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300.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52

.NET Framework: 828.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1884

개발 환경 구성: 466.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118

.NET Framework: 878.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네 번째 이야기(IL 코드로 직접 구현)
; https://www.sysnet.pe.kr/2/0/12120

.NET Framework: 880. C# - PE 파일로부터 IMAGE_COR20_HEADER 및 VTableFixups 테이블 분석
; https://www.sysnet.pe.kr/2/0/12126

.NET Framework: 881. C# DLL에서 제공하는 Win32 export 함수의 내부 동작 방식(VT Fix up Table)
; https://www.sysnet.pe.kr/2/0/12127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지난 글들에 이어,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52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1884

근래 다시 한번 dllexport를 테스트할 일이 있어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글에서 소개한 UnmanagedExports를 사용해 봤는데 아쉽게도 동작하지 않았습니다.

검색해 보니까, NuGet으로 받은 것은 업데이트가 끊겼고 대신 github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UnmanagedExports - v1.6.5
; https://github.com/3F/DllExport/releases
; https://github.com/3F/DllExport/releases/download/v1.6.5/offline.DllExport_v1.6.5.4044_4db7142.zip

그리고 사용법이 쪼끔 복잡해졌습니다. 예전에는 그냥 NuGet으로 받아 빌드만 하면 되었는데 이제는 다음의 글에 따라,

3F / DllExport - Quick start
; https://github.com/3F/DllExport/wiki/Quick-start

사전 configuration을 수행해야 합니다. 사실 "쪼끔" 복잡은 해졌지만 그래도 간단한 편인데 일단 솔루션/프로젝트를 구성한 다음 솔루션(sln) 파일이 있는 폴더에 "offline.DllExport_v1.6.5.4044_4db7142.zip" 파일의 압축을 풀어 놓고 시작하게 됩니다. 즉, 다음과 같은 식으로 폴더 구성이 되어야 합니다.

cs_export_native_0.png

그런 다음 "DllExport.bat -action Configure"라고 명령어를 수행합니다.

c:\temp\ConsoleApp1> DllExport.bat -action Configure
...[생략]...

"DllExport.bat" 실행의 기본 인자 구성이 "-action Configure"이므로 특별한 인자 없이 실행해도 됩니다. 그럼, 실행 중에 다음과 같이 솔루션 파일을 선택하는 대화창이 뜨고,

cs_export_native_1.png

그 솔루션 파일 내의 (export 함수를 구현할) 프로젝트를 선택한 후 Apply 버튼을 누르면 해당 프로젝트 파일(csproj) 내에 다음과 같은 식의 옵션들과 함께,

<PropertyGroup>
    <DllExportIdent>F5B3AFFA-7FAC-4B75-8AE3-A1B9F7AC2137</DllExportIdent>
    <DllExportMetaLibName>DllExport.dll</DllExportMetaLibName>
    <DllExportNamespace>ClassLibrary1</DllExportNamespace>
    <DllExportDDNSCecil>true</DllExportDDNSCecil>
    <DllExportSkipOnAnyCpu>false</DllExportSkipOnAnyCpu>
    <DllExportPlatform>Auto</DllExportPlatform>
    <DllExportOrdinalsBase>1</DllExportOrdinalsBase>
    <DllExportGenExpLib>false</DllExportGenExpLib>
    <DllExportOurILAsm>false</DllExportOurILAsm>
    <DllExportLeaveIntermediateFiles>false</DllExportLeaveIntermediateFiles>
    <DllExportTimeout>30000</DllExportTimeout>
    <DllExportPeCheck>2</DllExportPeCheck>
</PropertyGroup>

빌드 시에만 잠깐 사용될 dll 참조도 추가되고,

<Reference Include="DllExport, PublicKeyToken=8337224c9ad9e356">
    <HintPath>$(SolutionDir)\packages.offline\DllExport\gcache\metalib\$(DllExportNamespace)\$(DllExportMetaLibName)</HintPath>
    <Private>False</Private>
    <SpecificVersion>False</SpecificVersion>
</Reference>

msbuild가 사용할 빌드 단계도 추가됩니다.

