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crash가 발생하는 덤프 2개를 보는데, 충돌이 발생한 콜스택이 각각 다음과 같았습니다.

ntdll.dll!RtlReportCriticalFailure()    Unknown
ntdll.dll!RtlpHeapHandleError() Unknown
ntdll.dll!RtlpLogHeapFailure()  Unknown
ntdll.dll!RtlFreeHeap() Unknown
OraOps19.dll!00007ffcf061fbaf() Unknown
OraOps19.dll!00007ffcf0628a29() Unknown

ntdll.dll!RtlReportCriticalFailure()    Unknown
ntdll.dll!RtlpHeapHandleError() Unknown
ntdll.dll!RtlpLogHeapFailure()  Unknown
ntdll.dll!RtlFreeHeap() Unknown
[Managed to Native Transition]  
mscorlib.dll!System.Runtime.InteropServices.Marshal.FreeCoTaskMem(System.IntPtr ptr)    Unknown
Oracle.DataAccess.dll!Oracle.DataAccess.Client.OracleCommand.ExecuteReader(bool requery, bool fillRequest, System.Data.CommandBehavior behavior)    Unknown
Oracle.DataAccess.dll!Oracle.DataAccess.Client.OracleCommand.ExecuteReader()    Unknown
...[생략]...
System.Web.dll!System.Web.Hosting.PipelineRuntime.ProcessRequestNotificationHelper(System.IntPtr rootedObjectsPointer, System.IntPtr nativeRequestContext, System.IntPtr moduleData, int flags) Unknown
System.Web.dll!System.Web.Hosting.PipelineRuntime.ProcessRequestNotification(System.IntPtr rootedObjectsPointer, System.IntPtr nativeRequestContext, System.IntPtr moduleData, int flags)   Unknown
[Native to Managed Transition]  
webengine4.dll!W3_MGD_HANDLER::ProcessNotification(void)    Unknown
webengine4.dll!ProcessNotificationCallback(void *)  Unknown
kernel32.dll!BaseThreadInitThunk()  Unknown
ntdll.dll!RtlUserThreadStart()  Unknown

하나는 Oracle 측의 ODAC 구성 요소인 OraOps19.dll에서 발생한 것이고, 또 하나도 역시 ODAC의 .NET 구성 요소인 Oracle.DataAccess.dll에서 발생했지만 Marshal 타입의 CoTaskMemAlloc에 대응한 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Marshal.AllocCoTaskMem(Int32) Method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runtime.interopservices.marshal.alloccotaskmem?view=netframework-4.8

Marshal.FreeCoTaskMem(IntPtr) Method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runtime.interopservices.marshal.freecotaskmem?view=netframework-4.8

2개의 덤프를 보면 서로 연관이 없는 듯싶고 그냥 단순히 heap이 깨졌나 정도로만 생각했습니다. 그러다 첫 번째의 "OraOps19.dll!00007ffcf061fbaf()" 함수를 조금 더 자세하게 살펴봤는데요,

[OraOps19.dll!00007ffcf061fbaf()]

00007FFCF061FBA0 48 83 EC 28          sub         rsp,28h  
00007FFCF061FBA4 48 85 C9             test        rcx,rcx  
00007FFCF061FBA7 74 06                je          00007FFCF061FBAF  
00007FFCF061FBA9 FF 15 79 10 03 00    call        qword ptr [7FFCF0650C28h]  
00007FFCF061FBAF B8 01 00 00 00       mov         eax,1  
00007FFCF061FBB4 48 83 C4 28          add         rsp,28h  
00007FFCF061FBB8 C3                   ret  

