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NET Conf 2019 Korea - "닷넷 17년의 변화 정리 및 닷넷 코어 3.0" 발표 자료 오늘 있었던 .NET Conf 2019 @ Seoul 세미나의 발표 자료입니다. 닷넷 17년의 변화 정리 및 닷넷 코어 3.0 발표 자료 ; https://www.sysnet.pe.kr/bbs/DownloadAttachment.aspx?fid=1508&boardid=331301885 압축을 풀면 다음과 같은 구조의 폴더 및 디렉터리가 생성됩니다. ├───NetHistoryDemo │ ├───1.0 │ │ ├───1_Compile2 │ │ ├───2_GCnotCollected │ │ ├───3_GCCollected │ │ └───4_DelegateWithASM │ ├───2.0 │ │ └───CodeGen │ ├───4.0 │ │ └───PythonHost │ └───7.0 │ └───NativeWithSpan └───PPT └───PPTFonts NetHistoryDemo 폴더 이하는 발표하면서 예를 들었던 솔루션 프로젝트를 담고 있습니다. PPT 파일은 \PPT 폴더에 있는데 윈도우에 기본 설치되지 않은 폰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만약 한글이 깨져 보이는 분들은 \PPT\PPTFonts 폴더의 *.otf 파일들을 설치하시면 됩니다. 또는, 그냥 SlideShare를 통해 확인하시는 것도 가능합니다. [SlideShare] .NET Conf 2019 Korea - 닷넷 17년의 변화 정리 및 닷넷 코어 3.0 ; https://www.slideshare.net/techsharer/net-conf-2019-korea-17-30 참고로, 예전에 발표했던 다음의 자료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 tech-days 미니 토요세미나 - 3회 C#편 PPT 자료 ; https://www.sysnet.pe.kr/2/0/1551 ; https://www.sysnet.pe.kr/bbs/DownloadAttachment.aspx?fid=812&boardid=331301885 그나저나 제가 맡은 세션의 내용이, 어찌 보면 진부한 ^^ 역사 이야기라서 신기술을 배우려는 세미나의 특성상 참석 인원이 별로 없을 거라 생각했는데 많이들 들어주시고 관심을 가져주셔서 개인적으로도 보람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2019-11-13 추가] youtube에 해당 강의 영상이 올라왔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 참고하십시오. [.NET Conf 2019] SeongTae Jeong - 17 years of .Net changes and .Net Core 3.0 ; https://www.youtube.com/watch?v=pTN2paCE3kc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오류 유형: 569. Azure Site Extension 업그레이드 시 "System.IO.IOException: There is not enough space on the disk" 예외 발생[이전 글] 제니퍼 .NET: 29. Jennifersoft provides a trial promotion on its APM solution such as JENNIFER, PHP, and .NET in 2019 and shares the examples of their application. [연관 글] .NET Framework: 866. C# - 고성능이 필요한 환경에서 GC가 발생하지 않는 네이티브 힙 사용 [최초 등록일: 10/5/2019] [최종 수정일: 11/13/2019]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10-07 08시19분 [지윤사랑] 감사합니다. [guest]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85정성태4/22/201721920VS.NET IDE: 116. Visual Studio 확장(VSIX)을 이용해 사용자 메뉴 추가하는 방법 (2) - 동적 메뉴 구성111184정성태4/21/201723569VS.NET IDE: 115. Visual Studio 확장(VSIX)을 이용해 사용자 메뉴 추가하는 방법111183정성태4/19/201722379.NET Framework: 654. UWP 앱에서 FolderPicker 사용 시 유의 사항111182정성태4/19/201726209개발 환경 구성: 313. Nuget Facebook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ASP.NET 웹 폼과 로그인 연동하는 방법11181정성태4/18/201723757개발 환경 구성: 312. Azure Web Role의 AppPool 실행 권한을 Local System으로 바꾸는 방법11180정성태4/16/201726540Java: 18. Java의 Memory Mapped File 자원 반환이 안 되는 문제11179정성태4/13/201719530기타: 64. SVG Converter 스토어 앱 개인정보 보호 정책 안내11178정성태4/10/201721663개발 환경 구성: 311. COM+ 관리자의 DCOM 구성에 나오는 기준11177정성태4/7/201721515.NET Framework: 653. C# 7 새로운 문법(1) - 더욱 편리해진 Out 변수 사용111176정성태4/5/201718766VC++: 117. Visual Studio - ATL COM 개체를 단위 테스트 하는 방법11175정성태4/5/201727560.NET Framework: 652. C# 개발자를 위한 C++ COM 객체의 기본 구현 방식 설명111174정성태4/3/201721849VC++: 116. Visual Studio 단위 테스트 - Failed to set up the execution context to run the test11173정성태4/3/201724842VC++: 115. Visual Studio에서 C++ DLL을 대상으로 단위 테스트할 때 비정상 종료한다면?111172정성태4/3/201723729.NET Framework: 651. C# - 특정 EXE 프로세스를 종료시킨 EXE를 찾아내는 방법111171정성태3/31/201721285VS.NET IDE: 114. Visual Studio 디버깅 경고 창 - You are debugging a Release build of ...11170정성태3/31/201724101.NET Framework: 650. C# - CachedAnonymousMethodDelegate 유형의 코드 생성11169정성태3/30/201723503VC++: 114. C++ vtable의 가상 함수 호출 가로채기111168정성태3/29/201725536VC++: 113. C++ 클래스 상속 관계의 vtable 생성 과정11167정성태3/28/201725980VC++: 112. C++의 가상 함수 테이블 (vtable)은 언제 생성될까요? [2]11166정성태3/28/201721724오류 유형: 382. System.Data.SqlClient.SqlException - Arithmetic overflow error converting IDENTITY to data type int.11165정성태3/27/201724592오류 유형: 381. Visual C++에서 min, max 함수를 사용한 경우 C2589, C2059 컴파일 오류 발생11164정성태3/27/201733232VC++: 111. C++ 클래스의 상속에 따른 메모리 구조 [2]111163정성태3/25/201722462VC++: 110. CreateThread Win32 API에 C++ 클래스의 멤버 함수를 전달하는 방법111162정성태3/24/201727253오류 유형: 380. Visual Studio 빌드 실패 - The OutputPath property is not set for project11161정성태3/24/201718156오류 유형: 379. ICOMAdminCatalog.GetCollection 호출 시 0x80070422 예외 발생11160정성태3/23/201724531.NET Framework: 649. ASP.NET - Server cannot append header after HTTP headers have been sent. (HTTP 헤더를 보낸 후에는 서버에서 헤더를 추가할 수 없습니다.)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