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59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5개 있습니다.)
오류 유형: 2. [COM+] CreateObject 와 HTTP 500 - Internal server error
; https://www.sysnet.pe.kr/2/0/242

오류 유형: 111. IIS - 500.19 오류 (0x8007000d)
; https://www.sysnet.pe.kr/2/0/976

오류 유형: 201. ASP.NET 웹 사이트를 IIS 7 이상의 환경에서 호스팅할 때 500 오류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563

오류 유형: 219.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Skydrive에 공유된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612

오류 유형: 232.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NTFS 암호화된 폴더에 웹 애플리케이션이 위치한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722

오류 유형: 340. HTTP Error 500.23 - Internal Server Error
; https://www.sysnet.pe.kr/2/0/10997

오류 유형: 360. IIS - 500.19 오류 (0x80070021)
; https://www.sysnet.pe.kr/2/0/11061

개발 환경 구성: 307.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120

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 https://www.sysnet.pe.kr/2/0/12064

오류 유형: 631. .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 오류 - HTTP Error 500.35 - ANCM Multiple In-Process Applications in same Process
; https://www.sysnet.pe.kr/2/0/12268

오류 유형: 662. ASP.NET Core와 500.19, 500.21 오류 (0x8007000d)
; https://www.sysnet.pe.kr/2/0/12356

개발 환경 구성: 635.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2)
; https://www.sysnet.pe.kr/2/0/12955

.NET Framework: 1164. HTTP Error 500.31 - ANCM Failed to Find Native Dependencies
; https://www.sysnet.pe.kr/2/0/12982

오류 유형: 884. HTTP 500.0 - 명령행에서 실행한 ASP.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88

오류 유형: 899. HTTP Error 500.32 - ANCM Failed to Load dll
; https://www.sysnet.pe.kr/2/0/13579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ANCM 관련해서,

ASP.NET Core (EXE) 프로세스가 IIS에서 호스팅되는 방법 - ASP.NET Core Module(AspNetCoreModule)
; https://www.sysnet.pe.kr/2/0/11436

.NET Core 2.2/3.0 웹 프로젝트를 IIS에서 호스팅(Inproc, out-of-proc)하는 방법 - AspNetCoreModuleV2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032

3개 정도의 오류 상황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우선 500.0의 경우 다음과 같이 오류가 발생하는데,

HTTP Error 500.0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Troubleshooting steps:
Check the system event log for error messages
Enable logging the application process' stdout messages
Attach a debugger to the application process and inspect
For more information visit: https://go.microsoft.com/fwlink/?LinkID=2028526

ANCM 모듈을 설치하지 않아서 그런 것이므로 다운로드해,

Current .NET Core Hosting Bundle installer (direct download)
; https://www.microsoft.com/net/permalink/dotnetcore-current-windows-runtime-bundle-installer

설치만 하면 이 문제는 사라집니다.




간혹, 500.0 오류가 발생하면서 이벤트 로그의 메시지가 좀 이상할 수 있습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IIS AspNetCore Module V2
Date:          2019-11-25 오후 6:43:02
Event ID:      1031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estweb.testad.com
Description:
Application 'D:\TestApp\' failed to start. Exception message:
Process path '.\TestApp.dll' doesn't have '.exe' extension.

이런 경우는, ANCM 모듈명을 dll로 지정했기 때문인데 재미있게도 hostingModel이 "InProcess"여도 processPath 항목을 exe 확장자의 파일로 지정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configuration>
  <location path="." inheritInChildApplications="false">
    <system.webServer>
      <handlers>
        <remove name="aspNetCore" />
        <add name="aspNetCore" path="*" verb="*" modules="AspNetCoreModuleV2" resourceType="Unspecified" />
      </handlers>
      <aspNetCore processPath=".\TestApp.dll" stdoutLogEnabled="false" stdoutLogFile=".\logs\stdout" hostingModel="InProcess" />
    </system.webServer>
  </location>
</configuration>

따라서, 저 DLL 파일명을 .exe로 바꾸면 문제는 해결됩니다.




