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873. C# - 코드를 통해 PDB 심벌 파일 다운로드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935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147. pdb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symchk.exe 실행에 필요한 최소 파일
; https://www.sysnet.pe.kr/2/0/12091

.NET Framework: 873. C# - 코드를 통해 PDB 심벌 파일 다운로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94




C# - 코드를 통해 PDB 심벌 파일 다운로드 방법

물론 symchk.exe를 이용하면 쉽게 다운로드할 수 있지만,

pdb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symchk.exe 실행에 필요한 최소 파일
; https://www.sysnet.pe.kr/2/0/12091

관련 DLL들은 재배포 가능할 수 있어도 exe 파일에 대한 언급이 없습니다.

DbgHelp Versions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debug/dbghelp-versions

The most current versions of DbgHelp.dll, SymSrv.dll, and SrcSrv.dll are available as a part of the Debugging Tools For Windows package. The redistribution policies for these included DLLs were specifically designed to make it as easy as possible for people to include these files in their own packages and releases.

The DbgHelp.dll file that ships in Windows is not redistributable.


그래서 ^^ 그냥 직접 다운로드하는 코드를 만들어 봤습니다.




기반 지식은 이미 다 정리가 되었습니다. 아래의 글에서 PDB 파일의 경로 구성을 알아봤고,

PDB 기호 파일의 경로 구성 방식
; https://www.sysnet.pe.kr/2/0/2925

위의 지식을 기반으로 PE 파일로부터 정보를 얻는 방법도 설명했습니다.

C# - PDB 파일 경로를 PE 파일로부터 얻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37

또한, 마이크로소프트의 심벌 서버에서 다운로드하는 방법도 알았으니,

PDB 파일을 수동으로 다운로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96

이제 이것들을 잘 조합하기만 하면 됩니다. 우선, PE 파일의 헤더로부터 Debug Directory를 가져오는 코드를 지난 글에 소개한 예제를 확장해 구현했습니다.

C# - 로딩된 Native DLL의 export 함수 목록 출력
; https://www.sysnet.pe.kr/2/0/12093

남은 작업은, 이렇게 구성한 PDB 파일 경로를 이용해 msdl.microsoft.com 심벌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는 것인데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에 소개한,

PDB Downloader
; https://blogs.msdn.microsoft.com/webtopics/2016/03/07/pdb-downloader/

PDB Downloader에서 힌트를 얻었습니다. 물론, 소스 코드를 직접 분석하기보다는 그냥 fiddler를 이용해 네트워크 패킷을 보는 것이 더 직관적일 수 있는데요, 우선, "HEAD" method 쿼리를 이용해,

HEAD 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ntdll.pdb/0C2E19EA1901E9B82E4567D2D21E56D21/ntdll.pdb HTTP/1.1
User-Agent: Microsoft-Symbol-Server/10.0.10522.521
Host: msdl.microsoft.com
Connection: Keep-Alive

요청을 보내면 다음과 같이 "Location" 헤더에 실제 다운로드할 수 있는 URL이 담겨 옵니다.

HTTP/1.1 302 Found
Cache-Control: no-store, no-cache, max-age=0
Content-Length: 0
Location: https://vsblobprodscussu5shard62.blob.core.windows.net/b-4712e0edc5a240eabf23330d7df68e77/73D63042197DD1EE7B80F...[생략]...4cb6588
X-Cache: TCP_MISS
Server: Microsoft-HTTPAPI/2.0
X-MSEdge-Ref: Ref A: 6A044B29569A4FB582D54408AC47B3E5 Ref B: SLAEDGE0919 Ref C: 2019-12-25T03:49:24Z
Date: Wed, 25 Dec 2019 03:49:23 GMT

그렇군요, 그러니까 PDB 파일 다운로드는 HEAD + GET의 조합으로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2020-11-23 업데이트: 현재 HEAD 요청 없이 곧바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아래의 소스 코드는 PEImage.cs의 코드를 이용해 PDB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예제입니다.

// ...[생략]...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DownloadPdbs(false);
        DownloadPdbs(true);
    }

    private static void DownloadPdbs(bool fromFile)
    {
        string rootPathToSave = Path.Combine(Environment.CurrentDirectory, "sym");
        if (Directory.Exists(rootPathToSave) == false)
        {
            Directory.CreateDirectory(rootPathToSave);
        }

        Process currentProcess = Process.GetCurrentProcess();
        foreach (ProcessModule pm in currentProcess.Modules)
        {
            Console.WriteLine($"[{pm.FileName}, 0x{pm.BaseAddress.ToString("x")}]");

