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오류 유형: 534. mstest.exe 실행 시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
; https://www.sysnet.pe.kr/2/0/11886

개발 환경 구성: 438. mstest, QTAgent의 로그 파일 설정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889

개발 환경 구성: 439.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메시지와 관련된 코드 기록
; https://www.sysnet.pe.kr/2/0/11890

오류 유형: 539. mstest 실행 시 "The directory name is invalid." 오류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1902

오류 유형: 575. mstest.exe - System.Resources.MissingSatelliteAssemblyException: The satellite assembly named "Microsoft.VisualStudio.ProductKeyDialog.resources.dll, ..."
; https://www.sysnet.pe.kr/2/0/12044

오류 유형: 576. mstest.exe 실행 시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045




mstest.exe 실행 시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 - 두 번째 이야기

지난 글에서,

mstest.exe 실행 시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
; https://www.sysnet.pe.kr/2/0/11886

분명히 Enterprise 버전인데도 제품키를 입력해야만 mstest.exe가 동작하는 것에 대한 설명을 했습니다. 아무래도 마이크로소프트 측의 버그 같은데 아쉽게도 최근 비주얼 스튜디오의 새 프로젝트 창을 보면,

mstest_loadtest_1.png

"Deprecated"라고 나온 걸로 봐서 관련 테스트 프로젝트를 더 이상 신경 쓰지 않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결국 저 동작이 수정될 가능성이 그다지 높지 않다는 것입니다.




혹시 그럼, 저 동작을 우회할 수는 없을까요? 이를 위해 해당 라이선스 체크가 발생하는 코드를 추적해 보면,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메시지와 관련된 코드 기록
; https://www.sysnet.pe.kr/2/0/11890

결국 다음의 코드에서 IsLicenseGood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private void UpdateLicensingInformation(IVsClientRights clientRights)
{
    if (clientRights == null)
    {
        WebTestLoadTrace.Error("LicenseHandler.UpdateLicensingInformation(): unable to fetch clientRights ");
    }
    else if (!clientRights.IsLicenseGood)
    {
        WebTestLoadTrace.Error("LicenseHandler.UpdateLicensingInformation(): clientrights' license is not valid.");
    }
    else
    {
        this.AvailableFeatures = 4;
        _VSLicenseType licenseType = (_VSLicenseType) clientRights.LicenseType;
        this.IsLicensedForAllLoadTestFeatures = ((this.IsLicensedForLoadTest && (licenseType != _VSLicenseType.VSLICTYPE_UNKNOWN)) && ((licenseType != _VSLicenseType.VSLICTYPE_TrialPID) && (licenseType != _VSLicenseType.VSLICTYPE_VSExtensionTrial))) && (licenseType != _VSLicenseType.VSLICTYPE_PrereleaseTrialPID);
        WebTestLoadTrace.Verbose("LicenseHandler.UpdateLicensingInformation(): licenseType: " + licenseType);
        if (this.IsLicensedForAllLoadTestFeatures)
        {
            this.AvailableFeatures |= 8;
            this.AvailableFeatures |= 0x20;
        }
    }
}

그렇다면 이 코드를 profiler 기술을 이용해,

라이선스까지도 뛰어넘는 .NET Profiler
; https://www.sysnet.pe.kr/2/0/1046

다음과 같은 식으로 IsLicenseGood의 IL 코드를 무조건 1을 반환하도록 변경하면 됩니다.

vector<BYTE> ilCodes;

ilCodes.push_back(CEE_LDC_I4_1);
ilCodes.push_back(CEE_RET);

IMAGE_COR_ILMETHOD ilHeader;
ilHeader.Tiny.Flags_CodeSize = (BYTE)((ilCodes.size() << 2) | CorILMethod_TinyFormat);

size_t allocationSize = ilCodes.size() + sizeof(ilHeader.Tiny);

BYTE* pAllocated = (BYTE*)pMalloc->Alloc((ULONG)allocationSize);

BYTE* pBytes = pAllocated;
memcpy(pBytes, &ilHeader.Tiny, sizeof(ilHeader.Tiny));
pBytes += sizeof(ilHeader.Tiny);

memcpy(pBytes, ilCodes.data(), ilCodes.size());
pBytes += ilCodes.size();

m_pICorProfilerInfo->SetILFunctionBody(moduleId, methodToken, (LPCBYTE)pAllocated);

이후, 비교를 위해 예전 그대로 실행해 보면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가 발생하지만,

C:\temp> mstest /testcontainer:loadtest1.loadtest
Microsoft (R) Test Execution Command Line Tool Version 16.0.28326.58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Loading loadtest1.loadtest...
Starting execution...