또는 500.33 오류 코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HTTP Error 500.33 - ANCM Request Handler Load Failure
Common solutions to this issue:
Make sure Microsoft.AspNetCore.App is referenced by your application.
Specific error detected by ANCM:
Could not find the assembly 'aspnetcorev2_inprocess.dll' referenced for the in-process application. Please confirm the Microsoft.AspNetCore.Server.IIS or Microsoft.AspNetCore.App is referenced in your application.
Troubleshooting steps:
Check the system event log for error messages
Enable logging the application process' stdout messages
Attach a debugger to the application process and inspect
For more information visit: https://go.microsoft.com/fwlink/?LinkID=2028526

이런 경우라면, 아마도 ASP.NET Core 2.1 이하의 웹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 AspNetCoreModuleV2를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configuration>
  <location path="." inheritInChildApplications="false">
    <system.webServer>
      <handlers>
        <remove name="aspNetCore" />
        <add name="aspNetCore" path="*" verb="*" modules="AspNetCoreModuleV2" resourceType="Unspecified" />
      </handlers>
      <aspNetCore processPath=".\TestApp.exe" stdoutLogEnabled="false" stdoutLogFile=".\logs\stdout" hostingModel="InProcess" />
    </system.webServer>
  </location>
</configuration>

AspNetCoreModuleV2 모듈은 .NET Core 2.2부터 지원하기 때문에 해당 프로젝트를 ASP.NET Core 2.2로 마이그레이션해야 합니다. 또는, AspNetCoreModuleV2를 사용하지 말고 "AspNetCoreModule"로 지정해야 하며 당연히 hostingModel도 InProcess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5/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54정성태5/31/201326308Java: 15. Java 7 Control Panel 실행시키는 방법
1453정성태5/22/201325347기타: 32. Microsoft FTP 사이트에 접속하는 방법
1452정성태5/21/201333060Windows: 73. TabProcGrowth 값 삭제 후 IE를 실행시키면 다시 복원되는 경우 [3]
1451정성태5/17/201331977Windows: 72. 윈도우 서버 2012 기초 사용법
1450정성태5/16/201322735오류 유형: 176. SQL10007N Message "0" could not be retrieved. Reason code: "3"
1449정성태5/15/201329842오류 유형: 175. SpeechRecognitionEngine 사용 시 오류 유형 2가지
1448정성태5/14/201324837VC++: 68. #pragma warning(disable: ...)로 오류 제어가 안된다면?
1447정성태5/3/201326519개발 환경 구성: 191. Debugging Tools for Windows 독립 설치 버전 [1]
1446정성태4/30/201327327.NET Framework: 368. Encoding 타입의 대체(fallback) 메카니즘 [1]
1445정성태4/26/201325545디버깅 기술: 54. NT 서비스의 Main 메서드 안에서 Process.GetProcessesByName 호출 시 멈춤 현상 [1]
1444정성태4/26/201329561기타: 31. Internet Explorer: 자바스크립트로 숨겨진 파일 다운로드 경로를 알아내는 방법 [1]
1443정성태4/24/201325245개발 환경 구성: 190. Azure PaaS 웹 응용 프로그램 배포 후 SMTP 서버 구성 [2]
1442정성태4/21/201328798기타: 30.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의 CPU 점유 현상으로 글자 입력이 느려졌다면? [1]
1441정성태4/21/201335411.NET Framework: 367. LargeAddressAware 옵션이 적용된 닷넷 32비트 프로세스의 가용 메모리 [14]
1440정성태4/19/201324151오류 유형: 174. dumpbin.exe 실행시 mspdb110.dll 로드 오류
1439정성태4/18/201327997VS.NET IDE: 76. Visual Studio 2012와 Itanium 빌드 옵션 [2]
1438정성태4/17/201327420.NET Framework: 366. 다른 프로세스에 환경 변수 설정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1437정성태4/17/201327646VC++: 67. CRT(C Runtime DLL: msvcr...dll)에 대한 의존성 제거
1436정성태4/17/201333017.NET Framework: 365. Local SYSTEM 권한으로 코드를 실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35정성태4/15/201341893Windows: 71. ad-hoc 보다 더 편리한 "가상 Wifi" 를 이용한 인터넷 공유 [2]
1434정성태4/9/201323187오류 유형: 173. TFS 서버의 이벤트 로그 오류 - WebHost failed to process a request. Parameter name: certificate
1433정성태4/9/201323507개발 환경 구성: 189. TFS에 설치된 SharePoint 의 PowerShell 콘솔 띄우는 방법
1432정성태4/5/201324504오류 유형: 172. System.Web.PipelineModuleStepContainer.GetEventCount 에서 NullReferenceException 이 발생한다면?
1431정성태4/5/201325135기타: 29. 부팅 가능한 (외장) HDD를 기존 부팅 메뉴에 추가하는 방법
1430정성태4/4/201327006제니퍼 .NET: 23. 모바일용 웹 사이트에서 발생하는 응답 시간 지연 현상 [5]파일 다운로드1
1429정성태3/29/201323367개발 환경 구성: 188. SCOM 2012 - ASP.NET 모니터링 방법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