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148. cdb.exe를 이용해 (ntdll.dll 등에 정의된) 커널 구조체 출력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92

.NET Framework: 874. C# - 커널 구조체의 Offset 값을 하드 코딩하지 않고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98

디버깅 기술: 156. C# - PDB 파일로부터 심벌(Symbol) 및 타입(Type) 정보 열거
; https://www.sysnet.pe.kr/2/0/12114




C# - 커널 구조체의 Offset 값을 하드 코딩하지 않고 사용하는 방법

물론, 지난 글에 설명한 cdb.exe 등을 이용해 커널 구조체를 출력하면,

cdb.exe를 이용해 (ntdll.dll 등에 정의된) 커널 구조체 출력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92

해당 결과를 파싱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는, dbgeng.dll을 이용해 직접 제작한 디버거와 함께,

C# - DbgEng.dll을 이용한 간단한 디버거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2096

PDB 심벌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코드를 곁들이면,

C# - 코드를 통해 PDB 심벌 파일 다운로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94

cdb.exe 없이도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nuget에 올려두었으니) 대략 다음과 같은 식으로 작성하면 되겠지요. ^^

/*
Install-Package WindowsPE
Install-Package SimpleDebugger
*/

using Microsoft.Diagnostics.Runtime.Interop;
using SimpleDebugger;
using System;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IO;
using WindowsPE;

namespace ConsoleApp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NET Framework 4.5.2 이하라면 아래의 코드 추가
            // ServicePointManager.SecurityProtocol |= (SecurityProtocolType)3072;

            string rootPathToSave = Path.Combine(Environment.CurrentDirectory, "sym");

            using (UserDebugger debugger = new UserDebugger())
            {
                debugger.SetOutputText(false);

                ProcessStartInfo psi = new ProcessStartInfo();
                psi.FileName = "DummyApp.exe";
                psi.UseShellExecute = false;
                psi.WindowStyle = ProcessWindowStyle.Hidden;
                psi.CreateNoWindow = true;

                Process child = Process.Start(psi);
                bool attached = false;

                try
                {
                    DownloadPdb(child, rootPathToSave);

                    debugger.ModuleLoaded += (ModuleInfo modInfo) =>
                    {
                        RunDTSetCommand(debugger, rootPathToSave);

                        debugger.SetOutputText(false);
                        debugger.Execute(DEBUG_OUTCTL.IGNORE, "q", DEBUG_EXECUTE.NOT_LOGGED);
                    };

                    if (debugger.AttachTo(child.Id) == false)
                    {
                        Console.WriteLine("Failed to attach");
                        return;
                    }

                    attached = true;
                    debugger.WaitForEvent();
                }
                finally
                {
                    if (attached == true)
                    {
                        debugger.Detach();
                    }

                    try
                    {
                        child.Kill();
                    } catch { }
                }

            }
        }

        private static void RunDTSetCommand(UserDebugger debugger, string rootPathToSave)
        {
            {
                string cmd = ".sympath \"" + rootPathToSave + "\"";
                int result = debugger.Execute(DEBUG_OUTCTL.IGNORE, cmd, DEBUG_EXECUTE.NOT_LOGGED);
                if (result != (int)HResult.S_OK)
                {
                    Console.WriteLine("failed to run command: " + cmd);
                    return;
                }
            }

            {
                string cmd = ".reload /s /f ntdll.dll";
                int result = debugger.Execute(DEBUG_OUTCTL.IGNORE, cmd, DEBUG_EXECUTE.NOT_LOGGED);
                if (result != (int)HResult.S_OK)
                {
                    Console.WriteLine("failed to run command: " + cmd);
                    return;
                }
            }

            debugger.SetOutputText(true);
            {
                string cmd = "dt ntdll!_PEB";
                int result = debugger.Execute(cmd);
                if (result != (int)HResult.S_OK)
                {
                    Console.WriteLine("failed to run command: " + cmd);
                    return;
                }
            }
        }

        private static void DownloadPdb(Process child, string rootPathToSave)
        {
            foreach (ProcessModule module in child.Modules)
            {
                if (module.FileName.EndsWith("ntdll.dll", StringComparison.OrdinalIgnoreCase) == true)
                {
                    string modulePath = module.FileName;
                    PEImage pe = PEImage.ReadFromFile(modulePath);
                    DownloadPdb(modulePath, rootPathToSave);
                    return;
                }
            }
        }

        private static void DownloadPdb(string modulePath, string rootPathToSave)
        {
            if (File.Exists(modulePath) == false)
            {
                Console.WriteLine("NOT Found: " + modulePath);
                return;
            }

