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288. FFmpeg.exe를 이용한 C# 동영상 인코더 예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4806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288. FFmpeg.exe를 이용한 C# 동영상 인코더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210

개발 환경 구성: 622. vcpkg로 ffmpeg를 빌드하는 경우 생성될 구성 요소 제어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00

개발 환경 구성: 623. ffmpeg.exe를 사용해 비디오 파일의 이미지를 PGM(Portable Gray Map) 파일 포맷으로 출력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12

개발 환경 구성: 626. ffmpeg.exe를 사용해 비디오 파일을 MPEG1 포맷으로 변경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23

개발 환경 구성: 634. ffmpeg.exe - 기존 동영상 컨테이너에 다중 스트림을 추가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47

개발 환경 구성: 636. ffmpeg.exe를 이용해 planar 포맷의 데이터를 packed 형식으로 변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57

개발 환경 구성: 639. ffmpeg.exe - Intel Quick Sync Video(qsv)를 이용한 인코딩
; https://www.sysnet.pe.kr/2/0/12973




FFmpeg.exe를 이용한 C# 동영상 인코더 예제

참고로, 이번 내용은 다음의 글을 읽고 작성한 것입니다.

Creating a Video Converter Using VB.NET
; http://www.codeguru.com/vb/gen/vb_multimedia/article.php/c19683

마침 질문 주신 분도 있고 해서,

FFmpeg 사용해 보신 분 좀 도와주세요
; http://mblog.devpia.com/link/?no=2124351

VB.NET으로 된 예제를 C#으로 작성해 보았습니다. 그런데, 음... 구 버전의 ffmpeg.exe를 써서 그런지 저대로 코딩하거나 글에 포함된 소스코드를 다운로드해도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제 경우에는 위의 것을 그대로 따라하지 않고 최대한 단순화 시키면서 '동작 가능한 버전'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우선, ffmpeg.exe 파일을 구해야 하는데 다음의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FFmpeg
; http://ffmpeg.org/

소스 코드를 직접 빌드해도 되지만, FFmpeg 윈도우 빌드를 다음의 경로에서 다운로드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FFmpeg Windows Builds
; http://ffmpeg.zeranoe.com/builds/ 

이 글에서는 위의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한 32/64-bit builds(static) 버전으로 진행하겠습니다.

FFmpeg git-dd1fb65 64-bit Static (Latest)(2011-12-22)
; http://ffmpeg.zeranoe.com/builds/win64/static/ffmpeg-git-dd1fb65-win64-static.7z

FFmpeg git-dd1fb65 32-bit Static (Latest)(2011-12-22)
; http://ffmpeg.zeranoe.com/builds/win32/static/ffmpeg-git-dd1fb65-win32-static.7z

위의 ffmpeg.exe를 구했으면 이제 나머지는 아주 초보적인 코딩에 불과합니다. 왜냐하면, ffmpeg.exe를 외부 프로세스로 호출하고 변환할 것이므로 단순히 명령행 인자만 적절하게 구성해서 전달해 주면 되기 때문입니다.

우선 명령행에서 간단하게 테스트해 보는 것이 좋은데요.

대충 예제를 맞추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옵션들을 선택할 수 있었습니다.

-b:v video bitrate
64k, 96k, 128k, 192k, 256k, 320k, 340k

-s frame size
wvga, ... hd420,...

-ar audio sampling frequency
11025
22050
44100

-qscale Use fixed quality scale (VBR). The meaning of q is codec-dependent.
To have a constant quality (but a variable bitrate), use the option ’-qscale n’ when ’n’ is between 1 (excellent quality) and 31 (worst quality).

이 외의 좀 더 다양한 옵션에 대해서는 다음의 링크를 참고하세요.

ffmpeg Documentation
; http://ffmpeg.org/ffmpeg.html


그래서, 플래시 파일을 MP4로 변환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해줄 수 있습니다.

ffmpeg.exe -i "D:\temp\sample.flv" -b:v 340k -y "D:\temp\sample.mp4" -s hd480 -ar 44100

C#에서는 Process.Start로 실행시켜 주기만 하면 끝이겠지요. ^^

ProcessStartInfo psiProcInfo = new ProcessStartInfo();

StreamReader srFFMPEG;
string strFFMPEGCmd = " -i \"" + srcFile + "\" -ar 44100 " + videoRateOption + videoSizeOption + " -y \"" + dstFile + "\"";

psiProcInfo.FileName = Application.StartupPath + ((IntPtr.Size == 8) ? "\\x64" : "\\x86") + "\\ffmpeg.exe";
psiProcInfo.Arguments = strFFMPEGCmd;
psiProcInfo.UseShellExecute = false;
psiProcInfo.WindowStyle = ProcessWindowStyle.Hidden;
psiProcInfo.RedirectStandardError = true;
psiProcInfo.RedirectStandardOutput = true;

prcFFMPEG.StartInfo = psiProcInfo;

prcFFMPEG.Start();

그런데... 혹시 '진행율'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일단, 외부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이라서 별도의 이벤트가 제공되지 않는 한 불가능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FFmpeg 라이브러리 수준으로 사용해서 직접 API를 제어하는 것으로 가능할 텐데요.

