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861. HttpClient와 HttpClientHandler의 관계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527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860. ServicePointManager.DefaultConnectionLimit와 HttpClient의 관계
; https://www.sysnet.pe.kr/2/0/12023

.NET Framework: 861. HttpClient와 HttpClientHandler의 관계
; https://www.sysnet.pe.kr/2/0/12024

닷넷: 2200.  C# - HttpClient.PostAsJsonAsync 호출 시 "Transfer-Encoding: chunked" 대신 "Content-Length" 헤더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3522




HttpClient와 HttpClientHandler의 관계

지난 글에 다룬 내용을,

ServicePointManager.DefaultConnectionLimit와 HttpClient의 관계
; https://www.sysnet.pe.kr/2/0/12023

좀 더 심화해서 들어가 보겠습니다. ^^ 이를 위해서는 HttpClient와 HttpClientHandler의 관계를 알아야 합니다. 사실 HttpClient는 HTTP를 위한 GET/PUT/POST 등의 비동기 호출을 감싸는 래퍼 클래스에 불과하고 실질적인 소켓 관리는 HttpClientHandler가 합니다.

HttpClient의 생성자 중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호출하면,

HttpClient clnt1 = new HttpClient(); // 전달된 HttpClientHandler가 없으므로 내부에서 새롭게 하나 생성
HttpClient clnt2 = new HttpClient(new HttpClientHandler());

그 스스로가 Dispose될 때 HttpClientHandler 인스턴스도 함께 Dispose시킵니다. 만약 그것을 원치 않는다면 다른 생성자를 이용해 Handler의 dispose 여부를 결정하는 인자를 넘기면 됩니다.

HttpClient clnt3 = new HttpClient(new HttpClientHandler(), false);

따라서 지난 글에서 HttpClient를 static 전역 객체로 하나만 정의해서 사용하라고 했는데, 엄밀히는 HttpClientHandler를 static으로 정의해 개별 HttpClient에서 사용하는 식으로 바꿔도 무방합니다.

static HttpClientHandler _sharedHandler = new HttpClientHandler();

void Call()
{
    using (HttpClient clnt = new HttpClient(_sharedHandler, false))
    {
        // clnt 사용한 HTTP 호출
    }
}




좀 더 아래로 내려가 보면, HttpClient와 HttpClientHandler의 부모 클래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Client : HttpMessageInvoker
HttpClientHandler : abstract HttpMessageHandler

HttpClient의 역할이 단순한 래퍼라고 했는데, handler를 이용한 기본적인 호출 코드는 부모인 HttpMessageInvoker 클래스가 이미 구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HttpClient가 아닌 HttpMessageInvoker를 직접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static HttpClientHandler _sharedHandler = new HttpClientHandler { MaxConnectionsPerServer = 3 };

private static async Task requestHttpAsync(object state)
{
    using (HttpMessageInvoker httpClient = new HttpMessageInvoker(_sharedHandler, false))
    {
        try
        {
            HttpRequestMessage req = new HttpRequestMessage(HttpMethod.Get, url);
            HttpResponseMessage resp = await httpClient.SendAsync(req, CancellationToken.None);
            string result = await resp.Content.ReadAsStringAsync();
        }
        catch { }
    }
}

이 정도면, 대충 웬만큼은 파악이 된 거 같군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0/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0-12-11 03시29분
You're using HttpClient wrong and it is destabilizing your software
; https://aspnetmonsters.com/2016/08/2016-08-27-httpclientwrong/

How to use HttpClient correctly to avoid socket exceptions
; https://www.roundthecode.com/dotnet-tutorials/how-to-use-httpclient-correctly-avoid-socket-exceptions
정성태
2022-09-05 11시43분
[양주멋쟁이] 고민되는 내용인데 이거로 정리가 되네요
[guest]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989정성태2/1/201134655개발 환경 구성: 103. DOS batch - 동기 방식으로 원격 서비스 제어
988정성태1/30/201130381개발 환경 구성: 102. MSBuild - DefineConstants에 다중 전처리 값 설정
987정성태1/29/201143828디버깅 기술: 33. PDB Symbol 로드 오류 - Cannot find or open the PDB file. [2]
986정성태1/26/201135372.NET Framework: 204. 분리된 ThreadPool 사용 - Smart Thread Pool
985정성태1/25/201131709디버깅 기술: 32. 인증서로 서명된 닷넷 어셈블리의 실행 지연 현상
984정성태1/25/201126343개발 환경 구성: 101. SharePoint 2010 - Form Design
983정성태1/23/201132089제니퍼 .NET: 15. 눈으로 확인하는 maxWorkerThreads, minFreeThreads 설정값 [1]
982정성태1/22/201128054개발 환경 구성: 100. SharePoint 2010 - iPad 친화적인 게시판 만들기 (사용자 지정 목록) [1]
981정성태1/19/201125051개발 환경 구성: 99. SharePoint 2010 -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 시 고려해야 할 점. [1]
980정성태1/19/201136741개발 환경 구성: 98. SharePoint 2010 - Office Web Apps 설치
979정성태1/18/201129580개발 환경 구성: 97. SharePoint 2010 팀 사이트 구성
978정성태1/16/201136836.NET Framework: 203. VPN 자동 연결 및 Router 설정 추가
977정성태1/12/201135155개발 환경 구성: 96. SharePoint 2010 설치 [5]
976정성태1/11/201158347오류 유형: 111. IIS - 500.19 오류 (0x8007000d)
975정성태1/10/201131521.NET Framework: 202. CLR JIT 컴파일러가 생성한 기계어 코드 확인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974정성태1/8/201131020.NET Framework: 201. 윈폼 TreeView - Bold 폰트 설정 후 텍스트가 잘리는 문제 [1]파일 다운로드1
973정성태1/7/201130089.NET Framework: 200. IIS Metabase와 ServerManager 개체 활용파일 다운로드1
972정성태1/7/201128196개발 환경 구성: 95. SQL Server 2008 R2 이하 버전 정보 확인
971정성태1/5/201138044.NET Framework: 199. .NET 코드 - Named Pipe 닷넷 서버와 VC++ 클라이언트 제작 [2]파일 다운로드1
970정성태1/4/201138428.NET Framework: 198.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 Facebook 로그인 연동 [1]파일 다운로드1
969정성태12/31/201044428VC++: 45. Winsock 2 Layered Service Provider - Visual Studio 2010용 프로젝트 [1]파일 다운로드1
968정성태12/30/201030635개발 환경 구성: 94. 개발자가 선택할 수 있는 윈도우에서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기술 [2]
967정성태12/27/201032326.NET Framework: 197. .NET 코드 - 단일 Process 실행파일 다운로드1
966정성태12/26/201029803.NET Framework: 196. .NET 코드 - 창 흔드는 효과파일 다운로드1
965정성태12/25/201031960개발 환경 구성: 93.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다중 어셈블리 출력 빌드파일 다운로드1
964정성태12/21/2010147951개발 환경 구성: 92. 윈도우 서버 환경에서, 최대 생성 가능한 소켓(socket) 연결 수는 얼마일까? [14]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