            PEImage pe = null;

            if (fromFile == true)
            {
                pe = PEImage.ReadFromFile(pm.FileName);
            }
            else
            {
                pe = PEImage.ReadFromMemory(pm.BaseAddress, pm.ModuleMemorySize);
            }

            if (pe == null)
            {
                Console.WriteLine("Failed to read images");
                return;
            }

            string modulePath = pm.FileName;
            DownloadPdb(modulePath, rootPathToSave);

            Console.WriteLine();
        }
    }

    private static void DownloadPdb(string modulePath, string rootPathToSave)
    {
        if (File.Exists(modulePath) == false)
        {
            Console.WriteLine("NOT Found: " + modulePath);
            return;
        }

        PEImage pe = PEImage.ReadFromFile(modulePath);
        if (pe == null)
        {
            Console.WriteLine("Failed to read images");
            return;
        }

        Uri baseUri = new Uri("https://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

        foreach (CodeViewRSDS codeView in pe.EnumerateCodeViewDebugInfo())
        {
            if (string.IsNullOrEmpty(codeView.PdbFileName) == true)
            {
                continue;
            }

            string pdbFileName = codeView.PdbFileName;
            if (Path.IsPathRooted(codeView.PdbFileName) == true)
            {
                pdbFileName = Path.GetFileName(codeView.PdbFileName);
            }

            Console.WriteLine("\tFileName: " + pdbFileName);
            Console.WriteLine("\tPdbFileName: " + codeView.PdbFileName);
            Console.WriteLine("\tLocal: " + codeView.PdbLocalPath);
            Console.WriteLine("\tUri: " + codeView.PdbUriPath);

            string localPath = Path.Combine(rootPathToSave, codeView.PdbLocalPath);
            string localFolder = Path.GetDirectoryName(localPath);

            if (Directory.Exists(localFolder) == false)
            {
                try
                {
                    Directory.CreateDirectory(localFolder);
                }
                catch (DirectoryNotFoundException)
                {
                    Console.WriteLine("NOT Found on local: " + codeView.PdbLocalPath);
                    continue;
                }
            }

            if (File.Exists(localPath) == true)
            {
                Console.WriteLine("Found on local: " + pdbFileName);
                continue;
            }

            if (CopyPdbFromLocal(modulePath, codeView.PdbFileName, localPath) == true)
            {
                Console.WriteLine("Found on local: " + pdbFileName);
                continue;
            }

            Uri target = new Uri(baseUri, codeView.PdbUriPath);
            Console.WriteLine(target);

            Uri pdbLocation = GetPdbLocation(target);

            if (pdbLocation == null)
            {
                string underscorePath = ProbeWithUnderscore(target.AbsoluteUri);
                pdbLocation = GetPdbLocation(new Uri(underscorePath));
            }

            if (pdbLocation != null)
            {
                DownloadPdbFile(pdbLocation, localPath);
            }
            else
            {
                Console.WriteLine("Not Found on symbol server: " + codeView.PdbFileName);
            }
        }

        Console.WriteLine();
    }

    private static bool CopyPdbFromLocal(string modulePath, string pdbFileName, string localTargetPath)
    {
        if (File.Exists(pdbFileName) == true)
        {
            File.Copy(pdbFileName, localTargetPath);
            return File.Exists(localTargetPath);
        }

        string fileName = Path.GetFileName(pdbFileName);
        string pdbPath = Path.Combine(Environment.CurrentDirectory, fileName);

        if (File.Exists(pdbPath) == true)
        {
            File.Copy(pdbPath, localTargetPath);
            return File.Exists(localTargetPath);
        }

        pdbPath = Path.ChangeExtension(modulePath, ".pdb");
        if (File.Exists(pdbPath) == true)
        {
            File.Copy(pdbPath, localTargetPath);
            return File.Exists(localTargetPath);
        }

        return false;
    }

    private static string ProbeWithUnderscore(string path)
    {
        path = path.Remove(path.Length - 1);
        path = path.Insert(path.Length, "_");
        return path;
    }

    private static void DownloadPdbFile(Uri target, string pathToSave)
    {
        System.Net.HttpWebRequest req = System.Net.WebRequest.Create(target) as System.Net.HttpWebRequest;

        using (System.Net.HttpWebResponse resp = req.GetResponse() as System.Net.HttpWebResponse)
        using (FileStream fs = new FileStream(pathToSave, FileMode.CreateNew, FileAccess.Write, FileShare.None))
        using (BinaryWriter bw = new BinaryWriter(fs))
        {
            BinaryReader reader = new BinaryReader(resp.GetResponseStream());
            long contentLength = resp.ContentLength;

            while (contentLength > 0)
            {
                byte[] buffer = new byte[4096];
                int readBytes = reader.Read(buffer, 0, buffer.Length);
                bw.Write(buffer, 0, readBytes);

                contentLength -= readBytes;
            }
        }
    }

    private static Uri GetPdbLocation(Uri target)
    {
        System.Net.HttpWebRequest req = System.Net.WebRequest.Create(target) as System.Net.HttpWebRequest;
        req.Method = "HEAD";

        try
        {
            using (System.Net.HttpWebResponse resp = req.GetResponse() as System.Net.HttpWebResponse)
            {
                return resp.ResponseUri;
            }
        }
        catch (System.Net.WebException)
        {
            return null;
        }
    }

}

완전하게 동작하는 코드는 다음의 github에 공개되어 있습니다.

