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300.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52

.NET Framework: 828.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1884

개발 환경 구성: 466.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118

.NET Framework: 878.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네 번째 이야기(IL 코드로 직접 구현)
; https://www.sysnet.pe.kr/2/0/12120

.NET Framework: 880. C# - PE 파일로부터 IMAGE_COR20_HEADER 및 VTableFixups 테이블 분석
; https://www.sysnet.pe.kr/2/0/12126

.NET Framework: 881. C# DLL에서 제공하는 Win32 export 함수의 내부 동작 방식(VT Fix up Table)
; https://www.sysnet.pe.kr/2/0/12127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지난 글들에 이어,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52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1884

근래 다시 한번 dllexport를 테스트할 일이 있어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글에서 소개한 UnmanagedExports를 사용해 봤는데 아쉽게도 동작하지 않았습니다.

검색해 보니까, NuGet으로 받은 것은 업데이트가 끊겼고 대신 github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UnmanagedExports - v1.6.5
; https://github.com/3F/DllExport/releases
; https://github.com/3F/DllExport/releases/download/v1.6.5/offline.DllExport_v1.6.5.4044_4db7142.zip

그리고 사용법이 쪼끔 복잡해졌습니다. 예전에는 그냥 NuGet으로 받아 빌드만 하면 되었는데 이제는 다음의 글에 따라,

3F / DllExport - Quick start
; https://github.com/3F/DllExport/wiki/Quick-start

사전 configuration을 수행해야 합니다. 사실 "쪼끔" 복잡은 해졌지만 그래도 간단한 편인데 일단 솔루션/프로젝트를 구성한 다음 솔루션(sln) 파일이 있는 폴더에 "offline.DllExport_v1.6.5.4044_4db7142.zip" 파일의 압축을 풀어 놓고 시작하게 됩니다. 즉, 다음과 같은 식으로 폴더 구성이 되어야 합니다.

cs_export_native_0.png

그런 다음 "DllExport.bat -action Configure"라고 명령어를 수행합니다.

c:\temp\ConsoleApp1> DllExport.bat -action Configure
...[생략]...

"DllExport.bat" 실행의 기본 인자 구성이 "-action Configure"이므로 특별한 인자 없이 실행해도 됩니다. 그럼, 실행 중에 다음과 같이 솔루션 파일을 선택하는 대화창이 뜨고,

cs_export_native_1.png

그 솔루션 파일 내의 (export 함수를 구현할) 프로젝트를 선택한 후 Apply 버튼을 누르면 해당 프로젝트 파일(csproj) 내에 다음과 같은 식의 옵션들과 함께,

<PropertyGroup>
    <DllExportIdent>F5B3AFFA-7FAC-4B75-8AE3-A1B9F7AC2137</DllExportIdent>
    <DllExportMetaLibName>DllExport.dll</DllExportMetaLibName>
    <DllExportNamespace>ClassLibrary1</DllExportNamespace>
    <DllExportDDNSCecil>true</DllExportDDNSCecil>
    <DllExportSkipOnAnyCpu>false</DllExportSkipOnAnyCpu>
    <DllExportPlatform>Auto</DllExportPlatform>
    <DllExportOrdinalsBase>1</DllExportOrdinalsBase>
    <DllExportGenExpLib>false</DllExportGenExpLib>
    <DllExportOurILAsm>false</DllExportOurILAsm>
    <DllExportLeaveIntermediateFiles>false</DllExportLeaveIntermediateFiles>
    <DllExportTimeout>30000</DllExportTimeout>
    <DllExportPeCheck>2</DllExportPeCheck>
</PropertyGroup>

빌드 시에만 잠깐 사용될 dll 참조도 추가되고,

<Reference Include="DllExport, PublicKeyToken=8337224c9ad9e356">
    <HintPath>$(SolutionDir)\packages.offline\DllExport\gcache\metalib\$(DllExportNamespace)\$(DllExportMetaLibName)</HintPath>
    <Private>False</Private>
    <SpecificVersion>False</SpecificVersion>
</Reference>

msbuild가 사용할 빌드 단계도 추가됩니다.

