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480. C# - 배치 파일 실행하고 출력 결과를 얻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810

.NET Framework: 602. Process.Start의 cmd.exe에서 stdin만 redirect 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29

.NET Framework: 817. Process.Start로 실행한 콘솔 프로그램의 출력 결과를 얻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870

Linux: 24. Linux/C# - 실행 파일이 아닌 스크립트 형식의 명령어를 Process.Start로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73

닷넷: 2292. C# - 자식 프로세스의 출력이 4,096보다 많은 경우 Process.WaitForExit 호출 시 hang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3707

닷넷: 2314. C# - ProcessStartInfo 타입의 Arguments와 ArgumentList
; https://www.sysnet.pe.kr/2/0/13876




Linux/C# - 실행 파일이 아닌 스크립트 형식의 명령어를 Process.Start로 실행하는 방법

예를 들어, 리눅스에 .NET Core가 설치되면 하위 폴더에 "createdump"라는 프로그램이 포함됩니다. 그래서 이 프로그램을 (예를 들어, pid == 19234 프로세스에 대해 풀 메모리 덤프를 뜨기 위해) 실행시키려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할 수 있습니다.

$ /usr/share/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2.2.7/createdump -u 19234

그런데, 보는 바와 같이 버전도 포함되고 depth도 있어서 일반적인 상황에서 쓰기에는 좀 그렇죠. ^^ 그래서 find 명령을 사용해 이런 부분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 $(find /usr/share/dotnet -name createdump) -u 19234

당연히, 이것을 Process.Start로 실행할 수는 없습니다.

string cmd = "$(find /usr/share/dotnet -name createdump) -u 19234";
Process.Start(cmd);

/* 예외 발생
System.ComponentModel.Win32Exception (2): No such file or directory
   at System.Diagnostics.Process.StartCore(ProcessStartInfo startInfo)
   at System.Diagnostics.Process.Start()
   at System.Diagnostics.Process.Start(ProcessStartInfo startInfo)
   at temp.Program.Main(String[] args) in /home/tusr/temp/Program.cs:line 19
*/

이에 대한 해법은, bash 등의 shell을 경유해 실행시키는 것입니다. 단지, "명령"을 전달하는 경우 "-c" 옵션을 주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식으로 코딩하면 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IO;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cmd = "$(find /usr/share/dotnet -name createdump) " + Process.GetCurrentProcess().Id;
        ProcessStartInfo psi = new ProcessStartInfo();
        psi.UseShellExecute = false;
        psi.FileName = "bash";
        psi.Arguments = "-c \"" + cmd + "\"";

        try
        {
            Process child = Process.Start(psi);
            child.WaitForExit();
        }
        catch (Exception e)
        {
            Console.WriteLine(e.ToString());
        }
    }
}

참고로, 아래의 소스 코드가 더 나을 것입니다. ^^

Running shell (bash) commands in .NET Core C#
; https://loune.net/2017/06/running-shell-bash-commands-in-net-cor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10/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012정성태9/9/2025683닷넷: 2362. C# - Windows.Media.Ocr: 윈도우 운영체제에 포함된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파일 다운로드1
14011정성태9/7/20251199닷넷: 2361. C# - Linux 환경의 readlink 호출
14010정성태9/1/20251396오류 유형: 983. apt update 시 "The repository 'http://deb.debian.org/debian buster Release' does not have a Release file." 오류
14009정성태8/28/20251699닷넷: 2360. C# 14 - (11) Expression Tree에 선택적 인수와 명명된 인수 허용파일 다운로드1
14008정성태8/26/20252015닷넷: 2359. C# 14 - (10) 복합 대입 연산자의 오버로드 지원파일 다운로드1
14007정성태8/25/20252399닷넷: 2358. C# - 현재 빌드에 적용 중인 컴파일러 버전 확인 방법 (#error version)
14006정성태8/23/20252636Linux: 121. Linux - snap 패키지 관리자로 설치한 소프트웨어의 디렉터리 접근 제한
14005정성태8/21/20252132오류 유형: 982. sudo: unable to load /usr/libexec/sudo/sudoers.so: libssl.so.3: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14004정성태8/21/20252362오류 유형: 981. dotnet 실행 시 No usable version of the libssl was found
14003정성태8/21/20252607닷넷: 2357. C# 14 - (9) 새로운 지시자 추가 (Ignored directives)
14002정성태8/20/20252647오류 유형: 980. C# - appsettings.json 파일의 설정값이 적용 안 된다면?
14001정성태8/19/20255517닷넷: 2356. .NET SDK 10 - 단일 소스 코드 파일을 빌드/실행하는 기능을 "dotnet" 명령어에 추가 [1]
14000정성태8/18/20252761오류 유형: 979. ERROR: failed to solve: failed to read dockerfile: open Docker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13999정성태8/15/20252737닷넷: 2355. C# 14 - (8) null 조건부 연산자 개선 - 대입문에도 사용 가능파일 다운로드1
13998정성태8/14/20252670닷넷: 2354. C# 14 - (7) 확장 메서드에 정적 메서드와 속성 지원을 위한 전용 구문 추가파일 다운로드1
13997정성태8/14/20252766Linux: 120. docker 컨테이너로 매핑된 볼륨에 컨테이너 측의 사용자 ID를 유지하면서 복사하는 방법
13996정성태8/13/20252277오류 유형: 978. Unable to find the requested .Net Framework Data Provider.
13995정성태8/13/20252410개발 환경 구성: 754. Visual C++ - 리눅스 빌드를 위한 Ubuntu 18 docker 컨테이너 설정
13994정성태8/12/20252189오류 유형: 977. SQL Server - User, group, or role '...' already exists in the current database. (Microsoft SQL Server, Error: 15023)
13993정성태8/11/20252972오류 유형: 976. Microsoft.ML.OnnxRuntimeGenAI 패키지 사용 시 "cublasLt64_12.dll" which is missing. (Error 126: "The specified module could not be found.") 오류
13992정성태8/11/20252955닷넷: 2353. C# - Foundry Local을 이용한 gpt-oss-20b 모델 사용파일 다운로드1
13991정성태8/9/20252691오류 유형: 975. winget - Foundry Local 패키지 업데이트가 안 되는 문제
13990정성태8/8/20252212Windows: 283. Time zone 설정이 없는 Windows Server 2025
13989정성태8/8/20252985닷넷: 2352. C# - Windows S-mode 환경인지 체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988정성태8/8/20253058오류 유형: 974. 비주얼 스튜디오 업데이트 시 잠김 파일 경고 - Visual Studio Standard Collector Service 150 (VSStandardCollectorService15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