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디버깅 기술: 153. C# - PEB를 조작해 로드된 DLL을 숨기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103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115.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PID와 환경변수 등의 정보를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478

.NET Framework: 876. C# - PEB(Process Environment Block)를 통해 로드된 모듈 목록 열람
; https://www.sysnet.pe.kr/2/0/12101

디버깅 기술: 153. C# - PEB를 조작해 로드된 DLL을 숨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105

디버깅 기술: 157. C# - PEB.ProcessHeap을 이용해 디버깅 중인지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115




C# - PEB를 조작해 로드된 DLL을 숨기는 방법

지난 글에서,

C# - PEB(Process Environment Block)를 통해 로드된 모듈 목록 열람
; https://www.sysnet.pe.kr/2/0/12101

로드된 DLL들이 PEB.Ldr.InMemoryOrderModuleList에 이중 연결 리스트로 보관되어 있다고 설명했었습니다. 그렇다면, 당연히 그 연결을 끊으면 로드된 DLL을 숨기는 것도 가능합니다.

간단하게 구현해 볼까요? ^^ 우선 _PEB, _PEB_LDR_DATA를 가져온 후,

// Install-Package KernelStructOffset

_PEB peb = EnvironmentBlockInfo.GetPeb();
_PEB_LDR_DATA ldrData = _PEB_LDR_DATA.Create(peb.Ldr);

해당 모듈의 연결 리스트 항목(_LDR_DATA_TABLE_ENTRY)을 구해,

_LDR_DATA_TABLE_ENTRY dllLink = ldrData.Find("ole32.dll");

흔하게 알려진 이중 링크드 리스트의 끊는 방법을 _LIST_ENTRY에 적용하시면 됩니다.

_LIST_ENTRY* pNext = (_LIST_ENTRY*)dllLink.Flink.ToPointer();
_LIST_ENTRY* pPrev = (_LIST_ENTRY*)dllLink.Blink.ToPointer();

IntPtr thisLink = pNext->Blink;
_LIST_ENTRY* thisItem = (_LIST_ENTRY*)thisLink.ToPointer();
thisItem->Blink = IntPtr.Zero;
thisItem->Flink = IntPtr.Zero;

pNext->Blink = new IntPtr(pPrev);
pPrev->Flink = new IntPtr(pNext);

끝입니다. ^^ 실제로 끊기 전과 후에 Process.GetCurrentProcess().Modules을 열람해 보면,

foreach (ProcessModule pm in Process.GetCurrentProcess().Modules)
{
    if (pm.FileName.EndsWith("ole32.dll", StringComparison.OrdinalIgnoreCase) == true)
    {
        // ... 끊기 전에는 실행되지만, 끊은 후에는 실행되지 않음.
    }
}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tasklist 같은 명령행 도구들도 PEB를 이용해 모듈을 열람한다는 것을 이번 실습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례로 ole32.dll에 대한 연결을 끊기 전과 후의 출력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 끊기 전

C:\temp>tasklist /FI "PID eq 19328" /M

Image Name                     PID Modules
========================= ======== ============================================
HideModule.exe               17628 ntdll.dll, MSCOREE.DLL, KERNEL32.dll,
                                   KERNELBASE.dll, ADVAPI32.dll, msvcrt.dll,
                                   sechost.dll, RPCRT4.dll, mscoreei.dll,
                                   SHLWAPI.dll, combase.dll, ucrtbase.dll,
                                   bcryptPrimitives.dll, GDI32.dll,
                                   win32u.dll, gdi32full.dll, msvcp_win.dll,
                                   USER32.dll, IMM32.DLL, kernel.appcore.dll,
                                   VERSION.dll, clr.dll, ucrtbase_clr0400.dll,
                                   VCRUNTIME140_CLR0400.dll, psapi.dll,
                                   mscorlib.ni.dll, ole32.dll, clrjit.dll,
                                   System.ni.dll


// 끊은 후

C:\temp>tasklist /FI "PID eq 19328" /M

Image Name                     PID Modules
========================= ======== ============================================
HideModule.exe               19328 ntdll.dll, MSCOREE.DLL, KERNEL32.dll,
                                   KERNELBASE.dll, ADVAPI32.dll, msvcrt.dll,
                                   sechost.dll, RPCRT4.dll, mscoreei.dll,
                                   SHLWAPI.dll, combase.dll, ucrtbase.dll,
                                   bcryptPrimitives.dll, GDI32.dll,
                                   win32u.dll, gdi32full.dll, msvcp_win.dll,
                                   USER32.dll, IMM32.DLL, kernel.appcore.dll,
                                   VERSION.dll, clr.dll,
                                   VCRUNTIME140_CLR0400.dll,
                                   ucrtbase_clr0400.dll, psapi.dll,
                                   mscorlib.ni.dll, clrjit.dll, System.ni.dll

반면 Sysinternals 등의 도구(listdlls.exe나 process explorer.exe)에서는 PEB의 InMemoryOrderModuleList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모든 DLL들이 열거됩니다.




