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Azure - 일정(schedule)에 등록한 runbook이 1년 후 실행이 안 되는 문제(Reason - The key used is expired.)

이상하군요. 어느 순간부터 일정에 등록한 runbook 스크립트가 실행되지 않습니다.

Azure runbook 예제 - 6시간 동안 수행 중인 VM을 중지
; https://www.sysnet.pe.kr/2/0/11517

대충 저 글을 쓴지 1년이 되어가는데요, 왜냐하면 "Automation Account"가 소유한 인증서가 1년 만기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오류가 runbook 실행 시 발생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AADSTS700027: Client assertion contains an invalid signature. [Reason - The key used is expired., Thumbprint of key used by client: 'A9AFDC7BC047322F00AF034E24B63385898BB13D', Found key 'Start=10/22/2018 00:00:00, End=10/23/2019 00:00:00', Please visit 'https://developer.microsoft.com/en-us/graph/graph-explorer?WT.mc_id=DT-MVP-4038148' and query for 'https://graph.microsoft.com/beta/applications/83d348ba-3cd2-4ab2-9304-8b0736f7e3ad' to see configured keys] Trace ID: 8ee86b7b-cd1c-4413-b3de-6acd888d3101 Correlation ID: 4d03cd5e-325d-4175-a062-6c1d1485731a Timestamp: 2019-11-14 04:00:33Z
No subscription found in the context. Please ensure that the credentials you provided are authorized to access an Azure subscription, then run Connect-AzureRmAccount to login.


검색해 보면 정확히 저 문제를 설명한 글이 나옵니다. ^^

Azure Automation Fails to Start Machine
; https://www.mcbsys.com/blog/2017/06/azure-automation-fails-to-start-machine/

그런데 사실 이 문제를 인식하기 어려웠던 점이 있는데, runbook의 "Process Automation" / "Jobs" 로그를 보면 다음과 같이 STATUS가 "Completed"로 나오기 때문입니다.

[그림 출처: https://www.mcbsys.com/blog/2017/06/azure-automation-fails-to-start-machine/]
runbook_cert_expired_0.png

하지만 저 로그 항목 하나를 찍고 들어가면 그제서야 이 글의 처음에 실은 "AADSTS700027" 오류가 보입니다. ^^;




해결 방법은 "Azure Automation Fails to Start Machine" 글에도 나오지만, 문제가 되는 "Automation Account" 설정 화면으로 들어가면 아래의 화면과 같이,

runbook_cert_expired_1.png

친절하게 오류 메시지와 함께 링크를 제공하므로,

The certificates for the Run As account and Classic Run As account have expired. Click here to renew the certificate(s).

이것을 누르면 "Azure Run As Account"와 "Azure Classic Run As Account"에 대해 인증서를 갱신(renew)하는 버튼이 보이고, 그것을 눌러 실행하면 모든 문제가 해결됩니다. ^^ (그나저나... 이걸 1년마다 신경 써야 하는 것은 좀...!!!)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5/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28정성태8/20/200639411개발 환경 구성: 8. AppVerifier 사용법 [1]
327정성태8/16/200636166개발 환경 구성: 7. ActiveX 서명 과정 자동화 [1]
326정성태8/16/200630033Team Foundation Server: 13. Sysnet 웹 사이트 TFS Migration
322정성태8/15/200624859개발 환경 구성: 6. 4GB 메모리 구성 [1]
316정성태9/20/200644484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6]
309정성태12/27/200645236디버깅 기술: 5. PDB 이야기 [7]
310정성태8/5/200632178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WinForm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파일 다운로드1
311정성태8/10/200632166    답변글 디버깅 기술: 5.2.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Application Project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
312정성태8/5/20063438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3.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Site Model 유형의 프로젝트
313정성태8/12/200633364    답변글 디버깅 기술: 5.4.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1)
317정성태8/12/20063053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5.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2)
318정성태8/12/20063719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6.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19정성태8/12/20063216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7.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2) [1]
320정성태8/12/20063624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8. WinDBG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21정성태8/13/20064111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9. Microsoft의 PDB 파일 관리
323정성태8/15/20064232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0. Symbol Server 생성 [4]
324정성태8/15/20063850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1. PDB 파일과 소스 코드
325정성태9/8/20063159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2. CCP를 이용한 Windows Source Code 수준의 디버깅
329정성태8/19/20063027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3. 소스 서버 구성 [1]
332정성태8/20/20063191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4. GAC 에 등록된 Assembly 디버그 [2]
341정성태9/16/200624174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5. [내용 예약]
342정성태9/16/20064206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6. ASP.NET 디버깅 환경 구성 [1]파일 다운로드1
306정성태2/13/200721234기타: 15. .NET 이 생산성이 높다는 증거(!)
304정성태7/21/200623451VS.NET IDE: 41. 하위 폴더의 모든 프로젝트의 출력물을 제거 (Clean)
305정성태7/21/200623221    답변글 VS.NET IDE: 41.1. 하위 폴더의 모든 프로젝트의 출력물을 제거 (Clean) [1]
303정성태7/20/200621113Team Foundation Server: 12. 사용자 계정 재생성에 따른 Version Control 영향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