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Google Analytics - gtag 함수를 이용해 페이지 URL 수정 및 별도의 이벤트 생성 방법

예를 들어, 제 웹 사이트의 경우 글을 읽는 방식이 다음과 같이 2가지로 나뉩니다.

[query 문자열을 이용한 방식]
/default.aspx?mode=2&sub=0&wid=150

[url 경로를 이용한 방식]
/2/0/150

그래서, Google Analytics에서 제공하는 "Global Site Tag (gtag.js)"의 기본 "Tracking Code" 스크립트를 이용하면,

<!-- Global site tag (gtag.js) - Google Analytics -->
<script async src="https://www.googletagmanager.com/gtag/js?id=UA-1264369-1"></script>
<script>
  window.dataLayer = window.dataLayer || [];
  function gtag(){dataLayer.push(arguments);}
  gtag('js', new Date());

  gtag('config', 'UA-1264369-1');
</script>

다음과 같이 중구난방으로 유입 URL이 들어옵니다.

gtag_path_location_1.png

그러니까, 제 경우에는 "url 경로 방식"으로 깔끔하게 유입 URL이 보이기를 바라는 것인데요, 다행히 GA 스크립트 측에서 이에 대한 방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Measure pageviews
; https://developers.google.com/analytics/devguides/collection/gtagjs/pages

gtag('config', 'GA_MEASUREMENT_ID', {<pageview_parameters>});

지원되는 pageview_parameters로는 page_title, page_location, page_path가 있는데 이 중에서 page_path는 Host 이름을 제외한 경로, page_location은 Host 이름까지 포함한 경로인데 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설정했습니다.

<script>
    window.dataLayer = window.dataLayer || [];
    function gtag() { dataLayer.push(arguments); }
    gtag('js', new Date());

    gtag('config', 'UA-1264369-1', {
        'page_location': 'https://www.sysnet.pe.kr/2/0/150'
    });
</script>

(물론, page_location의 값을 저런 식으로 하드 코딩해서는 안 되고 서버 측 스크립트에서 채워지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이렇게 설정한 후, Google Analytics에서 보이는 경로가 이제 다음과 같이 깔끔하게 바뀝니다.

gtag_path_location_2.png

참고로, page_location과 page_path의 값은 아무거나 하나만 설정해 주면 될 것입니다. 그리고 page_title은 HTML <title />에 설정하지 않은 값으로 채우고 싶을 때 선택적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왜냐하면, Google Analytics는 기본적으로 HTML 페이지의 title 값을 수집해 다음과 같이 "Page Title"이 있는 페이지에서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gtag_path_location_3.png




사실 제 홈페이지가 전자 상거래의 성격은 아니어서 그다지 관심있는 지표가 없습니다. 그런데, 가끔 궁금했던 것이 각각의 글에 첨부한 예제 코드를 사용자들이 정말 다운로드를 할까?... 하는 점입니다.

물론, 첨부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aspx 페이지에 서버 측 코드를 추가해 실행될 때마다 DB와 연동시켜 다운로드 횟수를 기록하면 될 텐데... 음... 이게 또 은근히 귀찮아서요. ^^; 어차피 제 웹 사이트에 크게 중요한 데이터도 아니어서 그냥 GA에 측에 맡기는 것이 더 좋을 것 같다는 판단이 듭니다.

GA도 이런 식의 요구 사항을 위해 gtag에 'event' 명령어를 제공하는데,

Measure Google Analytics Events
; https://developers.google.com/analytics/devguides/collection/gtagjs/events

gtag.js Parameter reference
; https://developers.google.com/gtagjs/reference/parameter

기본적으로 event 명령에는 action, event_category, event_label, value 속성들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제 경우에는 많은 정보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value를 빼고 다음과 같이 gtag 함수를 구성하고,

function gaDownloadEvent(category, downloadLink) {
    try {
        gtag('event', 'Download', {
            'event_category': category,
            'event_label': downloadLink,
        });
    } catch { }

    return true;
}

파일 다운로드를 하는 a 태그의 onclick에 연결했습니다.