            PEImage pe = PEImage.ReadFromFile(modulePath);
            if (pe == null)
            {
                Console.WriteLine("Failed to read images");
                return;
            }

            Uri baseUri = new Uri("https://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

            foreach (CodeViewRSDS codeView in pe.EnumerateCodeViewDebugInfo())
            {
                if (string.IsNullOrEmpty(codeView.PdbFileName) == true)
                {
                    continue;
                }

                string pdbFileName = codeView.PdbFileName;
                if (Path.IsPathRooted(codeView.PdbFileName) == true)
                {
                    pdbFileName = Path.GetFileName(codeView.PdbFileName);
                }

                string localPath = Path.Combine(rootPathToSave, pdbFileName);
                string localFolder = Path.GetDirectoryName(localPath);

                if (Directory.Exists(localFolder) == false)
                {
                    try
                    {
                        Directory.CreateDirectory(localFolder);
                    }
                    catch (DirectoryNotFoundException)
                    {
                        Console.WriteLine("NOT Found on local: " + codeView.PdbLocalPath);
                        continue;
                    }
                }

                if (File.Exists(localPath) == true)
                {
                    continue;
                }

                if (CopyPdbFromLocal(modulePath, codeView.PdbFileName, localPath) == true)
                {
                    continue;
                }

                Uri target = new Uri(baseUri, codeView.PdbUriPath);
                Uri pdbLocation = GetPdbLocation(target);

                if (pdbLocation == null)
                {
                    string underscorePath = ProbeWithUnderscore(target.AbsoluteUri);
                    pdbLocation = GetPdbLocation(new Uri(underscorePath));
                }

                if (pdbLocation != null)
                {
                    DownloadPdbFile(pdbLocation, localPath);
                }
                else
                {
                    Console.WriteLine("Not Found on symbol server: " + codeView.PdbFileName);
                }
            }
        }

        private static bool CopyPdbFromLocal(string modulePath, string pdbFileName, string localTargetPath)
        {
            if (File.Exists(pdbFileName) == true)
            {
                File.Copy(pdbFileName, localTargetPath);
                return File.Exists(localTargetPath);
            }

            string fileName = Path.GetFileName(pdbFileName);
            string pdbPath = Path.Combine(Environment.CurrentDirectory, fileName);

            if (File.Exists(pdbPath) == true)
            {
                File.Copy(pdbPath, localTargetPath);
                return File.Exists(localTargetPath);
            }

            pdbPath = Path.ChangeExtension(modulePath, ".pdb");
            if (File.Exists(pdbPath) == true)
            {
                File.Copy(pdbPath, localTargetPath);
                return File.Exists(localTargetPath);
            }

            return false;
        }

        private static string ProbeWithUnderscore(string path)
        {
            path = path.Remove(path.Length - 1);
            path = path.Insert(path.Length, "_");
            return path;
        }

        private static void DownloadPdbFile(Uri target, string pathToSave)
        {
            System.Net.HttpWebRequest req = System.Net.WebRequest.Create(target) as System.Net.HttpWebRequest;

            using (System.Net.HttpWebResponse resp = req.GetResponse() as System.Net.HttpWebResponse)
            using (FileStream fs = new FileStream(pathToSave, FileMode.CreateNew, FileAccess.Write, FileShare.None))
            using (BinaryWriter bw = new BinaryWriter(fs))
            {
                BinaryReader reader = new BinaryReader(resp.GetResponseStream());
                long contentLength = resp.ContentLength;

