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 - Memory 창에서 유효한 주소 영역임에도 "Unable to evaluate the expression." 오류 출력

Visual Studio에서 메모리 덤프 파일을 열어 disassembly 창을 보던 중,

00007FFC9973EAD2 57                   push        rdi  
00007FFC9973EAD3 41 56                push        r14  
...[생략]...
00007FFC9973EB33 48 8D 45 90          lea         rax,[rbp-70h]  
00007FFC9973EB37 48 89 47 10          mov         qword ptr [rdi+10h],rax  
00007FFC9973EB3B C6 47 0C 00          mov         byte ptr [rdi+0Ch],0  
00007FFC9973EB3F FF 15 0B 78 AB FF    call        qword ptr [7FFC991F6350h]  
00007FFC9973EB45 C6 47 0C 01          mov         byte ptr [rdi+0Ch],1  
...[생략]...
00007FFC9973EB74 C3                   ret  

7FFC991F6350h 주소에 담긴 값이 궁금해 메모리 창(Ctrl + Alt + M, 1)을 열어 입력했으나,

unable_to_eval_in_vs_mem_1.png

Unable to evaluate the expression.

저렇게 오류가 발생합니다. 확실한 것은 아닌데, 경험 상 2개 이상의 메모리 덤프 파일을 각각 비주얼 스튜디오로 열어 분석할 때 이런 현상이 자주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 실제로, 위와 같은 메시지가 나타나도 비주얼 스튜디오를 종료 후 다시 실행해 메모리 창을 보면 정상적으로 값이 나옵니다.

따라서, 덤프 파일에는 이상이 없는 것이므로 만약 디버깅 중인 비주얼 스튜디오를 종료하고 싶지 않다면 별도의 windbg 등의 디버거를 띄워 같은 메모리 덤프 파일을 열어 조사해 보면,

0:042> dq 0x7FFC991F6350
00007ffc`991f6350  00007ffd`0390b790 00000000`00000000
00007ffc`991f6360  00007ffc`9903da50 00000000`00000000
00007ffc`991f6370  00007ffc`9903da60 00000000`00000000
00007ffc`991f6380  00007ffc`9903da70 00000000`00000000
00007ffc`991f6390  00007ffc`9903da80 00000000`00000000
00007ffc`991f63a0  00007ffc`9903da90 00000000`00000000
00007ffc`991f63b0  00007ffc`9903daa0 00000000`00000000
00007ffc`991f63c0  00007ffc`9903dab0 00000000`00000000

정상적으로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메모리 창뿐만 아니라 "Disassembly" 창에서도 유효한 코드 주소인데도 다음과 같은 식으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The specified address cannot be displayed. error CS0518: Predefined type 'System.Void' is not defined or imported.

이럴 때도 그냥 windbg를 함께 열어 "u" 명령어를 이용해 코드를 확인하면 됩니다. (또는 비주얼 스튜디오를 재시작하든가.)

0:042> u 0x00007ffd0390b790
combase!CoTaskMemFree [d:\rs1\onecore\com\combase\class\memapi.cxx @ 467]:
00007ffd`0390b790 4883ec28        sub     rsp,28h
00007ffd`0390b794 488b05055b2100  mov     rax,qword ptr [combase!g_CMalloc (00007ffd`03b212a0)]
00007ffd`0390b79b 488d15eed40400  lea     rdx,[combase!CRetailMalloc_Free (00007ffd`03958c90)]
00007ffd`0390b7a2 488b4028        mov     rax,qword ptr [rax+28h]
00007ffd`0390b7a6 483bc2          cmp     rax,rdx
00007ffd`0390b7a9 7521            jne     combase!CoTaskMemFree+0x3c (00007ffd`0390b7cc)
00007ffd`0390b7ab 4885c9          test    rcx,rcx
00007ffd`0390b7ae 7417            je      combase!CoTaskMemFree+0x37 (00007ffd`0390b7c7)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8/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05정성태1/23/201421182개발 환경 구성: 212. Visual Studio Online과 "Monaco" 서비스 연동
1604정성태1/23/201421501오류 유형: 216. 윈도우 서버 백업 - Hyper-V 가상 머신이 백업되지 않는 경우 (2)
1603정성태1/23/201433600개발 환경 구성: 211. Hyper-V - Generation 2 유형의 VM 생성 시 ISO 부팅이 안된다면? [1]
1602정성태1/22/201423799디버깅 기술: 62. windbg - 사용자 모드 원격 디버깅
1601정성태1/22/201427420오류 유형: 215. windbg - Symbol file could not be found. Defaulted to export symbols
1600정성태1/19/201424068.NET Framework: 410.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을 Paralle.For와 함께? [1]파일 다운로드1
1599정성태1/18/201432187.NET Framework: 409.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598정성태1/17/201425509디버깅 기술: 61. NT 서비스 시작 단계에서 닷넷 메서드에 BP를 걸어 디버깅하는 방법
1597정성태1/17/201424107Phone: 9. Xamarin Android에 구글 AdMob 사용하는 방법 [1]
1596정성태1/17/201423044오류 유형: 214. Local SYSTEM 계정으로 실행된 IE에서 다운로드가 안 되는 문제
1595정성태1/16/201420039오류 유형: 213. attrib - Not resetting system file
1594정성태1/15/201422187오류 유형: 212. 마이크로소프트 라이브 계정 로그인 실패하는 경우
1593정성태1/14/201420812오류 유형: 211. ASP.NET 응용 프로그램을 IIS Express에서 디버깅할 때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오류 발생
1592정성태1/14/201421108오류 유형: 210. 2대의 AD가 있는 경우 도메인에 컴퓨터 추가를 실패한다면? [1]
1591정성태1/14/201423277오류 유형: 209. DebugDiag: Unable to find mscordacwks_x86_x86_[...version...].dll
1590정성태1/14/201423938오류 유형: 208. VSS Writer - NTDS 오류
1589정성태1/14/201432879Windows: 85. 컴퓨터를 껐는데도 어느 순간 자동으로 켜진다면? [2]
1588정성태1/14/201429660Windows: 84. 윈도우 7/8 - 메뉴 항목이 잔상으로 남는 문제
1587정성태1/14/201425577디버깅 기술: 60.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2)
1586정성태1/14/201427293디버깅 기술: 59.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1) [1]
1585정성태1/14/201430191VS.NET IDE: 84. Visual Studio를 이용한 파일 비교(diff)
1584정성태1/13/201432491Windows: 83. 윈도우 8 - UI가 있는 프로그램을 Local SYSTEM 권한의 세션 0 데스크톱에서 실행하는 방법
1583정성태1/13/201430486Windows: 82. 윈도우 8 - "Interactive Services Detection" 서비스 시작하는 방법 [1]
1582정성태1/12/201428958개발 환경 구성: 210. 원격 데스크톱(RDP) 접속 프로그램 - Royal TS [1]
1581정성태1/12/201430300.NET Framework: 408. 자바와 닷넷의 제네릭 차이점 - 중간 언어 및 공변/반공변 처리 [8]
1580정성태1/12/201440326.NET Framework: 407.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