<a onclick='return gaDownloadEvent("a_down", "331301885/12122")' href='https://www.sysnet.pe.kr/bbs/DownloadAttachment.aspx?fid=1536&amp;boardid=331301885'>[unref_param_sample.zip]</a>

그럼 다음과 같은 정도로 GA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gtag_path_location_4.png

재미있는 것은, Google Analytics가 개발자라기보다는 마케터들을 위한 도구이기 때문에 저런 식으로 코딩이 아닌 GA 측의 설정으로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도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How To Track Downloads In Google Analytics - Complete Guide
; https://www.jeffalytics.com/track-downloads-google-analytics/

이름하여 Google Tag Manager인데, 아무래도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니 "Start for free"라는 문구로 봐서는 어느 정도 선을 넘어가게 되면 비용을 부담하는 방식인 것 같습니다. 장점이라면 마케터로 하여금 Tag Manager 설정 창을 이용해 일정한 규칙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처리할 수는 있는데, 어쨌든 이벤트를 추적할 웹 페이지에 스크립트를 추가해야 한다는 점은 변함이 없습니다. 게다가 다음과 같은 식으로 2개를 넣어야 합니다.

<!-- head 태그 안에 추가 -->
<!-- Google Tag Manager -->
<script>(function(w,d,s,l,i){w[l]=w[l]||[];w[l].push({'gtm.start':
new Date().getTime(),event:'gtm.js'});var f=d.getElementsByTagName(s)[0],
j=d.createElement(s),dl=l!='dataLayer'?'&l='+l:'';j.async=true;j.src=
'https://www.googletagmanager.com/gtm.js?id='+i+dl;f.parentNode.insertBefore(j,f);
})(window,document,'script','dataLayer','GTM-KRJG5WQ');</script>
<!-- End Google Tag Manager -->

<!-- body 태그 안에 추가 -->
<!-- Google Tag Manager (noscript) -->
<noscript> &lt;iframe src="https://www.googletagmanager.com/ns.html?id=GTM-KRJG5WQ"
height="0" width="0" style="display:none;visibility:hidden"></iframe> </noscript>
<!-- End Google Tag Manager (noscript) -->

보니까... 좀 지저분하죠? ^^ 따라서 개발자 입장에서는 저런 식으로 이벤트마다 스크립트를 덕지덕지 바른다는 것은 미관상 좋지 않을 것이므로 할 수 있다면 그냥 gtag를 이용해 처리하는 것이 더 좋을 듯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5/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05-05 08시31분
[박세진] 안녕하세요. 문의드립니다. 구글애널리틱스를 통해 페이지 진입 이벤트 코드를 작성하려고 하는데, 앞부분에 명령어를 어떻게 작성해야할지 몰라서 문의드립니다. 예를 들면, 특정 버튼 클릭이벤트에 대한 명령어 태그는 onclick="('event','버튼클릭'),{'event_category':~~~~) 이런 형식으로 작성하니 제대로 추적이 되던데, 페이지 진입 이벤트 코드는 앞에 onclick이 아닌 어떤 명령어를 적용해야 할지요. 문의드립니다.
[guest]
2021-05-05 10시21분
@박세진 페이지 진입 코드는 한 번 실행하면 되는 거니까, 아무데나 두셔도 됩니다. 단지 ga 함수가 동작해야 하니까, 위의 글에서 보면 gtag 호출하는 함수 다음에 놓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예를 들면 이런 식입니다.