그래도, 일단 아쉬운 대로 FFmpeg.exe의 출력 결과를 보면 어느 정도 예측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의 실행 결과를 보면,

D:\temp>ffmpeg.exe  -i "D:\temp\videoplayback.flv" -b:v 340k -y "D:\temp\videoplayback.mp4"  -s hd480 -ar 44100 -pass 2
...[생략]...
Input #0, flv, from 'D:\temp\videoplayback.flv':
  Metadata:
    starttime       : 0
    totalduration   : 238
    totaldatarate   : 478
    bytelength      : 14186363
    canseekontime   : true
    sourcedata      : B4A7DD5C6MH1324909622848868
    purl            :
    pmsg            :
  Duration: 00:03:57.50, start: 0.000000, bitrate: 477 kb/s
    Stream #0:0: Video: h264 (Main), yuv420p, 640x360, 348 kb/s, 29.97 tbr, 1k tbn, 59.94 tbc
    Stream #0:1: Audio: aac, 44100 Hz, stereo, s16, 131 kb/s
...[생략]...
Press [q] to stop, [?] for help
frame= 7119 fps=166 q=-1.0 Lsize=   13720kB time=00:03:57.47 bitrate= 473.3kbits/s
video:9777kB audio:3711kB global headers:0kB muxing overhead 1.722711%
...[생략]...

Input #0 FLV 파일의 Duration을 03:57.50으로 출력해 주고 있기 때문에 이 값을 보관하고 있다가 이 후에 인코딩 시에 출력해 주는 time=... 값을 비교해서 백분율을 내면 진행 상태를 출력해 줄 수 있는 것입니다.

첨부된 파일은 위의 코드를 포함한 예제 프로젝트이고, 클릭원스로도 올려놓았으니 원하시는 분들은 간단하게 테스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로, 입력 파일은 플래시 확장자(.flv)로 제한했습니다.)

FLV 동영상 변환
; https://www.sysnet.pe.kr/temp/app/vencoder/VEncoder.application

64비트 PC에서는 64비트 버전의 ffmpeg.exe를 사용하고, 32비트 PC에서는 32비트 버전의 ffmpeg.exe를 사용해서 인코딩합니다.

ffmpeg_cs_1.png

그 유명한 "다음 팟 인코더"도 결국 FFmpeg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위의 응용 프로그램과 비교해서 동영상 인코딩 품질은 동일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3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12-30 10시47분
[남산골]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저 위 싸이트들 들락날락하면서 1주일 이상을 머리싸매고 봤지만 솔직히 아직도 제대로 이해못합니다 ㅠㅠ. 저런걸 금방보고 코드까지 작성할 수 있다니 정말 고수시네요. 어찌어찌해서 인코더는 만들었는데 저 것보고 더 연구해 봐야겠네요. 나중에 또 궁금한 것 있으면 찾아오겠습니다. 올해도 하루 밖에 안남았네요. 좋은 연말 보내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guest]
2012-01-01 09시18분
[네모] 키라라 인코더 가 VB.NET 입니다.. 소스포지에 가보면 소스도 있으니 이걸 개조하던지 참고해보세요....
[guest]
2015-01-22 11시45분
[개발자] 우와 잘정리되어 있네요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 합니다.
[guest]
2015-04-23 07시56분
[하수] 안녕하세요 질문있습니다. ogv파일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추가하고싶은데 어디에다가 추가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가르쳐주세요
[guest]
2015-04-23 03시07분
글쎄요. 저도 웹상에 공개된 방법 이외에는 잘 모릅니다. 아래의 글에 보니, ogv를 대상으로 하는 예제가 실려 있으니 참고하세요.

http://paulrouget.com/e/converttohtml5video/

참고 삼아 여기에도 적어둡니다. ^^

* OGG/Theora
ffmpeg -i input.mov -acodec libvorbis -ac 2 -ab 96k -ar 44100 -b 345k -s 640x360 output.ogv
정성태
2015-08-21 07시44분
동영상의 기본적인 이해(컨테이너 포맷이란?, 동영상의 변환이란?)
; http://blog.naver.com/brian423/174055572
정성태
2016-06-07 06시48분
[초보자] 안녕하세요 게시물 잘봤습니다!
혹시 png나 jpg같은 이미지 파일들을 동영상으로 제작하려면 어떤식으로 구현을 해야할까요?... 가르쳐주세요
[guest]
2016-06-07 07시09분
아 연속된 이미지를 영상으로 만들고 싶습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
박정훈
2016-06-07 07시32분
@박정훈 아래의 사용법을 보세요.

