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61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5개 있습니다.)
오류 유형: 2. [COM+] CreateObject 와 HTTP 500 - Internal server error
; https://www.sysnet.pe.kr/2/0/242

오류 유형: 111. IIS - 500.19 오류 (0x8007000d)
; https://www.sysnet.pe.kr/2/0/976

오류 유형: 201. ASP.NET 웹 사이트를 IIS 7 이상의 환경에서 호스팅할 때 500 오류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563

오류 유형: 219.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Skydrive에 공유된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612

오류 유형: 232.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NTFS 암호화된 폴더에 웹 애플리케이션이 위치한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722

오류 유형: 340. HTTP Error 500.23 - Internal Server Error
; https://www.sysnet.pe.kr/2/0/10997

오류 유형: 360. IIS - 500.19 오류 (0x80070021)
; https://www.sysnet.pe.kr/2/0/11061

개발 환경 구성: 307.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120

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 https://www.sysnet.pe.kr/2/0/12064

오류 유형: 631. .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 오류 - HTTP Error 500.35 - ANCM Multiple In-Process Applications in same Process
; https://www.sysnet.pe.kr/2/0/12268

오류 유형: 662. ASP.NET Core와 500.19, 500.21 오류 (0x8007000d)
; https://www.sysnet.pe.kr/2/0/12356

개발 환경 구성: 635.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2)
; https://www.sysnet.pe.kr/2/0/12955

.NET Framework: 1164. HTTP Error 500.31 - ANCM Failed to Find Native Dependencies
; https://www.sysnet.pe.kr/2/0/12982

오류 유형: 884. HTTP 500.0 - 명령행에서 실행한 ASP.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88

오류 유형: 899. HTTP Error 500.32 - ANCM Failed to Load dll
; https://www.sysnet.pe.kr/2/0/13579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ANCM 관련해서,

ASP.NET Core (EXE) 프로세스가 IIS에서 호스팅되는 방법 - ASP.NET Core Module(AspNetCoreModule)
; https://www.sysnet.pe.kr/2/0/11436

.NET Core 2.2/3.0 웹 프로젝트를 IIS에서 호스팅(Inproc, out-of-proc)하는 방법 - AspNetCoreModuleV2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032

3개 정도의 오류 상황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우선 500.0의 경우 다음과 같이 오류가 발생하는데,

HTTP Error 500.0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Troubleshooting steps:
Check the system event log for error messages
Enable logging the application process' stdout messages
Attach a debugger to the application process and inspect
For more information visit: https://go.microsoft.com/fwlink/?LinkID=2028526

ANCM 모듈을 설치하지 않아서 그런 것이므로 다운로드해,

Current .NET Core Hosting Bundle installer (direct download)
; https://www.microsoft.com/net/permalink/dotnetcore-current-windows-runtime-bundle-installer

설치만 하면 이 문제는 사라집니다.




간혹, 500.0 오류가 발생하면서 이벤트 로그의 메시지가 좀 이상할 수 있습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IIS AspNetCore Module V2
Date:          2019-11-25 오후 6:43:02
Event ID:      1031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estweb.testad.com
Description:
Application 'D:\TestApp\' failed to start. Exception message:
Process path '.\TestApp.dll' doesn't have '.exe' extension.

이런 경우는, ANCM 모듈명을 dll로 지정했기 때문인데 재미있게도 hostingModel이 "InProcess"여도 processPath 항목을 exe 확장자의 파일로 지정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configuration>
  <location path="." inheritInChildApplications="false">
    <system.webServer>
      <handlers>
        <remove name="aspNetCore" />
        <add name="aspNetCore" path="*" verb="*" modules="AspNetCoreModuleV2" resourceType="Unspecified" />
      </handlers>
      <aspNetCore processPath=".\TestApp.dll" stdoutLogEnabled="false" stdoutLogFile=".\logs\stdout" hostingModel="InProcess" />
    </system.webServer>
  </location>
</configuration>

따라서, 저 DLL 파일명을 .exe로 바꾸면 문제는 해결됩니다.




