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원격 데스크톱(rdp) 환경에서 다중 또는 고용량 파일 복사 시 "Unspecified error" 오류 발생 RDP 연결 시 파일 복사를 수행하면 비교적 저용량의 파일/디렉터리 복사 시에는 무난하게 작업을 완료하지만, 일정한 용량에 다다르게 되면 복사 도중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가 발생합니다. Error Copying File or Folder Unspecified error [그림 출처: https://www.geekdecoder.com/unspecified-error-copy-paste-files-windows-server-rdp/] "Unspecified Error Copy and Paste Files in Windows Server with RDP" 글을 보면 현재 실행 중인 rdpclip.exe를 강제 종료 후 재실행하면 된다고 하는데 실제로 해보면 마찬가지의 오류가 발생합니다. 다행히 마이크로소프트의 기술 자료를 보면, Copying files larger than 2 GB over a Remote Desktop Services or Terminal Services session by using Clipboard Redirection (copy and paste) fails silently ; https://learn.microsoft.com/en-US/troubleshoot/windows-server/remote/copying-2-gb-file-by-clipboard-redirection-fails 우회 방법이 나옵니다. 글에서는 xcopy를 소개하고 있지만 robocopy를 써도 상관없는데 rdp 원격 경로를 "tsclient"로 지정하는 것이 관건입니다. [로컬에서 원격으로 복사] robocopy c:\temp \\tsclient\c\temp /S [원격에서 로컬로 복사] robocopy \\tsclient\c\temp c:\temp /S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NET Framework: 870.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이전 글] Linux: 26.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메모리 덤프 방법 [최초 등록일: 12/13/2019] [최종 수정일: 3/9/2024]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2정성태10/8/201139342.NET Framework: 244. 윈도우 폼을 열고 닫는 것만으로 메모리 leak이 발생할까? [2]11141정성태10/7/201137687.NET Framework: 243. DataTable에 대해서 Dispose 메서드를 호출할 필요가 있을까? [4]11140정성태10/6/201131183.NET Framework: 242. 닷넷 개발자 입장에서 이해해 보는 자바의 서블릿, JSP1138정성태10/1/201150312Java: 11. 웹 로직에서 MS-SQL 서버 연결 [2]1137정성태9/30/201133982Java: 10. 닷넷 개발자가 설치해 본 Oracle WebLogic Server - 설치 및 기본 도메인 구성1136정성태9/29/201129760개발 환경 구성: 131. Visual Studio - ASP.NET의 Code-behind처럼 cs 파일을 그룹핑하는 매크로 함수 [2]11135정성태9/29/201126761오류 유형: 138. TF10216: Team Foundation services are currently unavailable1134정성태9/27/201134300.NET Framework: 241. C# 5.0에 새로 추가된 Caller Info 특성 [5]1133정성태9/25/201138077VC++: 54. C++로 만든 WinRT 프로그램 [2]1132정성태9/24/201177709Java: 9. 자바의 keytool.exe 사용법과 Tomcat의 SSL 통신 설정1131정성태9/23/201133519Java: 8. 닷넷 개발자가 구현해 본 자바 웹 서비스 (2)1130정성태9/23/201141893Java: 7. 닷넷 개발자가 구현해 본 자바 웹 서비스 (1)21129정성태9/22/201133465개발 환경 구성: 130. Hyper-V에 MS-DOS VM 만드는 방법 - MSDN 구독자 대상 [3]1128정성태9/20/201133709오류 유형: 137. KB2449742 보안 업데이트로 인한 충돌 문제 해결 - 두 번째 이야기1127정성태9/19/201137144Java: 6. Java에서 MySQL 사용 [2]1126정성태9/18/201132363Math: 3. "유클리드 호제법"과 "Bezout's identity" 구현 코드(C#)11125정성태9/17/201130135Windows: 54. Windows 8 개발자 Preview를 사용해 보고... [2]1124정성태9/17/201130328.NET Framework: 240. System.Collections.ArrayList가 .NET 4.5에서 지원이 안된다??? [2]1123정성태9/17/201169816Windows: 53. 2가지 모드의 Internet Explorer 10과 ActiveX [6]1122정성태9/16/201137076Windows: 52. 새롭게 지원되는 WinRT 응용 프로그램 [7]1121정성태9/12/201132355Java: 5. WTP 내에서 서블릿을 실행하는 환경1120정성태9/11/201132110.NET Framework: 239. IHttpHandler.IsReusable 속성 이야기11119정성태9/11/201130455Java: 4. 이클립스에 WTP SDK가 설치되지 않는다면? [2]1118정성태9/11/201143113Java: 3. 이클립스에서 서블릿 디버깅하는 방법 [4]1117정성태9/9/201129965제니퍼 .NET: 17.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2) - 웹 애플리케이션 hang의 원인을 알려주다.1116정성태9/8/201161156Java: 2. 자바에서 "Microsoft SQL Server JDBC Driver" 사용하는 방법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