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Microsoft Visual Studio Installer Projects" 프로젝트로 EXE 서명 및 MSI 파일 서명 방법

비주얼 스튜디오 2019에는 정식 Setup 프로젝트가 없기 때문에 다음의 확장을 내려받아 설치합니다.

Microsoft Visual Studio Installer Projects
; https://marketplace.visualstudio.com/items?itemName=VisualStudioClient.MicrosoftVisualStudio2017InstallerProjects

그다음, 예제로 "ConsoleApp1" 프로젝트와 "Setup1"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sign_in_msi_1.png

당연히, "Setup1" 프로젝트에는 "ConsoleApp1" 프로젝트의 결과물이 포함되어야 하므로 위의 화면에서 "File Ssytem on Target Machine" / "Application Folder" 노드를 마우스 우 클릭해 "Add" / "Project Output..." 메뉴로 다음과 같이 "Add Project Output Group" 창을 띄우고,

sign_in_msi_2.png

"Project:"에는 "ConsoleApp1", 그 하단에는 "Primary output"을 선택해 "OK"를 눌러 줍니다. 이제 "Setup1" 프로젝트를 빌드하면 setup1.msi 파일이 생성됩니다.




자, 그런데 우리가 원하는 것은 인증서로 서명한,

ActiveX 서명 과정 자동화
; https://www.sysnet.pe.kr/2/0/327

exe 파일이 setup에 포함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한 사전 작업으로 test 용 pfx 파일을 하나 만들 텐데요.

윈도우에서 (테스트) 인증서 파일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13

"Developer Command Prompt for VS 2019" 명령행 창을 띄워 다음과 같이 2개의 명령어를 실행해 주면 (개인키를 담은) test.pfx 파일이 생성됩니다.

c:\temp> makecert -n "CN=test_cert" -r -sv mycert.pvk mycert.cer
Succeeded

c:\temp> pvk2pfx.exe -pvk mycert.pvk -spc mycert.cer -pfx mycert.pfx -po test

test.pfx 파일을 이용해 서명할 것이므로 이걸 솔루션 폴더에 복사해 줍니다.




인증서도 구했으니, 이제 msi 파일과 exe 파일에 대해 서명하는 작업만 추가하면 됩니다. 우선 msi 파일 먼저 해볼 텐데요, 간단하게 Setup 프로젝트의 속성 창에,

sign_in_msi_3.png

보는 바와 같이 "PostBuildEvent"로 다음의 명령어를 등록합니다.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bin\10.0.18362.0\x64\signtool.exe" sign /f $(ProjectDir)..\mycert.pfx /p test /fd sha256 /v $(BuiltOuputPath)


위의 명령에서 "signtool.exe"의 경로는 각자 환경에 따라 맞춰줘야 하고, pfx 파일도 다른 위치에 복사했다면 그 경로를 설정하면 됩니다. 이렇게 하고 빌드하면 Setup1.msi 파일이 정상적으로 서명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남은 작업이, 내부에 포함된 EXE 파일에 대한 서명입니다. 이게 좀 헷갈렸는데요. 일단, ConsoleApp1 프로젝트의 속성 창을 통해 "Build Events"의 "Post-build event command line:"에 다음의 내용을 등록합니다.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bin\10.0.18362.0\x64\signtool.exe" sign /f $(SolutionDir)mycert.pfx /p test /fd sha256 /v $(TargetPath)

또는, csproj에 build task로,

ASP.NET Web Application 프로젝트의 FileSystem 배포(Publish) 시 Before/After Task 설정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519

다음과 같이 등록해도 됩니다.

<Project ToolsVersion="4.0" xmlns="http://schemas.microsoft.com/developer/msbuild/2003">
    ...[생략]...
    <Target Name="AfterBuild">
        <Exec WorkingDirectory="$(WorkgroupDir)" Command="&quot;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bin\10.0.18362.0\x64\signtool.exe&quot; sign /f $(SolutionDir)mycert.pfx /p test /fd sha256 /v $(TargetPath) " />
    </Target>
    ...[생략]...
</Project>

그런데, 위와 같이 설정하고 Setup1.msi로 설치해 보면 서명이 안 된 ConsoleApp1.exe가 출력됩니다. 이유가 좀 황당한데요, 우리가 서명했던 파일인 $(TargetPath)가 가리키는 경로는 /bin/Debug/ConsoleApp1.exe인 반면, Setup 프로젝트의 "Primary Output"은 "/obj/Debug/ConsoleApp1.exe"이기 때문입니다.

sign_in_msi_4.png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으로 대상 출력 파일에 대한 경로를 조정(/bin/Debug ==> /obj/Debug)해야 합니다.

