 구성: 734. Ubuntu에 docker, kubernetes (k3s) 설치
13822정성태11/20/20245150개발 환경 구성: 733. Windbg - VirtualBox VM의 커널 디버거 연결 시 COM 포트가 없는 경우
13821정성태11/18/20245079Linux: 108. Linux와 Windows의 프로세스/스레드 ID 관리 방식
13820정성태11/18/20245234VS.NET IDE: 195. Visual C++ - C# 프로젝트처럼 CopyToOutputDirectory 항목을 추가하는 방법
13819정성태11/15/20244477Linux: 107. eBPF - libbpf CO-RE의 CONFIG_DEBUG_INFO_BTF 빌드 여부에 대한 의존성
13818정성태11/15/20245260Windows: 272. Windows 11 24H2 - sudo 추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