<ImportGroup Label=".NET DllExport">
    <Import Project="$(SolutionDir)packages.offline\DllExport\tools\net.r_eg.DllExport.targets" Condition="Exists($([MSBuild]::Escape('$(SolutionDir)packages.offline\DllExport\tools\net.r_eg.DllExport.targets')))" Label="8337224c9ad9e356" />
</ImportGroup>

<Target Name="DllExportRestorePkg" BeforeTargets="PrepareForBuild">
    <Error Condition="!Exists('$(SolutionDir)DllExport.bat')" Text="DllExport.bat is not found. Path: '$(SolutionDir)' - https://github.com/3F/DllExport" />
    <Exec Condition="('$(DllExportModImported)' != 'true' Or !Exists('$(SolutionDir)packages.offline\DllExport\tools\net.r_eg.DllExport.targets')) And Exists('$(SolutionDir)DllExport.bat')" Command="DllExport.bat -packages packages.offline -dxp-version actual  -action Restore" WorkingDirectory="$(SolutionDir)" />
</Target>

<Target Name="DllExportRPkgDynamicImport" BeforeTargets="PostBuildEvent" DependsOnTargets="GetFrameworkPaths" Condition="'$(DllExportModImported)' != 'true' And '$(DllExportRPkgDyn)' != 'false'">
    <MSBuild BuildInParallel="true" UseResultsCache="true" Projects="$(MSBuildProjectFullPath)" Properties="DllExportRPkgDyn=true" Targets="Build" />
</Target>

따라서, 일단 저렇게 설정이 된 이후에는 그냥 빌드만 하면 export 함수를 가진 DLL이 생성됩니다. 게다가 AnyCPU 빌드 구성이어도 자동으로 x86 및 x64 바이너리를 한꺼번에 만듭니다.




NuGet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업그레이드가 불편할 수 있지만, 이 부분에 대해서도 DllExport.bat 파일로 다음과 같이 해결할 수 있습니다.

DllExport -action Upgrade {version}

참고로, 다음은 offline.DllExport_v1.6.5.4044_4db7142.zip 압축 파일의 파일 및 디렉터리 구성입니다.

