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NET Conf 2019 Korea - "닷넷 17년의 변화 정리 및 닷넷 코어 3.0" 발표 자료 오늘 있었던 .NET Conf 2019 @ Seoul 세미나의 발표 자료입니다. 닷넷 17년의 변화 정리 및 닷넷 코어 3.0 발표 자료 ; https://www.sysnet.pe.kr/bbs/DownloadAttachment.aspx?fid=1508&boardid=331301885 압축을 풀면 다음과 같은 구조의 폴더 및 디렉터리가 생성됩니다. ├───NetHistoryDemo │ ├───1.0 │ │ ├───1_Compile2 │ │ ├───2_GCnotCollected │ │ ├───3_GCCollected │ │ └───4_DelegateWithASM │ ├───2.0 │ │ └───CodeGen │ ├───4.0 │ │ └───PythonHost │ └───7.0 │ └───NativeWithSpan └───PPT └───PPTFonts NetHistoryDemo 폴더 이하는 발표하면서 예를 들었던 솔루션 프로젝트를 담고 있습니다. PPT 파일은 \PPT 폴더에 있는데 윈도우에 기본 설치되지 않은 폰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만약 한글이 깨져 보이는 분들은 \PPT\PPTFonts 폴더의 *.otf 파일들을 설치하시면 됩니다. 또는, 그냥 SlideShare를 통해 확인하시는 것도 가능합니다. [SlideShare] .NET Conf 2019 Korea - 닷넷 17년의 변화 정리 및 닷넷 코어 3.0 ; https://www.slideshare.net/techsharer/net-conf-2019-korea-17-30 참고로, 예전에 발표했던 다음의 자료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 tech-days 미니 토요세미나 - 3회 C#편 PPT 자료 ; https://www.sysnet.pe.kr/2/0/1551 ; https://www.sysnet.pe.kr/bbs/DownloadAttachment.aspx?fid=812&boardid=331301885 그나저나 제가 맡은 세션의 내용이, 어찌 보면 진부한 ^^ 역사 이야기라서 신기술을 배우려는 세미나의 특성상 참석 인원이 별로 없을 거라 생각했는데 많이들 들어주시고 관심을 가져주셔서 개인적으로도 보람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2019-11-13 추가] youtube에 해당 강의 영상이 올라왔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 참고하십시오. [.NET Conf 2019] SeongTae Jeong - 17 years of .Net changes and .Net Core 3.0 ; https://www.youtube.com/watch?v=pTN2paCE3kc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오류 유형: 569. Azure Site Extension 업그레이드 시 "System.IO.IOException: There is not enough space on the disk" 예외 발생[이전 글] 제니퍼 .NET: 29. Jennifersoft provides a trial promotion on its APM solution such as JENNIFER, PHP, and .NET in 2019 and shares the examples of their application. [연관 글] .NET Framework: 866. C# - 고성능이 필요한 환경에서 GC가 발생하지 않는 네이티브 힙 사용 [최초 등록일: 10/5/2019] [최종 수정일: 11/13/2019]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10-07 08시19분 [지윤사랑] 감사합니다. [guest]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05정성태1/23/201421212개발 환경 구성: 212. Visual Studio Online과 "Monaco" 서비스 연동1604정성태1/23/201421535오류 유형: 216. 윈도우 서버 백업 - Hyper-V 가상 머신이 백업되지 않는 경우 (2)1603정성태1/23/201433606개발 환경 구성: 211. Hyper-V - Generation 2 유형의 VM 생성 시 ISO 부팅이 안된다면? [1]1602정성태1/22/201423815디버깅 기술: 62. windbg - 사용자 모드 원격 디버깅1601정성태1/22/201427428오류 유형: 215. windbg - Symbol file could not be found. Defaulted to export symbols1600정성태1/19/201424081.NET Framework: 410.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을 Paralle.For와 함께? [1]11599정성태1/18/201432193.NET Framework: 409.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 [1]11598정성태1/17/201425517디버깅 기술: 61. NT 서비스 시작 단계에서 닷넷 메서드에 BP를 걸어 디버깅하는 방법1597정성태1/17/201424111Phone: 9. Xamarin Android에 구글 AdMob 사용하는 방법 [1]1596정성태1/17/201423045오류 유형: 214. Local SYSTEM 계정으로 실행된 IE에서 다운로드가 안 되는 문제1595정성태1/16/201420042오류 유형: 213. attrib - Not resetting system file1594정성태1/15/201422190오류 유형: 212. 마이크로소프트 라이브 계정 로그인 실패하는 경우1593정성태1/14/201420820오류 유형: 211. ASP.NET 응용 프로그램을 IIS Express에서 디버깅할 때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오류 발생1592정성태1/14/201421108오류 유형: 210. 2대의 AD가 있는 경우 도메인에 컴퓨터 추가를 실패한다면? [1]1591정성태1/14/201423278오류 유형: 209. DebugDiag: Unable to find mscordacwks_x86_x86_[...version...].dll1590정성태1/14/201423941오류 유형: 208. VSS Writer - NTDS 오류1589정성태1/14/201432885Windows: 85. 컴퓨터를 껐는데도 어느 순간 자동으로 켜진다면? [2]1588정성태1/14/201429674Windows: 84. 윈도우 7/8 - 메뉴 항목이 잔상으로 남는 문제1587정성태1/14/201425580디버깅 기술: 60.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2)1586정성태1/14/201427297디버깅 기술: 59.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1) [1]1585정성태1/14/201430194VS.NET IDE: 84. Visual Studio를 이용한 파일 비교(diff)1584정성태1/13/201432499Windows: 83. 윈도우 8 - UI가 있는 프로그램을 Local SYSTEM 권한의 세션 0 데스크톱에서 실행하는 방법1583정성태1/13/201430501Windows: 82. 윈도우 8 - "Interactive Services Detection" 서비스 시작하는 방법 [1]1582정성태1/12/201428962개발 환경 구성: 210. 원격 데스크톱(RDP) 접속 프로그램 - Royal TS [1]1581정성태1/12/201430309.NET Framework: 408. 자바와 닷넷의 제네릭 차이점 - 중간 언어 및 공변/반공변 처리 [8]1580정성태1/12/201440331.NET Framework: 407.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