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디버깅 기술: 160. Windbg 확장 DLL 만들기 (3) - C#으로 만드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886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45. Windbg 확장 DLL 만들기 (1) - 스레드를 강제 종료시키는 명령어
; https://www.sysnet.pe.kr/2/0/1198

디버깅 기술: 46. Windbg 확장 DLL 만들기 (2) - Debugger Extension API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200

디버깅 기술: 118. windbg - 닷넷 개발자를 위한 MEX Debugging Extension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1644

디버깅 기술: 160. Windbg 확장 DLL 만들기 (3) - C#으로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119

디버깅 기술: 177. windbg - (ASP.NET 환경에서 유용한) netext 확장
; https://www.sysnet.pe.kr/2/0/12462




Windbg 확장 DLL 만들기 (3) - C#으로 만드는 방법

이전 글에서 Windbg 확장 만드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Windbg 확장 DLL 만들기 (1) - 스레드를 강제 종료시키는 명령어
; https://www.sysnet.pe.kr/2/0/1198

Windbg 확장 DLL 만들기 (2) - Debugger Extension API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200

windbg 확장의 동작 방식이 결국 DLL 측에서 export시킨 함수를 호출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당연히 C#으로도 UnmanagedExports를 이용해 만들 수 있습니다.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118

게다가 이미 dbgeng.dll 관련 pinvoke 인터페이스들도 모두 마이크로소프트 측에서 친절하게 만들어 두었기 때문에,

DbgShell/ClrMemDiag/Debugger/
; https://github.com/microsoft/DbgShell/tree/master/ClrMemDiag/Debugger

다음과 같이 기본 확장 DLL의 뼈대를 쉽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using Microsoft.Diagnostics.Runtime.Interop;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namespace NetDbgExt
{
    public enum DebugNotifySession
    {
        Active = 0x0,
        Inactive = 0x01,
        Accessible = 0x02,
        InAccessible = 0x03,
    }

    public class UnmanagedMain
    {
        [DllExport(CallingConvention = CallingConvention.StdCall)]
        public static uint DebugExtensionInitialize(IntPtr version, IntPtr flags)
        {
            version.WriteValue(DEBUG_EXTENSION_VERSION(1, 0));
            flags.WriteValue(0);

            NativeMethods.OutputDebugString("NetDbgExt.DebugExtensionInitialize");
            return 0;
        }

        public static uint DEBUG_EXTENSION_VERSION(int Major, int Minor)
        {
            return (uint)((((Major) & 0xffff) << 16) | ((Minor) & 0xffff));
        }

        [DllExport(CallingConvention = CallingConvention.StdCall)]
        public static void DebugExtensionNotify(DebugNotifySession notify, long argument)
        {
            switch (notify)
            {
                case DebugNotifySession.Active:
                    NativeMethods.OutputDebugString("DEBUG_NOTIFY_SESSION_ACTIVE");
                    break;
                case DebugNotifySession.Inactive:
                    NativeMethods.OutputDebugString("DEBUG_NOTIFY_SESSION_INACTIVE");
                    break;
                case DebugNotifySession.Accessible:
                    NativeMethods.OutputDebugString("DEBUG_NOTIFY_SESSION_ACCESSIBLE");
                    break;
                case DebugNotifySession.InAccessible:
                    NativeMethods.OutputDebugString("DEBUG_NOTIFY_SESSION_INACCESSIBLE");
                    break;
            }
        }

        [DllExport(CallingConvention = CallingConvention.StdCall)]
        public static void DebugExtensionUninitialize()
        {
            NativeMethods.OutputDebugString("NetDbgExt.DebugExtensionUninitialize");
        }
    }
}

빌드된 dll을 windbg에서 다음과 같이 로드/언로드해 보면,

[로드]
.load D:\temp\DotNetSamples\WinLib\NetDbgExt\bin\Debug\x64\NetDbgExt.dll

[언로드]
.unload D:\temp\DotNetSamples\WinLib\NetDbgExt\bin\Debug\x64\NetDbgExt.dll

DebugView에서 OutputDebugString 메시지들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제를 좀 더 확장해 볼까요? ^^ 이를 기반으로 windbg에서 지원하지 않는 DateTime 형식의 값 출력을,

windbg - 메모리 덤프로부터 DateTime 형식의 값을 알아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13

C#으로 만든 확장 DLL에서 "printdt"라는 명령어로 다음과 같이 추가할 수 있습니다.