./
│   DllExport.bat
│   Readme.txt
│
└───packages.offline
    └───DllExport
        │   3rd-party.txt
        │   build_info.txt
        │   changelog.txt
        │   DllExport.bat
        │   DllExport.nuspec
        │   hMSBuild.bat
        │   License.txt
        │   Readme.md
        │
        ├───build
        │   └───net20
        │           DllExport.targets
        │
        ├───lib
        │   └───net20
        │           _._
        │
        └───tools
            │   build.targets
            │   Conari.dll
            │   Conari.pdb
            │   Conari.xml
            │   gnt.bat
            │   hMSBuild.bat
            │   Microsoft.Build.dll
            │   Microsoft.Build.Framework.dll
            │   Microsoft.Build.Utilities.v4.0.dll
            │   Mono.Cecil.dll
            │   MvsSln.dll
            │   MvsSln.pdb
            │   MvsSln.xml
            │   net.r_eg.DllExport.targets
            │   net.r_eg.DllExport.Wizard.dll
            │   net.r_eg.DllExport.Wizard.pdb
            │   net.r_eg.DllExport.Wizard.targets
            │   NSBin.dll
            │   NSBin.pdb
            │   PeViewer.exe
            │   PeViewer.pdb
            │   RGiesecke.DllExport.dll
            │   RGiesecke.DllExport.MSBuild.dll
            │   RGiesecke.DllExport.MSBuild.pdb
            │   RGiesecke.DllExport.pdb
            │
            ├───coreclr
            │       changelog.txt
            │       coreclr.dll
            │       ilasm.exe
            │       ildasm.exe
            │       ildasmrc.dll
            │       LICENSE.TXT
            │       mscordaccore.dll
            │       mscordbi.dll
            │       PATENTS.TXT
            │       README.md
            │       _Version.txt
            │
            └───raw
                └───lib
                    └───net20
                            DllExport.dll
                            DllExport.xml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7/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0-07-01 04시28분
정성태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894정성태7/25/201026353오류 유형: 100. Could not find the Database Engine startup handle. [1]
893정성태7/25/201027549오류 유형: 99. .NET 4.0 설치된 윈도우 7에서 SQL Server 2008 R2 설치 오류
892정성태7/9/201029197오류 유형: 98. 영문 윈도우에 한글 SQL Server 2008 R2 설치할 때 오류 [4]
891정성태7/8/201025128오류 유형: 97. MsiGetProductInfo failed to retrieve ProductVersion for package with Product Code = '{...}'. Error code: 1605. [2]
889정성태7/5/201026801.NET Framework: 179. Dictionary.Get(A) 대신 Dictionary.Get(A.GetHashCode())를 사용해서는 안 되는 이유 [1]
888정성태6/30/201024606오류 유형: 96. Hyper-V 연결 오류 - A connection will not be made because credentials may not be sent to the remote computer
887정성태6/23/201034464개발 환경 구성: 79. Hyper-V의 가상 머신에서 소리 재생 방법 [2]
886정성태6/23/201022647제니퍼 .NET: 14. ASMX, WCF 호출 모니터링 및 누수 확인
885정성태6/20/201024247개발 환경 구성: 78. COM+ 서버에서 COM+ 서버를 호출하는 방법
884정성태6/20/201027173제니퍼 .NET: 13. COM+ 서버 모니터링 [2]
883정성태6/18/201029096개발 환경 구성: 77. Appinit_Dlls로 구현한 환경 변수 설정 DLL [5]파일 다운로드1
882정성태6/17/201031866개발 환경 구성: 76. JKS(Java Key Store)에 저장된 인증서를 ActiveX 코드 서명에 사용하는 방법 [1]
881정성태6/14/201021280제니퍼 .NET: 12. COM+ 호출 모니터링 및 누수 확인
879정성태6/10/201023908제니퍼 .NET: 11. 소켓 모니터링 기능으로 본 ASP.NET의 소켓 풀링 기능 [1]
878정성태6/6/201023749제니퍼 .NET: 10. 소켓 모니터링 기능으로 본 WCF의 WSDualHttpBinding 성능 부하
877정성태5/31/201020453제니퍼 .NET: 9. 성능 관리 퀴즈 세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876정성태5/31/201019903제니퍼 .NET: 8. 성능 관리 퀴즈 두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2]
875정성태5/30/201021663제니퍼 .NET: 7. 성능 관리 퀴즈 첫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873정성태5/19/201028486제니퍼 .NET: 6. 제니퍼를 위한 방화벽 설정
872정성태5/15/201027800제니퍼 .NET: 5. 제니퍼 서버 - NT 서비스로 구동시키는 방법
871정성태5/13/201034380VC++: 40. MSBuild를 이용한 VC++ 프로젝트 빌드파일 다운로드1
870정성태5/12/201025398제니퍼 .NET: 4. 닷넷 APM 솔루션 - 제니퍼 닷넷의 기능 요약 [2]
869정성태11/8/201926848오류 유형 : 95. WCF 인증서 설정 관련 오류 정리 [4]
865정성태5/5/201029135개발 환경 구성: 75. 인증서의 개인키를 담은 물리 파일 위치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864정성태5/4/201032901.NET Framework: 178. WCF - 사용자 정의 인증 구현 예제 [4]파일 다운로드1
863정성태5/4/201058878개발 환경 구성: 74. 인증서 관련(CER, PVK, SPC, PFX) 파일 만드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