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resize2fs: Bad magic number in super-block while trying to open /dev/.../root

아래의 글에서 설명한 방법을,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42

CentOS 7에서 적용하는데 resize2fs 단계에서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가 발생합니다.

# vgextend centos /dev/sda5
Volume group "centos" successfully extended

# lvresize -l +100%FREE /dev/centos/root
Size of logical volume centos/root changed from <30.50 GiB (7807 extents) to 51.49 GiB (13182 extents).
Logical volume centos/root successfully resized.

# resize2fs /dev/centos/root
resize2fs 1.42.9 (28-Dec-2013)
resize2fs: Bad magic number in super-block while trying to open /dev/centos/root
Couldn't find valid filesystem superblock.

실제로 df -h를 통해 확인해 봐도 용량이 늘지 않았는데요, 이에 대해 검색해 보면,

OS/CentOS 파티션 SIZE 늘리기
; https://pooh0928.tistory.com/63

centos7의 경우 파일 시스템이 (ext4가 아니라) xfs라서 그렇다고 합니다.

# df -Th
Filesystem              Type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tmpfs                devtmpfs  2.0G     0  2.0G   0% /dev
tmpfs                   tmpfs     2.0G     0  2.0G   0% /dev/shm
tmpfs                   tmpfs     2.0G  8.6M  2.0G   1% /run
tmpfs                   tmpfs     2.0G     0  2.0G   0% /sys/fs/cgroup
/dev/mapper/centos-root xfs        52G  5.9G   46G  12% /
/dev/sda1               xfs      1014M  207M  808M  21% /boot
tmpfs                   tmpfs     393M     0  393M   0% /run/user/1000

따라서 xfs_growfs를 이용해 늘리면 된다는!

# xfs_growfs /dev/centos/root
meta-data=/dev/mapper/centos-root isize=512    agcount=4, agsize=1998592 blks
         =                       sectsz=4096  attr=2, projid32bit=1
         =                       crc=1        finobt=0 spinodes=0
data     =                       bsize=4096   blocks=7994368, imaxpct=25
         =                       sunit=0      swidth=0 blks
naming   =version 2              bsize=4096   ascii-ci=0 ftype=1
log      =internal               bsize=4096   blocks=3903, version=2
         =                       sectsz=4096  sunit=1 blks, lazy-count=1
realtime =none                   extsz=4096   blocks=0, rtextents=0
data blocks changed from 7994368 to 13498368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10/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498정성태5/31/200724247Windows: 26. 스마트 카드 암호 바꾸는 방법.
497정성태5/31/200728303오류 유형: 36. SQL 2005 - DB 속성창 띄울 때 오류
496정성태5/29/200726155VS.NET IDE: 45. VS.NET 2005/Orcas 솔루션 파일과 UAC
495정성태5/28/200728689VS.NET IDE: 44. Orcas와 VS.NET 2005의 혼합 개발 [1]
494정성태5/26/200732537오류 유형: 35. 비스타 탐색기 - 특정 파일을 오른쪽 마우스 클릭했을 때, 비정상 종료되는 문제
493정성태5/26/200732330오류 유형: 34. Windows Server 2008 : CA 인증서 발급 실패
492정성태5/23/200731446.NET Framework: 89. ManagedThreadId - 두 번째 이야기 [5]파일 다운로드1
491정성태5/21/200731628.NET Framework: 88. ManagedThreadId ? [4]
490정성태5/19/200740319오류 유형: 33. error MSB6003: SxS DLL 로딩 오류 [2]
489정성태5/14/200728085.NET Framework: 87. .NET 2.0에서 C# 3.0 기능 사용하기
488정성태5/14/200726334Windows: 25. Multiple Input Queues
487정성태4/24/200732308VC++: 32. VC++에서 bool이 가지는 의미 [3]
486정성태3/22/200730953Windows: 24. DreamScene과 DWM(Desktop Window Manager)의 관계 [1]
485정성태3/17/200726134오류 유형: 32. VS.NET 2005 - x64 환경에서의 mixed 디버깅 환경 구성
484정성태3/17/200725134오류 유형: 31. SQL Compact Edition 설치 후 오류
483정성태3/17/200746665오류 유형: 30. x64 환경: .NET + COM 프로젝트 실행 시 오류 - 80040154 [2]
482정성태3/17/200736340Team Foundation Server: 17. 팀 프로젝트 접속 및 사용
481정성태3/17/200730222Team Foundation Server: 16. 팀 프로젝트 읽기 전용 사용자 등록
480정성태3/14/200728719.NET Framework: 86. GC(Garbage Collector)의 변화
479정성태3/14/200732315개발 환경 구성: 25. D820 - ReadyBoost 구동
478정성태3/14/200731930개발 환경 구성: 24. D820 고주파음 문제
477정성태3/14/200741565개발 환경 구성: 23. 비스타 x64 버전에서 서명되지 않은 드라이버 사용 [4]
476정성태3/9/200736709개발 환경 구성: 22. D820 노트북 - 설치 및 BitLocker 구성 [1]
475정성태3/6/200731002.NET Framework: 85. 공용 프로퍼티 자동 생성
474정성태3/5/200729094.NET Framework: 84. Lambda 표현식 응용 사례 [1]
473정성태3/4/200736445디버깅 기술: 14. TFS 오류 추적(TF53010, TF14105)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