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148. cdb.exe를 이용해 (ntdll.dll 등에 정의된) 커널 구조체 출력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92

.NET Framework: 874. C# - 커널 구조체의 Offset 값을 하드 코딩하지 않고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98

디버깅 기술: 156. C# - PDB 파일로부터 심벌(Symbol) 및 타입(Type) 정보 열거
; https://www.sysnet.pe.kr/2/0/12114




cdb.exe를 이용해 (ntdll.dll 등에 정의된) 커널 구조체 출력하는 방법

커널 구조체들이 운영체제 버전 및 패치에 민감하다 보니 코드에 해당 offset 값들을 하드 코딩하는 게 영 탐탁지 않습니다. 게다가 offset 값들을 알아보는 것도 꽤나 귀찮은 작업인데요, 매번 windbg를 실행해 "dt" 명령어를 다음과 같이 실행해 offset이 맞는지 확인하는 식입니다.

0:001> dt _PEB
ntdll!_PEB
   +0x000 InheritedAddressSpace : UChar
   +0x001 ReadImageFileExecOptions : UChar
   +0x002 BeingDebugged    : UChar
   +0x003 BitField         : UChar
   +0x003 ImageUsesLargePages : Pos 0, 1 Bit
   +0x003 IsProtectedProcess : Pos 1, 1 Bit
...[생략]...
   +0x7b8 LeapSecondData   : Ptr64 _LEAP_SECOND_DATA
   +0x7c0 LeapSecondFlags  : Uint4B
   +0x7c0 SixtySecondEnabled : Pos 0, 1 Bit
   +0x7c0 Reserved         : Pos 1, 31 Bits
   +0x7c4 NtGlobalFlag2    : Uint4B

멋이 좀 덜하긴 하지만, 저 출력 작업만 명령행으로 구할 수 있다면 대강의 문자열 파싱으로 offset 값 구하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이를 위해 cdb.exe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DB Command-Line Options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drivers/debugger/cdb-command-line-options

cdb, ntsd, windbg 등은 모두 같은 디버그 엔진(dbgeng.dll)을 사용하는 래퍼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또한 내부 사용 명령도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는 데다 cdb.exe의 경우 명령행에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다음과 같이 커널 구조체의 출력 결과를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Debuggers\x64\cdb.exe"

c:\temp> cdb -pn notepad.exe -c "dt _PEB; qd"

Microsoft (R) Windows Debugger Version 10.0.17763.168 AMD64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 wait with pending attach
Unable to add extension DLL: ntsdexts
Unable to add extension DLL: uext
Unable to add extension DLL: exts
The call to LoadLibrary(ext) failed, Win32 error 0n2
    "지정된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
Please check your debugger configuration and/or network access.
Symbol search path is: srv*
Executable search path is:
ModLoad: 00007ff7`d8b60000 00007ff7`d8ba3000   C:\WINDOWS\system32\notepad.exe
ModLoad: 00007ff8`b76f0000 00007ff8`b78dd000   C:\WINDOWS\SYSTEM32\ntdll.dll
...[생략]...
ModLoad: 00007ff8`ade60000 00007ff8`ade9e000   C:\Windows\System32\IME\IMEKR\imkrapi.dll
ModLoad: 00007ff8`add90000 00007ff8`addcf000   C:\Windows\System32\IME\shared\imjkapi.dll
(c3c.17a4): Break instruction exception - code 80000003 (first chance)
ntdll!DbgBreakPoint:
00007ff8`b7793080 cc              int     3
0:001> cdb: Reading initial command 'dt _PEB; qd'
ntdll!_PEB
   +0x000 InheritedAddressSpace : UChar
   +0x001 ReadImageFileExecOptions : UChar
   +0x002 BeingDebugged    : UChar
...[생략]...
   +0x7c0 SixtySecondEnabled : Pos 0, 1 Bit
   +0x7c0 Reserved         : Pos 1, 31 Bits
   +0x7c4 NtGlobalFlag2    : Uint4B
quit:

그럼 이렇게 필터링하는 것도 가능하고,

c:\temp> cdb -pn notepad.exe -c "dt _PEB; qd" | findstr Ldr
   +0x018 Ldr              : Ptr64 _PEB_LDR_DATA

간단하게 저 출력만 분석하면 구조체 필드의 offset 값을 하드 코딩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cdb.exe를 실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파일은 뭐가 있을까요? 우선, cdb.exe 자체는 여타 다른 의존성이 없습니다. 단지 커널 구조체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대상이 되는 DLL(예를 들어 ntdll.dll)의 심벌 파일이 필요한데 cdb.exe만 복사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심벌 로드에 오류가 발생합니다.