<script>
    window.dataLayer = window.dataLayer || [];
    function gtag() { dataLayer.push(arguments); }
    gtag('js', new Date());

    gtag('config', 'UA-1264369-1', {
        'page_location': 'https://www.sysnet.pe.kr/2/0/150'
    });

    // 아래의 내용에서 'page_enter', 'https://www.sysnet.pe.kr/2/0/150' 자신의 웹 사이트 상황에 맞게 적어주시면 됩니다.
    gtag('event', 'Download', {
            'event_category': 'page_enter',
            'event_label': 'https://www.sysnet.pe.kr/2/0/150',
        });
</script>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93정성태2/27/20252239Linux: 115. eBPF (bpf2go) - ARRAY / HASH map 기본 사용법
13892정성태2/24/20253001닷넷: 2325.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91정성태2/23/20252510닷넷: 2324. C# - 프로세스의 성능 카운터용 인스턴스 이름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90정성태2/21/20252338닷넷: 2323. C# - 프로세스 메모리 중 Private Working Set 크기를 구하는 방법(Win32 API)파일 다운로드1
13889정성태2/20/20253075닷넷: 2322. C# - 프로세스 메모리 중 Private Working Set 크기를 구하는 방법(성능 카운터, WMI) [1]파일 다운로드1
13888정성태2/17/20252505닷넷: 2321. Blazor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13887정성태2/17/20253088닷넷: 2320. Blazor의 razor 페이지에서 code-behind 파일로 코드를 분리 및 DI 사용법
13886정성태2/15/20252577VS.NET IDE: 196. Visual Studio - Code-behind처럼 cs 파일을 그룹핑하는 방법
13885정성태2/14/20253250닷넷: 2319. ASP.NET Core Web API / Razor 페이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13884정성태2/13/20253531닷넷: 2318. C# - (async Task가 아닌) async void 사용 시의 부작용파일 다운로드1
13883정성태2/12/20253291닷넷: 2317. C# - Memory Mapped I/O를 이용한 PCI Configuration Space 정보 열람파일 다운로드1
13882정성태2/10/20252589스크립트: 70. 파이썬 - oracledb 패키지 연동 시 Thin / Thick 모드
13881정성태2/7/20252839닷넷: 2316. C# - Port I/O를 이용한 PCI Configuration Space 정보 열람파일 다운로드1
13880정성태2/5/20253183오류 유형: 947. sshd - Failed to start OpenSSH server daemon.
13879정성태2/5/20253424오류 유형: 946. Ubuntu - N: Updating from such a repository can't be done securely, and is therefore disabled by default.
13878정성태2/3/20253209오류 유형: 945. Windows - 최대 절전 모드 시 DRIVER_POWER_STATE_FAILURE 발생 (pacer.sys)
13877정성태1/25/20253254닷넷: 2315. C# - PCI 장치 열거 (레지스트리, SetupAPI)파일 다운로드1
13876정성태1/25/20253720닷넷: 2314. C# - ProcessStartInfo 타입의 Arguments와 ArgumentList파일 다운로드1
13875정성태1/24/20253165스크립트: 69. 파이썬 - multiprocessing 패키지의 spawn 모드로 동작하는 uvicorn의 workers
13874정성태1/24/20253575스크립트: 68. 파이썬 - multiprocessing Pool의 기본 프로세스 시작 모드(spawn, fork)
13873정성태1/23/20252994디버깅 기술: 217. WinDbg - PCI 장치 열거파일 다운로드1
13872정성태1/23/20252903오류 유형: 944. WinDbg - 원격 커널 디버깅이 연결은 되지만 Break (Ctrl + Break) 키를 눌러도 멈추지 않는 현상
13871정성태1/22/20253302Windows: 278. Windows - 윈도우를 다른 모니터 화면으로 이동시키는 단축키 (Window + Shift + 화살표)
13870정성태1/18/20253754개발 환경 구성: 741. WinDbg - 네트워크 커널 디버깅이 가능한 NIC 카드 지원 확대
13869정성태1/18/20253472개발 환경 구성: 740. WinDbg - _NT_SYMBOL_PATH 환경 변수에 설정한 경로로 심벌 파일을 다운로드하지 않는 경우
13868정성태1/17/20253121Windows: 277. Hyper-V - Windows 11 VM의 Enhanced Session 모드로 로그인을 할 수 없는 문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