[DllExport(CallingConvention = CallingConvention.StdCall)]
public static uint printdt(IDebugClient pDebugClient, [MarshalAs(UnmanagedType.LPStr)] string args)
{
    IDebugControl dbgControl = pDebugClient as IDebugControl;
    if (dbgControl == null)
    {
        return 0;
    }

    DEBUG_VALUE dbgValue;
    uint remainderIndex;

    int result = dbgControl.Evaluate(args, DEBUG_VALUE_TYPE.INT64, out dbgValue, out remainderIndex);
    if (result != 0)
    {
        return 0;
    }

    ulong u64Value = dbgValue.I64;
    DateTime dt = Util.ToDateTime((long)u64Value);

    dbgControl.Output(DEBUG_OUTPUT.NORMAL, $"0x{u64Value:x}, 0n{u64Value} ==> {dt}\n");

    return 0;
}

따라서 sos.dll을 이용한 분석 작업에서 다음과 같이 DateTime 필드의 값이 나오면,

0:000> !DumpObj 000000ebd15ff688
Name:        Test.Worker
MethodTable: 00007fff290d1bf0
EEClass:     00007fff290cd7d0
Size:        136(0x88) bytes
File:        C:\Windows\Microsoft.Net\assembly\GAC_MSIL\Test\v1.0_0.0.0.4__5ac6f597e34281b7\Test.dll
Fields:
              MT    Field   Offset                 Type VT     Attr            Value Name
...[생략]...
00007fff272586e8  40000fc       78      System.DateTime  1 instance 48d503b5497a92ea _checkTime
...[생략]...

printdt를 이용해 출력해 볼 수 있습니다.^^

0:007> !printdt 48d503b5497a92ea
0x48d503b5497a92ea, 0n5248105017926914794 ==> 2017-09-25 오전 1:32:29

전체 소스 코드는 다음의 github에 올렸으니 참고하시고.

DotNetSamples/WinConsole/Debugger/NetDbgExt/
; https://github.com/stjeong/DotNetSamples/tree/master/WinConsole/Debugger/NetDbgExt




마치기 전에, windbg 확장 dll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물론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면 그때마다 ".load" 명령어를 이용하겠지만,

0:007> .load C:\NetDbgExt\x64\NetDbgExt.dll

그렇지 않다면 PATH 환경 변수에 등록해 두면 .chahin 명령에서 확인할 수 있는 확장 DLL 검색 경로에 포함됩니다.

0:007> .chain
Extension DLL search Path: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Debuggers\x64\WINXP;...[생략]...;C:\Program Files\Git\cmd;
Extension DLL chain:
    dbghelp: image 10.0.18362.1, API 10.0.6, 
        [path: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Debuggers\x64\dbghelp.dll]
    ext: image 10.0.18362.1, API 1.0.0, 
        [path: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Debuggers\x64\winext\ext.dll]
    exts: image 10.0.18362.1, API 1.0.0, 
        [path: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Debuggers\x64\WINXP\exts.dll]
    uext: image 10.0.18362.1, API 1.0.0, 
        [path: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Debuggers\x64\winext\uext.dll]
    ntsdexts: image 10.0.18362.1, API 1.0.0, 
        [path: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Debuggers\x64\WINXP\ntsdexts.dll]

PATH 환경 변수를 어지럽히지 않고 싶다면 별도로 _NT_DEBUGGER_EXTENSION_PATH 환경 변수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Loading Debugger Extension DLLs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drivers/debugger/loading-debugger-extension-dlls

_NT_DEBUGGER_EXTENSION_PATH=C:\NetDbgExt\x64

그런데, PATH든 _NT_DEBUGGER_EXTENSION_PATH든 플랫폼(x86/x64)에 따른 구분이 없어서 x64/x86 windbg를 모두 쓰는 사용자라면 어떤 거 하나를 지정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제 경우에는 windbg의 x86 및 x64 단축 아이콘에 각각 다음과 같이 "-c" 옵션을 추가합니다.