0:007> .sympath SRV*c:\temp*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
DBGHELP: Symbol Search Path: srv*c:\temp*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
Symbol search path is: SRV*c:\temp*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
Expanded Symbol search path is: srv*c:\temp*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

************* Path validation summary **************
Response                         Time (ms)     Location
Deferred                                       SRV*c:\temp*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

0:007> .reload /s /f ntdll.dll
DBGHELP: C:\WINDOWS\SYSTEM32\ntdll.pdb - file not found
DBGHELP: ntdll.pdb - file not found
*** ERROR: Symbol file could not be found.  Defaulted to export symbols for C:\WINDOWS\SYSTEM32\ntdll.dll -
DBGHELP: ntdll - export symbols

************* Symbol Loading Error Summary **************
Module name            Error
ntdll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The SYMSRV client failed to find a file in the UNC store, or there
                                is an invalid UNC store (an invalid path or the pingme.txt file is
                                not present in the root directory), or the file is present in the
                                symbol server exclusion list.

그래서 지난 글에 설명한,

pdb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symchk.exe 실행에 필요한 최소 파일
; https://www.sysnet.pe.kr/2/0/12091

내용에 따라 (symchk.exe는 필요 없으니) 다음의 4개 파일만 함께 복사해 주시면 됩니다.

  • cdb.exe
  • dbghelp.dll
  • SymbolCheck.dll
  • symsrv.dll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5/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72정성태1/7/201124206개발 환경 구성: 95. SQL Server 2008 R2 이하 버전 정보 확인
971정성태1/5/201133774.NET Framework: 199. .NET 코드 - Named Pipe 닷넷 서버와 VC++ 클라이언트 제작 [2]파일 다운로드1
970정성태1/4/201134308.NET Framework: 198.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 Facebook 로그인 연동 [1]파일 다운로드1
969정성태12/31/201040400VC++: 45. Winsock 2 Layered Service Provider - Visual Studio 2010용 프로젝트 [1]파일 다운로드1
968정성태12/30/201026677개발 환경 구성: 94. 개발자가 선택할 수 있는 윈도우에서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기술 [2]
967정성태12/27/201028428.NET Framework: 197. .NET 코드 - 단일 Process 실행파일 다운로드1
966정성태12/26/201026380.NET Framework: 196. .NET 코드 - 창 흔드는 효과파일 다운로드1
965정성태12/25/201027894개발 환경 구성: 93.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다중 어셈블리 출력 빌드파일 다운로드1
964정성태12/21/2010143061개발 환경 구성: 92. 윈도우 서버 환경에서, 최대 생성 가능한 소켓(socket) 연결 수는 얼마일까? [14]
963정성태12/13/201027930개발 환경 구성: 91.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플랫폼(x86/x64)별 빌드 [2]파일 다운로드1
962정성태12/10/201022766오류 유형: 110. GAC 등록 - Failure adding assembly to the cache: Invalid file or assembly name.
961정성태12/10/201099816개발 환경 구성: 90. 닷넷에서 접근해보는 PostgreSQL DB [5]
960정성태12/8/201045144.NET Framework: 195. .NET에서 코어(Core) 관련 CPU 정보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959정성태12/8/201031962.NET Framework: 194. Facebook 연동 - API Error Description: Invalid OAuth 2.0 Access Token
958정성태12/7/201028971개발 환경 구성: 89. 배치(batch) 파일에서 또 다른 배치 파일을 동기 방식으로 실행 및 반환값 얻기 [2]
957정성태12/6/201031722디버깅 기술: 31. Windbg - Visual Studio 디버그 상태에서 종료해 버리는 응용 프로그램 [3]
953정성태11/28/201036945.NET Framework: 193. 페이스북(Facebook)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C# 웹 사이트 제작 [5]
952정성태11/25/201025365.NET Framework: 192. GC의 부하는 상대적인 것! [4]
950정성태11/18/201076733.NET Framework: 191. ClickOnce - 관리자 권한 상승하는 방법 [17]파일 다운로드2
954정성태11/29/201048727    답변글 .NET Framework: 191.1. [답변] 클릭원스 - 요청한 작업을 수행하려면 권한 상승이 필요합니다. (Exception from HRESULT: 0x800702E4) [2]
949정성태11/16/201027258오류 유형: 109. System.ServiceModel.Security.SecurityNegotiationException
948정성태11/16/201036104.NET Framework: 190. 트위터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C# 웹 사이트 제작 [7]파일 다운로드1
947정성태11/14/201041704.NET Framework: 189. Mono Cecil로 만들어 보는 .NET Decompiler [1]파일 다운로드1
946정성태11/11/201041566.NET Framework: 188. .NET 64비트 응용 프로그램에서 왜 (2GB) OutOfMemoryException 예외가 발생할까? [1]파일 다운로드1
945정성태11/11/201025067VC++: 44. C++/CLI 컴파일 오류 - error C4368: mixed types are not supported
944정성태11/11/201031600VC++: 43. C++/CLI 컴파일 오류 - error C2872: 'IServiceProvider' : ambiguous symbol could be ...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