                while (contentLength > 0)
                {
                    byte[] buffer = new byte[4096];
                    int readBytes = reader.Read(buffer, 0, buffer.Length);
                    bw.Write(buffer, 0, readBytes);

                    contentLength -= readBytes;
                }
            }
        }

        private static Uri GetPdbLocation(Uri target)
        {
            System.Net.HttpWebRequest req = System.Net.WebRequest.Create(target) as System.Net.HttpWebRequest;
            req.Method = "HEAD";

            try
            {
                using (System.Net.HttpWebResponse resp = req.GetResponse() as System.Net.HttpWebResponse)
                {
                    return resp.ResponseUri;
                }
            }
            catch (System.Net.WebException)
            {
                return null;
            }
        }
    }
}

위의 코드를 Windows 10 1909 x64에서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출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C:\temp> ConsoleApp1.exe
+0x000 InheritedAddressSpace : UChar
+0x001 ReadImageFileExecOptions : UChar
+0x002 BeingDebugged    : UChar
+0x003 BitField         : UChar
...[생략]...
+0x7c0 LeapSecondFlags  : Uint4B
+0x7c0 SixtySecondEnabled : Pos 0, 1 Bit
+0x7c0 Reserved         : Pos 1, 31 Bits
+0x7c4 NtGlobalFlag2    : Uint4B

마찬가지로 Windows Server 2008 x86에서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결과가 바뀌므로,

C:\temp> ConsoleApp1.exe
   +0x000 InheritedAddressSpace : UChar
   +0x001 ReadImageFileExecOptions : UChar
   +0x002 BeingDebugged    : UChar
   +0x003 BitField         : UChar
...[생략]...
   +0x22c FlsHighIndex     : Uint4B
   +0x230 WerRegistrationData : Ptr32 Void
   +0x234 WerShipAssertPtr : Ptr32 Void

출력을 잘 이용하면 지겨운 offset 값 하드 코딩을 없앨 수 있겠습니다. ^^




기왕 하는 김에, 위의 결과를 종합해 간단하게 라이브러리로 만들어 nuget에 올렸습니다.

KernelStructOffset
; https://www.nuget.org/packages/KernelStructOffset/

소스 코드
; https://github.com/stjeong/DotNetSamples/tree/master/WinConsole/Debugger

따라서 패키지 추가 후,

Install-Package KernelStructOffset

다음과 같이 코딩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IO;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Text;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var dict = DbgOffset.Get("_PEB", "ntdll.dll");