또는 500.33 오류 코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HTTP Error 500.33 - ANCM Request Handler Load Failure
Common solutions to this issue:
Make sure Microsoft.AspNetCore.App is referenced by your application.
Specific error detected by ANCM:
Could not find the assembly 'aspnetcorev2_inprocess.dll' referenced for the in-process application. Please confirm the Microsoft.AspNetCore.Server.IIS or Microsoft.AspNetCore.App is referenced in your application.
Troubleshooting steps:
Check the system event log for error messages
Enable logging the application process' stdout messages
Attach a debugger to the application process and inspect
For more information visit: https://go.microsoft.com/fwlink/?LinkID=2028526

이런 경우라면, 아마도 ASP.NET Core 2.1 이하의 웹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 AspNetCoreModuleV2를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configuration>
  <location path="." inheritInChildApplications="false">
    <system.webServer>
      <handlers>
        <remove name="aspNetCore" />
        <add name="aspNetCore" path="*" verb="*" modules="AspNetCoreModuleV2" resourceType="Unspecified" />
      </handlers>
      <aspNetCore processPath=".\TestApp.exe" stdoutLogEnabled="false" stdoutLogFile=".\logs\stdout" hostingModel="InProcess" />
    </system.webServer>
  </location>
</configuration>

AspNetCoreModuleV2 모듈은 .NET Core 2.2부터 지원하기 때문에 해당 프로젝트를 ASP.NET Core 2.2로 마이그레이션해야 합니다. 또는, AspNetCoreModuleV2를 사용하지 말고 "AspNetCoreModule"로 지정해야 하며 당연히 hostingModel도 InProcess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5/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483정성태3/17/200740824오류 유형: 30. x64 환경: .NET + COM 프로젝트 실행 시 오류 - 80040154 [2]
482정성태3/17/200730312Team Foundation Server: 17. 팀 프로젝트 접속 및 사용
481정성태3/17/200724233Team Foundation Server: 16. 팀 프로젝트 읽기 전용 사용자 등록
480정성태3/14/200722329.NET Framework: 86. GC(Garbage Collector)의 변화
479정성태3/14/200726358개발 환경 구성: 25. D820 - ReadyBoost 구동
478정성태3/14/200725688개발 환경 구성: 24. D820 고주파음 문제
477정성태3/14/200735009개발 환경 구성: 23. 비스타 x64 버전에서 서명되지 않은 드라이버 사용 [4]
476정성태3/9/200730377개발 환경 구성: 22. D820 노트북 - 설치 및 BitLocker 구성 [1]
475정성태3/6/200724768.NET Framework: 85. 공용 프로퍼티 자동 생성
474정성태3/5/200722973.NET Framework: 84. Lambda 표현식 응용 사례 [1]
473정성태3/4/200730107디버깅 기술: 14. TFS 오류 추적(TF53010, TF14105)
472정성태3/3/200729200디버깅 기술: 13. 예외 발생 시 Minidump 생성 - WinDBG [3]파일 다운로드1
471정성태3/1/200718388디버깅 기술: 12. Managed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469정성태2/28/200729916디버깅 기술: 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3]파일 다운로드1
470정성태3/1/200721292    답변글 디버깅 기술: 1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 내용 보강
468정성태2/25/200731157COM 개체 관련: 20. 탭 브라우저의 윈도우 핸들 구하기 [3]
466정성태2/22/200722855Windows: 23. 롱혼 서버 코어 버전 [2]
465정성태2/21/200721825오류 유형: 29. TFS 관련 스케줄 작업 실패
464정성태2/25/200723020오류 유형: 28. TF10217, TF53010, TF14105 오류
463정성태2/21/200716043Team Foundation Server: 15. 포탈 사이트의 보고서 주소를 도메인 명으로 적용
462정성태2/13/200743355.NET Framework: 83. 라이브러리에 다국어 리소스 추가 방법 [4]파일 다운로드1
461정성태2/13/200721069오류 유형: 27. DLinq 예제 오류 : error: 26 - Error Locating Server/Instance Specified
460정성태2/13/200721265.NET Framework: 82. Orcas 1월 CTP에서 Linq 소스 컴파일 방법
459정성태2/17/200725271오류 유형: 26.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 두 번째 이야기 [3]
458정성태2/12/200721728.NET Framework: 81. LINQ 개발 환경 설정 [1]
457정성태2/8/200726207.NET Framework: 80. LINQ 관련 용어 정리 및 리소스 소개 [2]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