Results               Top Level Tests
-------               ---------------
Error                 loadtest1.loadtest
0/1 test(s) Passed, 1 Error

Summary
-------
Test Run Warning.
  Error  1
  --------
  Total  1
Results file:  C:\temp\TestResults\%USERNAME%_TESTPC 2019-05-23 23_30_15.trx
Test Settings: Default Test Settings

Run has the following issue(s):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V, 11892, 1, 2019/05/23, 08:54:16.573, TESTPC\mstest, WebLoadTestAdapter: LicenseHandler.InitializeLoadTestLicenseInfo(): skuEdition: VSEDITION_Ultimate
E, 11892, 1, 2019/05/23, 08:54:16.990, TESTPC\mstest, WebLoadTestAdapter: LicenseHandler.UpdateLicensingInformation(): clientrights' license is not valid.

profiler를 등록한 다음,

C:\temp> SET COR_ENABLE_PROFILING=1
C:\temp> SET COR_PROFILER={...}

다시 실행해 보면 정상적으로 loadtest에 대한 시나리오를 수행하게 될 것입니다.

(혹시나, 저 동작이 마이크로소프트의 버그가 아니라 의도된 라이선스 수행 과정일 수 있으므로 이 글에 대한 바이너리나 전체 소스 코드는 공개하지 않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7/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437정성태12/1/202017988VS.NET IDE: 155. pfx의 암호 키 파일을 Visual Studio 없이 등록하는 방법
12436정성태12/1/202018147오류 유형: 687. .NET Core 2.2 빌드 - error MSB4018: The "RazorTagHelper" task failed unexpectedly.
12435정성태12/1/202025224Windows: 181. 윈도우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최대 접속 수 (4) - ReuseUnicastPort를 이용한 포트 고갈 문제 해결 [1]파일 다운로드1
12434정성태11/30/202019059Windows: 180. C# - dynamicport 값의 범위를 알아내는 방법
12433정성태11/29/202017773Windows: 179. 윈도우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최대 접속 수 (3) - SO_PORT_SCALABILITY파일 다운로드1
12432정성태11/29/202019285Windows: 178. 윈도우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최대 접속 수 (2) - SO_REUSEADDR [1]파일 다운로드1
12431정성태11/27/202016119.NET Framework: 976. UnmanagedCallersOnly + C# 9.0 함수 포인터 사용 시 x86 빌드에서 오동작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2430정성태11/27/202018547오류 유형: 686. Ubuntu - E: The repository 'cdrom://...' does not have a Release file.
12429정성태11/25/202018631디버깅 기술: 175. windbg - 특정 Win32 API에서 BP가 안 걸리는 경우
12428정성태11/25/202016763VS.NET IDE: 154. Visual Studio - .NET Core App 실행 시 dotnet.exe 실행 화면만 나오는 문제
12427정성태11/24/202017622.NET Framework: 975. .NET Core를 직접 호스팅해 (runtimeconfig.json 없이) EXE만 배포해 실행파일 다운로드1
12426정성태11/24/202016006오류 유형: 685. WinDbg Preview - error InitTypeRead
12425정성태11/24/202017655VC++: 141. Visual C++ - "Treat Warnings As Errors" 옵션이 꺼져 있는데도 일부 경고가 에러 처리되는 경우
12424정성태11/24/202017968VC++: 140. C++의 연산자 동의어(operator synonyms), 대체 토큰 [1]
12423정성태11/22/202018605.NET Framework: 974. C# 9.0 - (16) 제약 조건이 없는 형식 매개변수 주석(Unconstrained type parameter annotations)파일 다운로드1
12422정성태11/21/202016016.NET Framework: 973. .NET 5, .NET Framework에서만 허용하는 UnmanagedCallersOnly 사용예파일 다운로드1
12421정성태11/19/202015307.NET Framework: 972. DNNE가 출력한 NE DLL을 직접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420정성태11/19/202015246오류 유형: 684. Visual C++ - MSIL .netmodule or module compiled with /GL found; restarting link with /LTCG; add /LTCG to the link command line to improve linker performance
12419정성태11/19/202016119VC++: 139. Visual C++ - .NET Core의 nethost.lib와 정적 링크파일 다운로드1
12418정성태11/19/202018368오류 유형: 683. Visual C++ - error LNK2038: mismatch detected for 'RuntimeLibrary': value 'MT_StaticRelease' doesn't match value 'MDd_DynamicDebug'파일 다운로드1
12417정성태11/19/202016095오류 유형: 682. Visual C++ - warning LNK4099: PDB '...pdb' was not found with '...lib(pch.obj)' or at '...pdb'; linking object as if no debug info
12416정성태11/19/202017190오류 유형: 681. Visual C++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CrtDbgReport
12415정성태11/18/202017422.NET Framework: 971. UnmanagedCallersOnly 특성과 DNNE 사용파일 다운로드1
12414정성태11/18/202019556VC++: 138. x64 빌드에서 extern "C"가 아닌 경우 ___cdecl name mangling 적용 [4]파일 다운로드1
12413정성태11/17/202018529.NET Framework: 970. .NET 5 / .NET Core - UnmanagedCallersOnly 특성을 사용한 함수 내보내기파일 다운로드1
12412정성태11/16/202020685.NET Framework: 969. .NET Framework 및 .NET 5 - UnmanagedCallersOnly 특성 사용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