["Post-build event command line:"에 설정한 경우]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bin\10.0.18362.0\x64\signtool.exe" sign /f $(SolutionDir)mycert.pfx /p test /fd sha256 /v $(ProjectDir)obj\$(ConfigurationName)\$(TargetFileName)

["csproj"의 Task로 설정한 경우]

<Target Name="AfterBuild">
    <Exec WorkingDirectory="$(WorkgroupDir)" Command="&quot;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bin\10.0.18362.0\x64\signtool.exe&quot; sign /f &quot;$(SolutionDir)mycert.pfx&quot; /p test /fd sha256 /v &quot;$(ProjectDir)obj\$(ConfigurationName)\$(TargetFileName)&quot;" />
</Target>

끝입니다. 이제 Setup1 프로젝트를 빌드하면 msi 파일 및 그 내부에 포함된 ConsoleApp1.exe 파일도 정상적으로 서명이 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에서 설명한 예제 프로젝트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서명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c:\temp> signtool.exe sign /f mycert.pfx /p test /as /fd sha256 /v "C:\...[생략]...\Setup1.msi"
The following certificate was selected:
    Issued to: test_cert
    Issued by: test_cert
    Expires:   Sun Jan 01 08:59:59 2040
    SHA1 hash: 1010E631A2FB3AFD7FBD1F819EC0FD5F2D3CF66C

Done Adding Additional Store
SignTool Error: Multiple signature support is not implemented for this filetype.
SignTool Error: An error occurred while attempting to sign: C:\...[생략]...\Setup1.msi

Number of files successfully Signed: 0
Number of warnings: 0
Number of errors: 1

이 오류의 원인은 "/as" 옵션 때문입니다. 이것은 다중 서명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써, 대상 파일(위의 예에서는 Setup1.msi)이 이미 서명되어 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가집니다. (업데이트: 2020-12-04 - 최신 signtool.exe에서는 이러한 제약이 없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을 참고하시고.

signtool.exe의 다중 서명 기능
; https://www.sysnet.pe.kr/2/0/10875

한 가지 더 팁을 드리면, msi에 포함된 파일들을 확인하기 위해 직접 설치해 보는 것도 좋겠지만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msi 파일로부터 지정된 TARGETDIR에 압축을 해제하므로 더 빠르게 확인 작업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msiexec /a "C:\...[생략]...\Setup1.msi" TARGETDIR=c:\temp /qb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7/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2정성태12/21/201125970오류 유형: 144. The database '...' cannot be opened because it is version 661.
1201정성태12/14/201141034디버깅 기술: 47. .NET Reflector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어셈블리 디버깅 [4]
1200정성태12/11/201126927디버깅 기술: 46. Windbg 확장 DLL 만들기 (2) - Debugger Extension API 사용파일 다운로드1
1199정성태12/11/201128265VC++: 55. JNI DLL 컴파일 시 x86과 x64의 Export된 함수의 이름이 왜 다를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198정성태12/9/201132056디버깅 기술: 45. Windbg 확장 DLL 만들기 (1) - 스레드를 강제 종료시키는 명령어 [2]파일 다운로드1
1197정성태12/9/201129829.NET Framework: 282. Shader 강좌와 함께 배워보는 XNA Framework (2) - RenderMonkey의 Shader/Model 파일 연동파일 다운로드2
1196정성태12/9/201133030.NET Framework: 281. Shader 강좌와 함께 배워보는 XNA Framework (1) - 기초 프로그램 구조 [3]파일 다운로드2
1195정성태12/8/201147692오류 유형: 143. DXSDK_Jun10.exe 설치 시 "Error Code: S1023" 오류 해결하는 방법 [4]
1194정성태12/8/201135468개발 환경 구성: 137. Visual C++ 런타임 구성요소에 대한 디버그 버전 설치하는 방법
1193정성태12/8/201122559오류 유형: 142. Windows Phone SDK 7.1 설치 시 Expression Blend 제거를 요구하는 경우
1192정성태12/8/201125582개발 환경 구성: 136. Windows 7 SP1의 IIS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을 로드하는 방법
1191정성태12/6/201126660.NET Framework: 280. MVC3에서 JavaScriptSerializer 재정의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90정성태12/6/201129847오류 유형: 141. Visual C++ 컴파일 오류 - error C2275: 'xxxxx' : illegal use of this type as an expression [1]
1189정성태12/6/201136892VS.NET IDE: 70. Visual Studio에서 프로젝트 로드가 안된다면?
1188정성태12/3/201126009개발 환경 구성: 135. 마이크로소프트 TFS 호스팅 서비스 - Preview [3]
1187정성태12/2/201130663개발 환경 구성: 134. Robocopy 오류 및 종료 코드
1186정성태12/1/201132499.NET Framework: 279. WPF - 그리기 성능 및 Blurring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85정성태11/29/201123290.NET Framework: 278. WPF - Content의 Changed 이벤트에 해당하는게 뭔가요?파일 다운로드1
1184정성태11/29/201126057.NET Framework: 277. F#과 WPF가 어울리지 못하는 근본적인 이유 [2]
1183정성태11/26/201121594오류 유형: 140. Visual Studio 2010 - Floating된 에디트 윈도우가 사라지지 않는 경우 [2]
1182정성태11/25/201157314.NET Framework: 276. 중복 없는 숫자를 랜덤으로 배열하는 방법 [5]파일 다운로드1
1181정성태11/24/201127780디버깅 기술: 44.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1180정성태11/23/201137593.NET Framework: 275. 레지스트리 등록 및 Interop DLL 없이 COM 개체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79정성태11/22/201128187.NET Framework: 274. ReaderWriterLockSlim은 언제 쓰는 걸까요? [4]파일 다운로드1
1178정성태11/19/201124666.NET Framework: 273. 설치된 .NET 버전에 민감한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다중으로 어셈블리를 만들어야 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177정성태11/18/201129924.NET Framework: 272. 소켓 연결 시간 제한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