DotNetSamples/WinConsole/PEFormat/PEFormatSample/
; https://github.com/stjeong/DotNetSamples/tree/master/WinConsole/PEFormat/PEFormatSample

DotNetSamples/WinConsole/PEFormat/WindowsPE/
; https://github.com/stjeong/DotNetSamples/tree/master/WinConsole/PEFormat/WindowsP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9/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72정성태1/7/201124167개발 환경 구성: 95. SQL Server 2008 R2 이하 버전 정보 확인
971정성태1/5/201133751.NET Framework: 199. .NET 코드 - Named Pipe 닷넷 서버와 VC++ 클라이언트 제작 [2]파일 다운로드1
970정성태1/4/201134272.NET Framework: 198.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 Facebook 로그인 연동 [1]파일 다운로드1
969정성태12/31/201040365VC++: 45. Winsock 2 Layered Service Provider - Visual Studio 2010용 프로젝트 [1]파일 다운로드1
968정성태12/30/201026638개발 환경 구성: 94. 개발자가 선택할 수 있는 윈도우에서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기술 [2]
967정성태12/27/201028415.NET Framework: 197. .NET 코드 - 단일 Process 실행파일 다운로드1
966정성태12/26/201026366.NET Framework: 196. .NET 코드 - 창 흔드는 효과파일 다운로드1
965정성태12/25/201027875개발 환경 구성: 93.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다중 어셈블리 출력 빌드파일 다운로드1
964정성태12/21/2010143029개발 환경 구성: 92. 윈도우 서버 환경에서, 최대 생성 가능한 소켓(socket) 연결 수는 얼마일까? [14]
963정성태12/13/201027896개발 환경 구성: 91.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플랫폼(x86/x64)별 빌드 [2]파일 다운로드1
962정성태12/10/201022765오류 유형: 110. GAC 등록 - Failure adding assembly to the cache: Invalid file or assembly name.
961정성태12/10/201099807개발 환경 구성: 90. 닷넷에서 접근해보는 PostgreSQL DB [5]
960정성태12/8/201045113.NET Framework: 195. .NET에서 코어(Core) 관련 CPU 정보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959정성태12/8/201031943.NET Framework: 194. Facebook 연동 - API Error Description: Invalid OAuth 2.0 Access Token
958정성태12/7/201028939개발 환경 구성: 89. 배치(batch) 파일에서 또 다른 배치 파일을 동기 방식으로 실행 및 반환값 얻기 [2]
957정성태12/6/201031696디버깅 기술: 31. Windbg - Visual Studio 디버그 상태에서 종료해 버리는 응용 프로그램 [3]
953정성태11/28/201036904.NET Framework: 193. 페이스북(Facebook)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C# 웹 사이트 제작 [5]
952정성태11/25/201025349.NET Framework: 192. GC의 부하는 상대적인 것! [4]
950정성태11/18/201076712.NET Framework: 191. ClickOnce - 관리자 권한 상승하는 방법 [17]파일 다운로드2
954정성태11/29/201048698    답변글 .NET Framework: 191.1. [답변] 클릭원스 - 요청한 작업을 수행하려면 권한 상승이 필요합니다. (Exception from HRESULT: 0x800702E4) [2]
949정성태11/16/201027252오류 유형: 109. System.ServiceModel.Security.SecurityNegotiationException
948정성태11/16/201036056.NET Framework: 190. 트위터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C# 웹 사이트 제작 [7]파일 다운로드1
947정성태11/14/201041689.NET Framework: 189. Mono Cecil로 만들어 보는 .NET Decompiler [1]파일 다운로드1
946정성태11/11/201041540.NET Framework: 188. .NET 64비트 응용 프로그램에서 왜 (2GB) OutOfMemoryException 예외가 발생할까? [1]파일 다운로드1
945정성태11/11/201025040VC++: 44. C++/CLI 컴파일 오류 - error C4368: mixed types are not supported
944정성태11/11/201031565VC++: 43. C++/CLI 컴파일 오류 - error C2872: 'IServiceProvider' : ambiguous symbol could be ...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