<ImportGroup Label=".NET DllExport">
    <Import Project="$(SolutionDir)packages.offline\DllExport\tools\net.r_eg.DllExport.targets" Condition="Exists($([MSBuild]::Escape('$(SolutionDir)packages.offline\DllExport\tools\net.r_eg.DllExport.targets')))" Label="8337224c9ad9e356" />
</ImportGroup>

<Target Name="DllExportRestorePkg" BeforeTargets="PrepareForBuild">
    <Error Condition="!Exists('$(SolutionDir)DllExport.bat')" Text="DllExport.bat is not found. Path: '$(SolutionDir)' - https://github.com/3F/DllExport" />
    <Exec Condition="('$(DllExportModImported)' != 'true' Or !Exists('$(SolutionDir)packages.offline\DllExport\tools\net.r_eg.DllExport.targets')) And Exists('$(SolutionDir)DllExport.bat')" Command="DllExport.bat -packages packages.offline -dxp-version actual  -action Restore" WorkingDirectory="$(SolutionDir)" />
</Target>

<Target Name="DllExportRPkgDynamicImport" BeforeTargets="PostBuildEvent" DependsOnTargets="GetFrameworkPaths" Condition="'$(DllExportModImported)' != 'true' And '$(DllExportRPkgDyn)' != 'false'">
    <MSBuild BuildInParallel="true" UseResultsCache="true" Projects="$(MSBuildProjectFullPath)" Properties="DllExportRPkgDyn=true" Targets="Build" />
</Target>

따라서, 일단 저렇게 설정이 된 이후에는 그냥 빌드만 하면 export 함수를 가진 DLL이 생성됩니다. 게다가 AnyCPU 빌드 구성이어도 자동으로 x86 및 x64 바이너리를 한꺼번에 만듭니다.




NuGet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업그레이드가 불편할 수 있지만, 이 부분에 대해서도 DllExport.bat 파일로 다음과 같이 해결할 수 있습니다.

DllExport -action Upgrade {version}

참고로, 다음은 offline.DllExport_v1.6.5.4044_4db7142.zip 압축 파일의 파일 및 디렉터리 구성입니다.