7FFCF0650C28h 주솟값에는 qword 값으로 00007ffd0390b790 값이 담겨 있는 것을 메모리 창을 통해 확인하고,

0x00007FFCF0650C28  00007ffd0390b790
0x00007FFCF0650C30  0000000000000000

이어서 00007ffd0390b790 주솟값의 코드를 확인했는데,

--- d:\rs1\onecore\com\combase\class\memapi.cxx --------------------------------
00007FFD0390B790 48 83 EC 28          sub         rsp,28h  
00007FFD0390B794 48 8B 05 05 5B 21 00 mov         rax,qword ptr [g_CMalloc (07FFD03B212A0h)]  
00007FFD0390B79B 48 8D 15 EE D4 04 00 lea         rdx,[CRetailMalloc_Free (07FFD03958C90h)]  
00007FFD0390B7A2 48 8B 40 28          mov         rax,qword ptr [rax+28h]  
00007FFD0390B7A6 48 3B C2             cmp         rax,rdx  
00007FFD0390B7A9 75 21                jne         CoTaskMemFree+3Ch (07FFD0390B7CCh)  
00007FFD0390B7AB 48 85 C9             test        rcx,rcx  
00007FFD0390B7AE 74 17                je          CoTaskMemFree+37h (07FFD0390B7C7h)  
00007FFD0390B7B0 4C 8B C1             mov         r8,rcx  
00007FFD0390B7B3 33 D2                xor         edx,edx  
00007FFD0390B7B5 48 8B 0D 1C 5A 21 00 mov         rcx,qword ptr [g_hHeap (07FFD03B211D8h)]  
00007FFD0390B7BC 48 83 C4 28          add         rsp,28h  
00007FFD0390B7C0 48 FF 25 A1 C4 19 00 jmp         qword ptr [__imp_HeapFree (07FFD03AA7C68h)]  
00007FFD0390B7C7 48 83 C4 28          add         rsp,28h  
00007FFD0390B7CB C3                   ret  

코드 내에 CoTaskMemFree+xxh로 점프하는 구문이 있는 것으로 보아 왠지 CoTaskMemFree 함수 같아 보입니다. 확인을 위해 두 번째 덤프의 Marshal.FreeCoTaskMem 코드에서도 문제가 되는 호출을 확인해 봤습니다.

[mscorlib.dll!System.Runtime.InteropServices.Marshal.FreeCoTaskMem(System.IntPtr ptr)    Unknown]

00007FFC9973EAD2 57                   push        rdi  
00007FFC9973EAD3 41 56                push        r14  
00007FFC9973EAD5 41 55                push        r13  
00007FFC9973EAD7 41 54                push        r12  
00007FFC9973EAD9 57                   push        rdi  
00007FFC9973EADA 56                   push        rsi  
00007FFC9973EADB 53                   push        rbx  
00007FFC9973EADC 48 83 EC 68          sub         rsp,68h  
...[생략]...
00007FFC9973EB33 48 8D 45 90          lea         rax,[rbp-70h]  
00007FFC9973EB37 48 89 47 10          mov         qword ptr [rdi+10h],rax  
00007FFC9973EB3B C6 47 0C 00          mov         byte ptr [rdi+0Ch],0  
00007FFC9973EB3F FF 15 0B 78 AB FF    call        qword ptr [7FFC991F6350h]
00007FFC9973EB45 C6 47 0C 01          mov         byte ptr [rdi+0Ch],1  
...[생략]...
00007FFC9973EB68 5B                   pop         rbx  
00007FFC9973EB69 5E                   pop         rsi  
00007FFC9973EB6A 5F                   pop         rdi  
00007FFC9973EB6B 41 5C                pop         r12  
00007FFC9973EB6D 41 5D                pop         r13  
00007FFC9973EB6F 41 5E                pop         r14  
00007FFC9973EB71 41 5F                pop         r15  
00007FFC9973EB73 5D                   pop         rbp  
00007FFC9973EB74 C3                   ret  