이쯤에서 한 가지 더 설명해야 하는데 ^^ 모듈 목록은 PEB.Ldr.InMemoryOrderModuleList뿐만 아니라 PEB.Ldr.InLoadOrderModuleList에도 보관하고 있습니다. (원래는 필드 이름이 의미하는 대로 구분이 있었던 것 같지만 Windows 10에서 테스트해 보면 목록 순서가 동일하게 출력됩니다.) 따라서 좀 더 잘 숨기고 싶다면 InLoadOrderModuleList에서도 연결을 끊어주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현재 이러한 기능을 추가해 KernelStructOffset을 업데이트했고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의 코드로 링크 연결을 끊거나 재연결할 수 있습니다.

_PEB peb = EnvironmentBlockInfo.GetPeb();
_PEB_LDR_DATA ldrData = _PEB_LDR_DATA.Create(peb.Ldr);

string moduleName = "ole32.dll";
FindModules(moduleName);

DllOrderLink hiddenModuleLink = null;

try
{
    hiddenModuleLink = ldrData.HideDLL(moduleName);
    FindModules(moduleName);
}
finally
{
    if (hiddenModuleLink != null)
    {
        ldrData.UnhideDLL(hiddenModuleLink);
    }
}

또한 InLoadOrderModuleList, InMemoryOrderModuleList 필드의 목록을 다음의 코드로 열람할 수 있습니다.

foreach (var item in ldrData.EnumerateLoadOrderModules())
{
    Console.WriteLine("\t" + item.FullDllName.GetText());
}

foreach (var item in ldrData.EnumerateMemoryOrderModules())
{
    Console.WriteLine("\t" + item.FullDllName.GetText());
}

이 글의 완전한 예제 코드는 github에 올려 두었습니다.

DotNetSamples/WinConsole/PEFormat/HideModule/
; https://github.com/stjeong/DotNetSamples/tree/master/WinConsole/PEFormat/HideModul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14/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865정성태10/13/201526355.NET Framework: 536. Thread.Abort의 스레드 종료 지연파일 다운로드1
10864정성태10/12/201523964.NET Framework: 535. aspnet.config 파일의 설정을 읽는 방법
10863정성태10/9/201529753.NET Framework: 534. ASP.NET 응용 프로그램이 예외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면?
10862정성태10/9/201527847오류 유형: 310. 비주얼 스튜디오 - Unspecified error (Exception from HRESULT: 0x80004005 (E_FAIL))
10861정성태10/9/201532583기타: 54. 도서: 시작하세요! C# 6.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2)
10860정성태10/5/201531091개발 환경 구성: 277. IIS AppPool의 시작/중단에 대한 이벤트 로그 확인 방법
10859정성태10/5/201530125.NET Framework: 533. C#에서 string 형식이 primitive일까요? [6]
10858정성태10/2/201526731VS.NET IDE: 105. Visual Studio의 단위 테스트 작성 시 Fakes를 이용한 메서드 재정의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0857정성태10/1/201524212VS.NET IDE: 104. Visual C++ 프로젝트의 빌드 이벤트에서 환경 변수 사용하는 방법
10856정성태9/30/201536371.NET Framework: 532. WPF DataGrid의 데이터 바인딩 시 리플렉션의 부하는 어느 정도일까요?파일 다운로드1
10855정성태9/30/201524776.NET Framework: 531. C# - XSLT 내의 javascript에 전달한 XML 노드의 타입은?
10854정성태9/30/201524037오류 유형: 309. C# - 포인터를 쓰는 경우 VerificationException이 발생한다면?
10853정성태9/21/201523558오류 유형: 308. 공백 문자를 포함한 계정명의 권한으로 Visual Studio 확장을 설치할 때 오류 발생
10852정성태9/17/201528922VC++: 92. C++ 생성자를 DLL로부터 동적 로드해 객체를 생성한다면? [2]파일 다운로드1
10851정성태9/15/201527708.NET Framework: 530. C# - 중위식을 후위식으로 변환하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0850정성태9/14/201527448.NET Framework: 529. C# - volatile 키워드로 인한 차이점을 발생시키는 예제 [1]파일 다운로드1
10849정성태9/14/201561632오류 유형: 307. CLR20r3 오류 해결을 위해 mscorlib.dll을 덮어쓸때 주의할 점 [12]
10848정성태9/8/201530303VS.NET IDE: 103. Visual Studio의 Ctrl + F5 실행 동작파일 다운로드1
10847정성태9/8/201527995VS.NET IDE: 102. 목록(List) 타입의 값을 디버깅 중 Watch 창에서 확인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0846정성태9/8/201524152오류 유형: 306. "query user" 명령어에 공백 문자가 포함된 계정을 전달하는 경우
10845정성태9/3/201525899오류 유형: 305. 윈도우 백업 시 오류 - 0x80780166
10844정성태9/2/201526458.NET Framework: 528. C# - 상호 참조하는 경우의 정적 생성자 동작 방식 [4]파일 다운로드1
10843정성태9/1/201526539VS.NET IDE: 101. Visual Studio 2015의 솔루션 탐색기가 클래스 뷰 정보로 인해 느려지는 현상
10842정성태9/1/201524278.NET Framework: 527.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 세 번째 이야기
10841정성태8/31/201534277개발 환경 구성: 276. Visual Studio 2013에서 C# 6과 닷넷 4.6 기능을 사용하려면?
10839정성태8/22/201532823Windows: 112. 윈도우 10에서 터치 키보드를 안 뜨게 할 수 있는 방법 [5]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