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원격 데스크톱(rdp) 환경에서 다중 또는 고용량 파일 복사 시 "Unspecified error" 오류 발생 RDP 연결 시 파일 복사를 수행하면 비교적 저용량의 파일/디렉터리 복사 시에는 무난하게 작업을 완료하지만, 일정한 용량에 다다르게 되면 복사 도중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가 발생합니다. Error Copying File or Folder Unspecified error [그림 출처: https://www.geekdecoder.com/unspecified-error-copy-paste-files-windows-server-rdp/] "Unspecified Error Copy and Paste Files in Windows Server with RDP" 글을 보면 현재 실행 중인 rdpclip.exe를 강제 종료 후 재실행하면 된다고 하는데 실제로 해보면 마찬가지의 오류가 발생합니다. 다행히 마이크로소프트의 기술 자료를 보면, Copying files larger than 2 GB over a Remote Desktop Services or Terminal Services session by using Clipboard Redirection (copy and paste) fails silently ; https://learn.microsoft.com/en-US/troubleshoot/windows-server/remote/copying-2-gb-file-by-clipboard-redirection-fails 우회 방법이 나옵니다. 글에서는 xcopy를 소개하고 있지만 robocopy를 써도 상관없는데 rdp 원격 경로를 "tsclient"로 지정하는 것이 관건입니다. [로컬에서 원격으로 복사] robocopy c:\temp \\tsclient\c\temp /S [원격에서 로컬로 복사] robocopy \\tsclient\c\temp c:\temp /S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NET Framework: 870.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이전 글] Linux: 26.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메모리 덤프 방법 [최초 등록일: 12/13/2019] [최종 수정일: 3/9/2024]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973정성태5/20/201628672.NET Framework: 587. C# Plotting 라이브러리 OxyPlot [3]110972정성태5/19/201627562Math: 16. C# - 갈루아 필드 GF(2) 연산 [3]110971정성태5/19/201620448오류 유형: 334. Visual Studio - 빌드 시 경고 warning MSB3884: Could not find rule set file "...". [2]10970정성태5/19/201624854오류 유형: 333. OxyPlot 라이브러리의 컨트롤을 Toolbox에 등록 시 오류 [2]10969정성태5/18/201624158.NET Framework: 586. C# - 파일 확장자에 연결된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방법 (3) - "Open with" 목록에 등록110968정성태5/18/201619134오류 유형: 332. Visual Studio - 단위 테스트 생성 시 "Design time expression evaluation" 오류 메시지10967정성태5/12/201624295.NET Framework: 585. C# - 파일 확장자에 연결된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방법 (2) - 웹 브라우저가 다운로드 후 자동 실행10966정성태5/12/201631931.NET Framework: 584. C# - 파일 확장자에 연결된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방법 (1) - 기본 [1]110965정성태5/12/201623957디버깅 기술: 81. try/catch로 조용히 사라진 예외를 파악하고 싶다면?10964정성태5/12/201622526오류 유형: 331. ASP.NET에서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10963정성태5/11/201624760VS.NET IDE: 107. Visual Studio 2015의 "DTAR_..." 특수 폴더가 생성되는 문제210962정성태5/11/201624931오류 유형: 330. Visual Studio 단위 테스트 시 DisconnectedContext 예외 발생10961정성태5/11/201624736.NET Framework: 583. 문제 재현 - Managed Debugging Assistant 'DisconnectedContext' has detected a problem in '...'110960정성태5/10/201622113오류 유형: 329. ATL 메서드 추가 마법사 창에서 8ce0000b 오류 발생10959정성태5/9/201624788.NET Framework: 582. CLR Profiler - 별도 정의한 .NET 코드를 호출하도록 IL 코드 변경110958정성태5/6/201651785개발 환경 구성: 284. "Let's Encrypt"에서 제공하는 무료 SSL 인증서를 IIS에 적용하는 방법 (1) [3]10957정성태5/3/201627071오류 유형: 328. 윈도우 백업 시 오류 - 0x80780166 두 번째 이야기 [1]10956정성태5/3/201622554Windows: 117. BitLocker - This device can't use a Trusted Platform Module.10955정성태5/3/201629235.NET Framework: 581. C# - 순열(Permutation) 예제 코드210954정성태5/3/201630173.NET Framework: 580. C# - 조합(Combination) 예제 코드 [2]110953정성태5/2/201619774.NET Framework: 579. Assembly.LoadFrom으로 로드된 어셈블리의 JIT 컴파일 코드 공유?110952정성태5/2/201621870.NET Framework: 578. 도메인 중립적인 어셈블리가 비-도메인 중립적인 어셈블리를 참조하는 경우110951정성태5/2/201619784.NET Framework: 577. CLR Profiler로 살펴보는 SharedDomain의 모듈 로드 동작110950정성태5/2/201626248.NET Framework: 576. 기본적인 CLR Profiler 소스 코드 설명 [2]210949정성태4/28/201619809.NET Framework: 575. SharedDomain과 JIT 컴파일110948정성태4/28/201623716.NET Framework: 574. .NET - 눈으로 확인하는 SharedDomain의 동작 방식 [3]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