역시 0x7FFC991F6350 주소에 담긴 qword 값을 확인했는데,

0x00007FFC991F6350  00007ffd0390b790
0x00007FFC991F6358  0000000000000000

첫 번째 덤프의 주솟값과 같습니다. 이번 경우에는 다행히 동일한 컴퓨터에서 발생한 덤프였기 때문에 ASLR의 영향이 적어 주솟값이 같았지만, 만약 다른 컴퓨터였다면 "u" 명령어 등을 통해 코드를 직접 확인했어야 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문제의 원인을 찾는 범위를 훨씬 줄일 수 있습니다. 단순히 RtlFreeHeap에서 발생하는 거였다면 일반적인 문제가 되지만, 동일하게 CoTaskMemFree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였으므로 코드에서 사용한 Marshal.AllocCoTaskMem / Marshal.FreeCoTaskMem 관련 부분만 집중적으로 살펴보면 될 정도로 범위가 축소되는 것입니다. (물론, 그래도 엉뚱한 곳에서의 메모리 침범으로 발생했을 수도 있는 문제이므로 CoTask... 관련 코드와는 무관할 확률도 적진 않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7/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61정성태10/25/201814023Graphics: 26. 임의 축을 기반으로 3D 벡터 회전파일 다운로드1
11760정성태10/24/201810517개발 환경 구성: 418. Azure - Runbook 내에서 또 다른 Runbook 스크립트를 실행
11759정성태10/24/201811199개발 환경 구성: 417. Azure - Runbook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메서드를 위한 부가 Module 추가
11758정성태10/23/201813273.NET Framework: 800. C# - Azure REST API 사용을 위한 인증 획득 [3]파일 다운로드1
11757정성태10/19/201810761개발 환경 구성: 416. Visual Studio 2017을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및 디버깅)
11756정성태10/19/201813031오류 유형: 500. Visual Studio Code의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시 인텔리센스가 안 된다면?
11755정성태10/19/201814704오류 유형: 499. Visual Studio Code extension for Arduino - #include errors detected. [1]
11754정성태10/19/201811556개발 환경 구성: 415. Visual Studio Code를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 새 프로젝트
11753정성태10/19/201818982개발 환경 구성: 414. Visual Studio Code를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11752정성태10/18/201811222오류 유형: 498. SQL 서버 - Database source is not a supported version of SQL Server
11751정성태10/18/201811358오류 유형: 497. Visual Studio 실행 시 그래픽이 투명해진다거나, 깨진다면?
11750정성태10/18/201810165오류 유형: 496. 비주얼 스튜디오 - One or more projects in the solution were not loaded correctly.
11749정성태10/18/201811572개발 환경 구성: 413.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작성한 프로그램을 빌드하는 가장 쉬운 방법
11748정성태10/18/201812495개발 환경 구성: 412. Arduino IDE를 Store App으로 설치한 경우 컴파일만 되고 배포가 안 되는 문제
11747정성태10/17/201812658.NET Framework: 799. C# - DLL에도 EXE처럼 Main 메서드를 넣어 실행할 수 있도록 만드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46정성태10/15/201811901개발 환경 구성: 411. Bitvise SSH Client의 인증서 모드에서 자동 로그인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45정성태10/15/201810450오류 유형: 495. TFS 파일/폴더 삭제 - The item [...] could not be found in your workspace, or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access it.
11744정성태10/15/201811064개발 환경 구성: 410. msbuild로 .pubxml 설정에 따른 배포 파일을 만드는 방법
11743정성태10/15/201811719웹: 37. Bootstrap의 dl/dt/dd 조합에서 문자열이 잘리지 않도록 CSS 설정
11742정성태10/15/201817353스크립트: 13. 윈도우 배치(Batch) 스크립트에서 날짜/시간 문자열을 구하는 방법
11741정성태10/15/201811739Phone: 13. Android - LinearLayout 간략 설명
11740정성태10/15/201813964사물인터넷: 51. Synology NAS(DS216+II)를 이용한 원격 컴퓨터의 전원 스위치 제어
11739정성태10/15/201815353Windows: 151. 윈도우 10의 전원 관리가 "균형 조정(Balanced)"으로 바뀌는 문제
11738정성태10/15/201814155오류 유형: 494. docker - 윈도우에서 실행 시 "unknown shorthand flag" 오류 [1]
11737정성태10/13/201810055오류 유형: 493. Azure Kudu - There are ... items in this directory, but maxViewItems is set to 299
11736정성태10/12/201811229오류 유형: 492. Visual Studio 로딩 시 오류 - The 'Scc Display Information'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