C# - OpenCvSharp.VideoWriter에 BMP 파일을 1초씩 출력하는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2485

Create a video slideshow from images
; https://trac.ffmpeg.org/wiki/Create%20a%20video%20slideshow%20from%20images

----------------------------------------

How to build FFmpeg 7 from source and what you can do with its new features
; https://www.codeproject.com/Tips/5380437/How-to-build-FFmpeg-7-from-source-and-what-you-can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985정성태7/17/201917007개발 환경 구성: 452. msbuild - csproj에 환경 변수 조건 사용 [1]
11984정성태7/9/201925536개발 환경 구성: 451. Microsoft Edge (Chromium)을 대상으로 한 Selenium WebDriver 사용법 [1]
11983정성태7/8/201914891오류 유형: 556. nodemon - 'mocha' is not recognized as an internal or external command, operable program or batch file.
11982정성태7/8/201914980오류 유형: 555. Visual Studio 빌드 오류 - result: unexpected exception occured (-1002 - 0xfffffc16)
11981정성태7/7/201918074Math: 64. C# - 3층 구조의 신경망(분류)파일 다운로드1
11980정성태7/7/201928175개발 환경 구성: 450. Visual Studio Code의 Java 확장을 이용한 간단한 프로젝트 구축파일 다운로드1
11979정성태7/7/201918428개발 환경 구성: 449. TFS에서 gitlab/github등의 git 서버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방법
11978정성태7/6/201917688Windows: 161. 계정 정보가 동일하지 않은 PC 간의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1]
11977정성태7/6/201922290오류 유형: 554. git push - error: RPC failed; HTTP 413 curl 22 The requested URL returned error: 413 Request Entity Too Large
11976정성태7/4/201916623오류 유형: 553. (잘못 인증 한 후) 원격 git repo 재인증 시 "remote: HTTP Basic: Access denied" 오류 발생
11975정성태7/4/201925424개발 환경 구성: 448. Visual Studio Code에서 콘솔 응용 프로그램 개발 시 "입력"받는 방법
11974정성태7/4/201921156Linux: 22. "Visual Studio Code + Remote Development"로 윈도우 환경에서 리눅스(CentOS 7) C/C++ 개발
11973정성태7/4/201919897Linux: 21. 리눅스에서 공유 라이브러리가 로드되지 않는다면?
11972정성태7/3/201923675.NET Framework: 847. JAVA와 .NET 간의 AES 암호화 연동 [1]파일 다운로드1
11971정성태7/3/201919969개발 환경 구성: 447. Visual Studio Code에서 OpenCvSharp 개발 환경 구성
11970정성태7/2/201918569오류 유형: 552. 웹 브라우저에서 파일 다운로드 후 "Running security scan"이 끝나지 않는 문제
11969정성태7/2/201919033Math: 63. C# - 3층 구조의 신경망파일 다운로드1
11968정성태7/1/201925728오류 유형: 551. Visual Studio Code에서 Remote-SSH 연결 시 "Opening Remote..." 단계에서 진행되지 않는 문제 [1]
11967정성태7/1/201919775개발 환경 구성: 446. Synology NAS를 Windows 10에서 iSCSI로 연결하는 방법
11966정성태6/30/201918716Math: 62. 활성화 함수에 따른 뉴런의 출력을 그리드 맵으로 시각화파일 다운로드1
11965정성태6/30/201919308.NET Framework: 846. C# - 2차원 배열을 1차원 배열로 나열하는 확장 메서드파일 다운로드1
11964정성태6/30/201920859Linux: 20. C# - Linux에서의 Named Pipe를 이용한 통신
11963정성태6/29/201920603Linux: 19. C# - .NET Core Unix Domain Socket 사용 예제
11962정성태6/27/201918287Math: 61. C# - 로지스틱 회귀를 이용한 선형분리 불가능 문제의 분류파일 다운로드1
11961정성태6/27/201917819Graphics: 37. C# - PLplot - 출력 모음(Family File Output)
11960정성태6/27/201918867Graphics: 36. C# - PLplot의 16색 이상을 표현하는 방법과 subpage를 이용한 그리드 맵 표현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