        int offset = dict["Ldr"];
        Console.WriteLine("Ldr: " + offset + "(0x" + offset.ToString("x") + ")");
    }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5/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0-09-10 11시21분
[윈공부] 안녕하세요. KernelStructOffset 모듈을 다운로드받아서 테스트 해보고 있습니다.
Windows 10 Pro Build 190318에서는 정상 동작하는데요^^;
Windows 10 Pro Build 160715에서는 _ethreadOffset.GetPointer(ethreadPtr, "Cid"); 이 값이 0으로 나옵니다.
그래서... KernelStructOffset 소스를 다운로드 받아서 이것 저것 확인해보고 있었는데요.
XP때부터 fieldName은 Cid로 동일하더라구요. 필드 네임이 윈도우 버전에 따라 다른건 아닌거 같아요.
ethreadPtr 이 값은 정상적으로 처리가 되는데요. 특정 윈도우 버전에서 _ethreadOffset.GetPointer(ethreadPtr, "Cid"); 포인터 값을 가져올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도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guest]
2020-09-10 01시01분
(소스 코드의) rootPathToSave 위치에 해당 pdb 파일이 정상적으로 다운로드되고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사실 KernelStructOffset이 하는 역할은 pdb 파일을 이용해 Cid의 위치를 알아내는 것이 전부입니다. (참고로, 다른 머신에서 실행하던 디렉터리를 그대로 복사해서 실행하면 안 됩니다. 새로운 머신에서는 rootPathToSave가 비어 있어야 합니다.)
정성태
2020-09-10 01시30분
[윈공부] 감사합니다.ㅠㅠ
sym 폴더에 pdb 파일을 삭제하고 해보니 정상 동작합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진심으로 정말 감사드립니다.
[guest]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858정성태3/27/201921386VC++: 129. EXE를 LoadLibrary로 로딩해 PE 헤더에 있는 EntryPoint를 직접 호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57정성태3/26/201919292VC++: 128. strncpy 사용 시 주의 사항(Linux / Windows)
11856정성태3/25/201919516VS.NET IDE: 134.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리눅스 예제를 Visual Studio F5 원격 디버깅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855정성태3/25/201921634개발 환경 구성: 436. 페이스북 HTTPS 인증을 localhost에서 테스트하는 방법
11854정성태3/25/201917355VS.NET IDE: 133. IIS Express로 호스팅하는 사이트를 https로 접근하는 방법
11853정성태3/24/201920037개발 환경 구성: 435. 존재하지 않는 IP 주소에 대한 Dns.GetHostByAddress/gethostbyaddr/GetNameInfoW 실행이 느리다면? - 두 번째 이야기 [1]
11852정성태3/20/201919428개발 환경 구성: 434. 존재하지 않는 IP 주소에 대한 Dns.GetHostByAddress/gethostbyaddr/GetNameInfoW 실행이 느리다면?파일 다운로드1
11851정성태3/19/201923212Linux: 8. C# - 리눅스 환경에서 DllImport 대신 라이브러리 동적 로드 처리 [2]
11850정성태3/18/201922092.NET Framework: 813. C# async 메서드에서 out/ref/in 유형의 인자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
11849정성태3/18/201921553.NET Framework: 812. pscp.exe 기능을 C#으로 제어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48정성태3/17/201918188스크립트: 14. 윈도우 CMD - 파일이 변경된 경우 파일명을 변경해 복사하고 싶다면?
11847정성태3/17/201922722Linux: 7. 리눅스 C/C++ - 공유 라이브러리 동적 로딩 후 export 함수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46정성태3/15/201921346Linux: 6. getenv, setenv가 언어/운영체제마다 호환이 안 되는 문제
11845정성태3/15/201921551Linux: 5.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3]
11844정성태3/14/201922843개발 환경 구성: 434.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프로젝트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프로그램 개발 환경 설정 [1]파일 다운로드1
11843정성태3/14/201917795기타: 75. MSDN 웹 사이트를 기본으로 영문 페이지로 열고 싶다면?
11842정성태3/13/201916225개발 환경 구성: 433.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를 Visual Studio CMake로 빌드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841정성태3/13/201916521VS.NET IDE: 132. Visual Studio 2019 - CMake의 컴파일러를 기본 g++에서 clang++로 변경
11840정성태3/13/201918090오류 유형: 526. 윈도우 10 Ubuntu App 환경에서는 USB 외장 하드 접근 불가
11839정성태3/12/201922044디버깅 기술: 124. .NET Core 웹 앱을 호스팅하는 Azure App Services의 프로세스 메모리 덤프 및 windbg 분석 개요 [3]
11838정성태3/7/201925599.NET Framework: 811.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1 - Exceptions, filters and corrupted processes [1]파일 다운로드1
11837정성태3/6/201939623기타: 74. 도서: 시작하세요! C# 7.3 프로그래밍 [10]
11836정성태3/5/201923110오류 유형: 525. Visual Studio 2019 Preview 4/RC - C# 8.0 Missing compiler required member 'System.Range..ctor' [1]
11835정성태3/5/201921658.NET Framework: 810. C# 8.0의 Index/Range 연산자를 .NET Framework에서 사용하는 방법 및 비동기 스트림의 컴파일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834정성태3/4/201920524개발 환경 구성: 432. Visual Studio 없이 최신 C# (8.0) 컴파일러를 사용하는 방법
11833정성태3/4/201920996개발 환경 구성: 431.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리눅스 프로젝트 설정파일 다운로드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