[x64 windbg인 경우]
-c ".extpath+ d:\wext\x64"

[x86 windbg인 경우]
-c ".extpath+ d:\wext\x86"

그럼, windbg는 초기 실행 시 ".extpath+" 명령어를 실행하게 되고 확장 DLL 검색 목록에 경로를 추가합니다.

0:007> .extpath+ d:\wext\x64
Extension search path is: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Debuggers\x64\WINXP;...[생략]...;C:\Program Files\Git\cmd;d:\wext\x64

이렇게 검색 목록에 있으면 좋은 이유가 굳이 ".load" 명령어를 할 필요없이 해당 확장에 있는 명령어를 full 경로로 실행해 주면,

0:007> !NetDbgExt.printdt 0
0x0, 0n0 ==> 0001-01-01 오전 12:00:00

알아서 로딩까지 자동으로 이뤄지는 편리함이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9/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93정성태10/28/20245166C/C++: 183.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2정성태10/27/20244648Linux: 99. Linux - 프로세스의 실행 파일 경로 확인
13791정성태10/27/20244918Windows: 267. Win32 API의 A(ANSI) 버전은 DBCS를 사용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3790정성태10/27/20244632Linux: 98. Ubuntu 22.04 - 리눅스 커널 빌드 및 업그레이드
13789정성태10/27/20244947Linux: 97. menuconfig에 CONFIG_DEBUG_INFO_BTF,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 옵션이 없는 경우
13788정성태10/26/20244473Linux: 96. eBPF (bpf2go) - fentry, fexit를 이용한 트레이스
13787정성태10/26/20245005개발 환경 구성: 730. github - Linux 커널 repo를 윈도우 환경에서 git clone하는 방법 [1]
13786정성태10/26/20245244Windows: 266. Windows - 대소문자 구분이 가능한 파일 시스템
13785정성태10/23/20245000C/C++: 182. 윈도우가 운영하는 2개의 Code Page파일 다운로드1
13784정성태10/23/20245276Linux: 95. eBPF - kprobe를 이용한 트레이스
13783정성태10/23/20244877Linux: 94. eBPF - vmlinux.h 헤더 포함하는 방법 (bpf2go에서 사용)
13782정성태10/23/20244638Linux: 93. Ubuntu 22.04 - 커널 이미지로부터 커널 함수 역어셈블
13781정성태10/22/20244821오류 유형: 930. WSL + eBPF: modprobe: FATAL: Module kheaders not found in directory
13780정성태10/22/20245574Linux: 92. WSL 2 - 커널 이미지로부터 커널 함수 역어셈블
13779정성태10/22/20244878개발 환경 구성: 729. WSL 2 - Mariner VM 커널 이미지 업데이트 방법
13778정성태10/21/20245706C/C++: 181. C/C++ - 소스코드 파일의 인코딩, 바이너리 모듈 상태의 인코딩
13777정성태10/20/20244965Windows: 265. Win32 API의 W(유니코드) 버전은 UCS-2일까요? UTF-16 인코딩일까요?
13776정성태10/19/20245305C/C++: 180. C++ - 고수준 FILE I/O 함수에서의 Unicode stream 모드(_O_WTEXT, _O_U16TEXT, _O_U8TEXT)파일 다운로드1
13775정성태10/19/20245511개발 환경 구성: 728. 윈도우 환경의 개발자를 위한 UTF-8 환경 설정
13774정성태10/18/20245212Linux: 91. Container 환경에서 출력하는 eBPF bpf_get_current_pid_tgid의 pid가 존재하지 않는 이유
13773정성태10/18/20244901Linux: 90.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 docker-desktop
13772정성태10/17/20245179Linux: 89.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배포본의 계층 관계
13771정성태10/17/20245082Linux: 88. WSL 2 리눅스 배포본 내에서의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
13770정성태10/17/20245361Linux: 87. ps + grep 조합에서 grep 명령어를 사용한 프로세스를 출력에서 제거하는 방법
13769정성태10/15/20246129Linux: 86. Golang + bpf2go를 사용한 eBPF 기본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768정성태10/15/20245416C/C++: 179. C++ - _O_WTEXT, _O_U16TEXT, _O_U8TEXT의 Unicode stream 모드파일 다운로드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