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 - Memory 창에서 유효한 주소 영역임에도 "Unable to evaluate the expression." 오류 출력

Visual Studio에서 메모리 덤프 파일을 열어 disassembly 창을 보던 중,

00007FFC9973EAD2 57                   push        rdi  
00007FFC9973EAD3 41 56                push        r14  
...[생략]...
00007FFC9973EB33 48 8D 45 90          lea         rax,[rbp-70h]  
00007FFC9973EB37 48 89 47 10          mov         qword ptr [rdi+10h],rax  
00007FFC9973EB3B C6 47 0C 00          mov         byte ptr [rdi+0Ch],0  
00007FFC9973EB3F FF 15 0B 78 AB FF    call        qword ptr [7FFC991F6350h]  
00007FFC9973EB45 C6 47 0C 01          mov         byte ptr [rdi+0Ch],1  
...[생략]...
00007FFC9973EB74 C3                   ret  

7FFC991F6350h 주소에 담긴 값이 궁금해 메모리 창(Ctrl + Alt + M, 1)을 열어 입력했으나,

unable_to_eval_in_vs_mem_1.png

Unable to evaluate the expression.

저렇게 오류가 발생합니다. 확실한 것은 아닌데, 경험 상 2개 이상의 메모리 덤프 파일을 각각 비주얼 스튜디오로 열어 분석할 때 이런 현상이 자주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 실제로, 위와 같은 메시지가 나타나도 비주얼 스튜디오를 종료 후 다시 실행해 메모리 창을 보면 정상적으로 값이 나옵니다.

따라서, 덤프 파일에는 이상이 없는 것이므로 만약 디버깅 중인 비주얼 스튜디오를 종료하고 싶지 않다면 별도의 windbg 등의 디버거를 띄워 같은 메모리 덤프 파일을 열어 조사해 보면,

0:042> dq 0x7FFC991F6350
00007ffc`991f6350  00007ffd`0390b790 00000000`00000000
00007ffc`991f6360  00007ffc`9903da50 00000000`00000000
00007ffc`991f6370  00007ffc`9903da60 00000000`00000000
00007ffc`991f6380  00007ffc`9903da70 00000000`00000000
00007ffc`991f6390  00007ffc`9903da80 00000000`00000000
00007ffc`991f63a0  00007ffc`9903da90 00000000`00000000
00007ffc`991f63b0  00007ffc`9903daa0 00000000`00000000
00007ffc`991f63c0  00007ffc`9903dab0 00000000`00000000

정상적으로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메모리 창뿐만 아니라 "Disassembly" 창에서도 유효한 코드 주소인데도 다음과 같은 식으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The specified address cannot be displayed. error CS0518: Predefined type 'System.Void' is not defined or imported.

이럴 때도 그냥 windbg를 함께 열어 "u" 명령어를 이용해 코드를 확인하면 됩니다. (또는 비주얼 스튜디오를 재시작하든가.)

0:042> u 0x00007ffd0390b790
combase!CoTaskMemFree [d:\rs1\onecore\com\combase\class\memapi.cxx @ 467]:
00007ffd`0390b790 4883ec28        sub     rsp,28h
00007ffd`0390b794 488b05055b2100  mov     rax,qword ptr [combase!g_CMalloc (00007ffd`03b212a0)]
00007ffd`0390b79b 488d15eed40400  lea     rdx,[combase!CRetailMalloc_Free (00007ffd`03958c90)]
00007ffd`0390b7a2 488b4028        mov     rax,qword ptr [rax+28h]
00007ffd`0390b7a6 483bc2          cmp     rax,rdx
00007ffd`0390b7a9 7521            jne     combase!CoTaskMemFree+0x3c (00007ffd`0390b7cc)
00007ffd`0390b7ab 4885c9          test    rcx,rcx
00007ffd`0390b7ae 7417            je      combase!CoTaskMemFree+0x37 (00007ffd`0390b7c7)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8/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40정성태1/27/201713263.NET Framework: 638. RSAParameters와 RSA파일 다운로드1
11139정성태1/22/201715314.NET Framework: 637.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3) - x64 환경의 __fastcall과 Name mangling [1]파일 다운로드1
11138정성태1/20/201714095VS.NET IDE: 113. 프로젝트 생성 시부터 "Enable the Visual Studio hosting process" 옵션을 끄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3]
11137정성태1/20/201713358Windows: 135. AD에 참여한 컴퓨터로 RDP 연결 시 배경 화면을 못 바꾸는 정책
11136정성태1/20/201712764오류 유형: 375. Hyper-V 내에 구성한 Active Directory 환경의 시간 구성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1135정성태1/20/201713390Windows: 134. Windows Server 2016의 작업 표시줄에 있는 시계가 사라졌다면?
11134정성태1/20/201720629.NET Framework: 636. System.Threading.Timer를 이용해 타이머 작업을 할 때 유의할 점 [5]파일 다운로드1
11133정성태1/20/201716359.NET Framework: 635.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2) - x86 환경의 __fastcall [1]파일 다운로드1
11132정성태1/19/201726830.NET Framework: 634.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1) - x86 환경에서의 __cdecl, __stdcall에 대한 Name mangling [1]파일 다운로드1
11131정성태1/13/201716763.NET Framework: 633. C# - IL 코드 분석을 위한 팁 [2]
11130정성태1/11/201716621.NET Framework: 632. x86 실행 환경에서 SECURITY_ATTRIBUTES 구조체를 CreateEvent에 전달할 때 예외 발생파일 다운로드1
11129정성태1/11/201720934.NET Framework: 631. async/await에 대한 "There Is No Thread" 글의 부가 설명 [9]파일 다운로드1
11128정성태1/9/201716815.NET Framework: 630. C# - Interlocked.CompareExchange 사용 예제 [3]파일 다운로드1
11127정성태1/8/201715841기타: 63. (개발자를 위한) Visual Studio의 "with MSDN" 라이선스 설명
11126정성태1/7/201720051기타: 62. Edge 웹 브라우저의 즐겨찾기(Favorites)를 편집/백업/복원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125정성태1/7/201717030개발 환경 구성: 310. IIS - appcmd.exe를 이용해 특정 페이지에 클라이언트 측 인증서를 제출하도록 설정하는 방법
11124정성태1/4/201719361개발 환경 구성: 309. 3년짜리 유효 기간을 제공하는 StartSSL [2]
11123정성태1/3/201715910.NET Framework: 629. .NET Core의 dotnet.exe CLI 명령어 확장 방법 [1]
11122정성태1/3/201716174.NET Framework: 628. TransactionScope에 사용자 정의 트랜잭션을 참여시키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121정성태1/1/201714476개발 환경 구성: 308. "ASP.NET Core Web Application (.NET Core)"와 "ASP.NET Core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차이점
11120정성태12/25/201619246개발 환경 구성: 307.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11119정성태12/23/201642839개발 환경 구성: 306. Visual Studio Code에서 Python 개발 환경 구성 [2]
11118정성태12/22/201626526오류 유형: 374. Python 64비트 설치 시 0x80070659 오류 발생 [3]
11117정성태12/21/201615306웹: 35. nopCommerce 예제 사이트 구성 방법
11116정성태12/21/201617135디버깅 기술: 84. NopCommerce의 Autofac 부하(CPU, Memory) [2]
11115정성태12/21/201619855Windows: 133. 윈도우 서버 2016에서 플래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2]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