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574. Windows 10 설치 시 오류 - 0xC1900101 - 0x4001E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281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indows 10 설치 시 오류 - 0xC1900101 - 0x4001E

윈도우 10 1909 설치 시 실패 후 원복이 되면서 다음과 같은 오류 코드가 나옵니다.

0xC1900101 - 0x4001E
The installation failed in the SECOND_BOOT phase with an error during PRE_OOBE operation

검색해 봤지만,

FIX Error 0xC1900101 ? 0x4001E: Installation failed in the SECOND_BOOT phase during PRE_OOBE operation in Windows 10 Upgrade. (Solved)
; https://www.repairwin.com/fix-windows-10-upgrade-error-0xc1900101-0x4001e-installation-failed-in-the-second-boot-phase-during-pre-oobe-operation/

딱히 제 경우에 맞는 원인은 없었는데요, 단지 좀 더 자세한 오류 메시지를 얻기 위해 로그 파일을 찾아,

C:\$WINDOWS.~BT\Sources\Panther\setuperr.log

내용을 보면 대충 이렇습니다.

...[생략]...
2019-10-25 22:02:20, Error                 MIG    Error while getting reparse point data for \\?\C:\Users\%USERNAME%\OneDrive. Error: Win32Exception: Error retrieving reparse data.: The file or directory is not a reparse point. [0x00001126] void __cdecl Mig::CNativeFileUtils::GetReparseData(const unsigned short *,unsigned long *,unsigned char **)[gle=0x00001126]
...[생략]...
2019-10-25 22:03:42, Error                 MIG    Error while getting reparse point data for \\?\C:\Users\%USERNAME%\OneDrive. Error: Win32Exception: Error retrieving reparse data.: The file or directory is not a reparse point. [0x00001126] void __cdecl Mig::CNativeFileUtils::GetReparseData(const unsigned short *,unsigned long *,unsigned char **)[gle=0x00001126]
...[생략]...
 file or directory is not a reparse point. [0x00001126] void __cdecl Mig::CNativeFileUtils::GetReparseData(const unsigned short *,unsigned long *,unsigned char **)[gle=0x00001126]
2019-10-25 22:10:34, Error                 MIG    Error while getting reparse point data for \\?\C:\Users\%USERNAME%\OneDrive. Error: Win32Exception: Error retrieving reparse data.: The file or directory is not a reparse point. [0x00001126] void __cdecl Mig::CNativeFileUtils::GetReparseData(const unsigned short *,unsigned long *,unsigned char **)[gle=0x00001126]
...[생략]...
2019-10-25 22:12:07, Error                 MIG    Error while getting reparse point data for \\?\C:\Users\%USERNAME%\OneDrive. Error: Win32Exception: Error retrieving reparse data.: The file or directory is not a reparse point. [0x00001126] void __cdecl Mig::CNativeFileUtils::GetReparseData(const unsigned short *,unsigned long *,unsigned char **)[gle=0x00001126]
...[생략]...
2019-10-25 22:39:57, Error      [0x0808fe] MIG    Plugin {050ed09e-a530-41e6-8ac9-a9a96e74a2c1}: [shmig] internal\onecoreuapshell\private\inc\UserChoiceHelpers.h(829)\shmig.dll!00007FFBE7F2A17B: (caller: 00007FFBE7F2A8A9) LogHr(2) tid(380) 80070002 지정된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
...[생략]...
2019-10-25 22:40:00, Error      [0x0808fe] MIG    Plugin {050ed09e-a530-41e6-8ac9-a9a96e74a2c1}: [shmig] internal\onecoreuapshell\private\inc\UserChoiceHelpers.h(830)\shmig.dll!00007FFBE7F2A1A5: (caller: 00007FFBE7F2A8A9) LogHr(3) tid(171c) 80070002 지정된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
...[생략]...
2019-10-25 22:50:01, Error                 MIG    Error while getting reparse point data for \\?\C:\Users\%USERNAME%\OneDrive\Windows 8.1 desktop samples\UPnP control point sample\C++\deviceprop.cpp. Error: Win32Exception: Error retrieving reparse data.: 시스템 리소스가 부족하기 때문에 요청한 서비스를 완성할 수 없습니다. [0x000005AA] void __cdecl Mig::CNativeFileUtils::GetReparseData(const unsigned short *,unsigned long *,unsigned char **)[gle=0x000005aa]
2019-10-25 22:50:02, FatalError [0x090001] PANTHR Exception (code 0xE06D7363: <unknown>) occurred at 0x00007FFBF8CCA839 in C:\WINDOWS\System32\KERNELBASE.dll (+000000000003A839).