./
│   DllExport.bat
│   Readme.txt
│
└───packages.offline
    └───DllExport
        │   3rd-party.txt
        │   build_info.txt
        │   changelog.txt
        │   DllExport.bat
        │   DllExport.nuspec
        │   hMSBuild.bat
        │   License.txt
        │   Readme.md
        │
        ├───build
        │   └───net20
        │           DllExport.targets
        │
        ├───lib
        │   └───net20
        │           _._
        │
        └───tools
            │   build.targets
            │   Conari.dll
            │   Conari.pdb
            │   Conari.xml
            │   gnt.bat
            │   hMSBuild.bat
            │   Microsoft.Build.dll
            │   Microsoft.Build.Framework.dll
            │   Microsoft.Build.Utilities.v4.0.dll
            │   Mono.Cecil.dll
            │   MvsSln.dll
            │   MvsSln.pdb
            │   MvsSln.xml
            │   net.r_eg.DllExport.targets
            │   net.r_eg.DllExport.Wizard.dll
            │   net.r_eg.DllExport.Wizard.pdb
            │   net.r_eg.DllExport.Wizard.targets
            │   NSBin.dll
            │   NSBin.pdb
            │   PeViewer.exe
            │   PeViewer.pdb
            │   RGiesecke.DllExport.dll
            │   RGiesecke.DllExport.MSBuild.dll
            │   RGiesecke.DllExport.MSBuild.pdb
            │   RGiesecke.DllExport.pdb
            │
            ├───coreclr
            │       changelog.txt
            │       coreclr.dll
            │       ilasm.exe
            │       ildasm.exe
            │       ildasmrc.dll
            │       LICENSE.TXT
            │       mscordaccore.dll
            │       mscordbi.dll
            │       PATENTS.TXT
            │       README.md
            │       _Version.txt
            │
            └───raw
                └───lib
                    └───net20
                            DllExport.dll
                            DllExport.xml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7/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0-07-01 04시28분
정성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388정성태10/29/202010144오류 유형: 674. 어느 순간부터 닷넷 응용 프로그램 실행 시 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ErrorsException 예외가 발생한다면?
12387정성태10/28/202010912.NET Framework: 957. C# - static 필드의 정보가 GC Heap에 저장될까요? [3]파일 다운로드1
12386정성태10/28/202011137Linux: 34. 사용자 정보를 함께 출력하는 리눅스의 ps 명령어 사용 방법
12385정성태10/28/20208972오류 유형: 673. openssl - req: No value provided for Subject Attribute CN, skipped
12384정성태10/27/202010176오류 유형: 672. AllowPartiallyTrustedCallers 특성이 적용된 어셈블리의 struct 멤버 메서드를 재정의하면 System.Security.VerificationException 예외 발생
12383정성태10/27/202011054.NET Framework: 956. C# 9.0 - (7) 패턴 일치 개선 사항(Pattern matching enhancements) [3]파일 다운로드1
12382정성태10/26/20208723오류 유형: 671. dotnet build - The local source '...' doesn't exist
12381정성태10/26/202010409VC++: 137. C++ stl map의 사용자 정의 타입을 key로 사용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380정성태10/26/20207858오류 유형: 670. Visual Studio - Squash_FailureCommitsReset
12379정성태10/21/202010837.NET Framework: 955. .NET 메서드의 Signature 바이트 코드 분석 [1]파일 다운로드2
12378정성태10/15/202010301.NET Framework: 954. C# - x86/x64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P/Invoke 함수의 export 이름파일 다운로드1
12377정성태10/15/202011606디버깅 기술: 172. windbg - 파일 열기 시점에 bp를 걸어 파일명 알아내는 방법(Managed/Unmanaged)
12376정성태10/15/20208319오류 유형: 669. windbg - sos의 name2ee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request module list." 오류
12375정성태10/15/20209650Windows: 177. 윈도우 탐색기에서 띄우는 cmd.exe 창의 디렉터리 구분 문자가 'Yen(&#0165;)' 기호로 나오는 경우 [1]
12374정성태10/14/202014273.NET Framework: 953. C# 9.0 - (6) 함수 포인터(Function pointers) [1]파일 다운로드2
12373정성태10/14/20209529.NET Framework: 952. OpCodes.Box와 관련해 IL 형식으로 직접 코딩 시 유의할 점
12372정성태10/13/202011431.NET Framework: 951. C# 9.0 - (5) 로컬 함수에 특성 지정 가능(Attributes on local functions)파일 다운로드1
12371정성태10/13/202010191개발 환경 구성: 519. Visual Studio의 Ctrl+Shift+U (Edit.MakeUppercase) 단축키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12370정성태10/13/202011062Linux: 33. Linux - nmcli를 이용한 고정 IP 설정
12369정성태10/12/202013857Windows: 176. Raymond Chen이 한글날에 밝히는 윈도우의 한글 자모 분리 현상 [3]
12368정성태10/12/20209927오류 유형: 668. VSIX 확장 빌드 - The "GetDeploymentPathFromVsixManifest" task failed unexpectedly.
12367정성태10/12/202022703오류 유형: 667. Ubuntu - Temporary failure resolving 'kr.archive.ubuntu.com' [2]
12366정성태10/12/202011679.NET Framework: 950. C# 9.0 - (4) 원시 크기 정수(Native ints) [1]파일 다운로드1
12365정성태10/12/202010599.NET Framework: 949. C# 9.0 - (3) 람다 메서드의 매개 변수 무시(Lambda discard parameters)파일 다운로드1
12364정성태10/11/202011796.NET Framework: 948. C# 9.0 - (2) localsinit 플래그 내보내기 무시(Suppress emitting localsinit flag)파일 다운로드1
12363정성태10/11/202012697.NET Framework: 947. C# 9.0 - (1) 대상으로 형식화된 new 식(Target-typed new expressions) [2]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