Windbg C++ 예외(0xe06d7363) 정보 얻기
; https://mangsby.com/blog/windows/windbg-c-예외0xe06d7363-정보-얻기/

보는 바와 같이 OneDrive 경로의 처리가 안 되고 있으며 마지막에는 그로 인해 "시스템 리소스가 부족..."하다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혹시나 해서 OneDrive 연결을 일단 Unlink시키고 모든 폴더를 삭제했습니다. 지난번 글이 이 과정에서 쓰인 것이었습니다.

OneDrive 하위에 위치한 Documents, Desktop 폴더에 대한 권한 변경 시 "Unable to display current owner"
; https://www.sysnet.pe.kr/2/0/12042

아마도 OneDrive 하위로 매핑된 윈도우 시스템의 Documents나 Desktop 폴더 등의 영향으로 보이는데 어쨌든 OneDrive의 내용을 모두 삭제 후 다시 설치했더니 정상적으로 윈도우 10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OneDrive는 설치 완료 후 재연결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9/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41정성태1/31/201728860.NET Framework: 639.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4) - CLR JIT 컴파일러의 P/Invoke 호출 규약 [1]파일 다운로드1
11140정성태1/27/201723439.NET Framework: 638. RSAParameters와 RSA파일 다운로드1
11139정성태1/22/201726718.NET Framework: 637.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3) - x64 환경의 __fastcall과 Name mangling [1]파일 다운로드1
11138정성태1/20/201725417VS.NET IDE: 113. 프로젝트 생성 시부터 "Enable the Visual Studio hosting process" 옵션을 끄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3]
11137정성태1/20/201722465Windows: 135. AD에 참여한 컴퓨터로 RDP 연결 시 배경 화면을 못 바꾸는 정책
11136정성태1/20/201722683오류 유형: 375. Hyper-V 내에 구성한 Active Directory 환경의 시간 구성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1135정성태1/20/201723275Windows: 134. Windows Server 2016의 작업 표시줄에 있는 시계가 사라졌다면? [1]
11134정성태1/20/201731700.NET Framework: 636. System.Threading.Timer를 이용해 타이머 작업을 할 때 유의할 점 [5]파일 다운로드1
11133정성태1/20/201727514.NET Framework: 635.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2) - x86 환경의 __fastcall [1]파일 다운로드1
11132정성태1/19/201739644.NET Framework: 634.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1) - x86 환경에서의 __cdecl, __stdcall에 대한 Name mangling [1]파일 다운로드1
11131정성태1/13/201728384.NET Framework: 633. C# - IL 코드 분석을 위한 팁 [2]
11130정성태1/11/201729182.NET Framework: 632. x86 실행 환경에서 SECURITY_ATTRIBUTES 구조체를 CreateEvent에 전달할 때 예외 발생파일 다운로드1
11129정성태1/11/201733024.NET Framework: 631. async/await에 대한 "There Is No Thread" 글의 부가 설명 [9]파일 다운로드1
11128정성태1/9/201725754.NET Framework: 630. C# - Interlocked.CompareExchange 사용 예제 [3]파일 다운로드1
11127정성태1/8/201727766기타: 63. (개발자를 위한) Visual Studio의 "with MSDN" 라이선스 설명
11126정성태1/7/201732616기타: 62. Edge 웹 브라우저의 즐겨찾기(Favorites)를 편집/백업/복원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125정성태1/7/201729270개발 환경 구성: 310. IIS - appcmd.exe를 이용해 특정 페이지에 클라이언트 측 인증서를 제출하도록 설정하는 방법
11124정성태1/4/201732629개발 환경 구성: 309. 3년짜리 유효 기간을 제공하는 StartSSL [2]
11123정성태1/3/201728149.NET Framework: 629. .NET Core의 dotnet.exe CLI 명령어 확장 방법 [1]
11122정성태1/3/201725658.NET Framework: 628. TransactionScope에 사용자 정의 트랜잭션을 참여시키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121정성태1/1/201723372개발 환경 구성: 308. "ASP.NET Core Web Application (.NET Core)"와 "ASP.NET Core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차이점
11120정성태12/25/201631510개발 환경 구성: 307.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11119정성태12/23/201651597개발 환경 구성: 306. Visual Studio Code에서 Python 개발 환경 구성 [2]
11118정성태12/22/201641697오류 유형: 374. Python 64비트 설치 시 0x80070659 오류 발생 [3]
11117정성태12/21/201626606웹: 35. nopCommerce 예제 사이트 구성 방법
11116정성태12/21/201628899디버깅 기술: 84. NopCommerce의 Autofac 부하(CPU, Memory) [2]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